본문내용
서 한 획을 긋는 사건이다. 민주주의를 향한 당시 국민들의 열망이 어떠했는가를 알 수 있고, 또한 독재정권의 말로를 보면서 위정자들에게 주는 시사점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미완의 혁명으로 끝났지만, 처음의 (학생들로부터 촉발된)이 미약한 시작이 후대의 5·18 광주민주화항쟁과 6월항쟁의 정신과 그 정신의 실천으로까지 이어졌다고 생각한다. 현대정부 이후, 불의에 항거한 최초의 자발적인 시위로써 현재의 이른바 참여정부의 국정 안에서 살고있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에서도 살펴보았지만, 그 정신에는 의의가 있지만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다. 특히, 구체적인 향후 실천방안과 민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그것이다. 지금의 시민사회는 시민단체의 난립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일부 방향잃은 단체들의 독단적인 행보 때문에 정부의 국정운영은 물론, 국민들과의 유대조차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자기의 존재를 위해서 비판을 위한 비판은 4·19혁명의 정신에도 어긋난다. 국익의 발전을 위한 순수한 마음의 발로에서 합리적이고 진정한 공익을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 고심하고 실천하는 현대시민의 모습이 앞으로 우리의 임무가 아닐까 생각한다.
추천자료
맑스주의와 혁명: 1848년 혁명에서 1968년 혁명까지
프랑스혁명과 미국 혁명의 비교조사
4.19혁명의 의의와 배경 전개 결과
4.19혁명에대하여
프랑스혁명에 대한 조사자료 및 발표자료
신해혁명의 혁명성
혁명과 반란.구테타
[서양근대사회와 시민혁명][1830년 7월 혁명]
중국의 문화대혁명 -모택동 지지를 통해본 문화대혁명의 부재-
[17C][17세기][북벌론][청교도혁명]17C(17세기)의 북벌론, 17C(17세기)의 정국, 17C(17세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통치의기본구조 B형] 대한민국의 정부형태의 변천사를 기술 [정부형태]
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 직업에 대해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