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유아 안전지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유아 안전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 계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울타리를 계단 밑과 위에 설치하여
추락을 방지하며 창문은 영아들이 떨어지지 않도록 방충망 외의 안전
장치를 한다.
. 도로 쪽에 난 문은 항상 닫아둔다.
. 놀잇감은 독성이 없고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으며 견고한 것이어야 한다.
. 도구와 부엌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자주 발생하는 사고
. 추락, 충돌사고: 계단, 엘리베이터, 창문, 실외놀이기구 등에서 떨어지는
사고, 책상이나 가구 모서리에 충돌 등에 의한 사고(모방놀이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
. 놀이사고: 칼이나 총과 같은 공격적인 놀잇감 등에 의한 사고
. 운동사고: 수영 등 물놀이에 의한 사고,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썰매 등을
타다 일어나는 사고
. 교통사고: 보행하거나 보육 및 교육기관 통학 중에 생기는 교통사고
(자동차, 버스 등의 차량사고,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에 의한 사고, 횡단보도 사고)
. 화상사고: 성냥(생일축하), 라이터 등의 불장난, 가스레인지 등에 의한 사고
. 유괴 및 성폭력 사고
사고의 예방
. 놀이시설에서 지켜야 할 행동규칙을 습득하게 한다.
. 무독성의 미술재료를 주고, 칼, 가위 등의 안전한 사용을 익히게 한다.
. 계단을 오르거나 30cm 정도의 높이에서 뛰어내리기를 능숙하게 한다.
. 버린 냉장고나 오래된 물건, 쓰레기 더미 등이 있는 곳에서 놀지 않게 한다.
. 공격성을 유발하는 놀잇감의 사용을 자제하며 놀이기구는 안전성이
인증된 제품을 사용한다.
. 물의 위험을 알려주고 수영하는 법을 가르쳐주도록 한다.
.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트 등은 보호대를 착용하고 전용 장소나
놀이터에서만 타게 한다.
. 스포츠와 관련된 기구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게 하고, 안전수칙을 교육시킨다.
. 교통사고의 위험과 원인에 대해 알려주고 횡단보도의 이용 등 교통
규칙에 대해 교육을 한다.
. 유괴, 성폭력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낯선 사람을 따라가지 않도록
한다. 성인의 감독과 지도가 중요하다.
1. 안전교육
◈ 가정에서의 안전교육
1) 장소 별 안전사고
. 한국소비자원의 발표에 의하면 14세 이하 안전사고의 60.8%(2,762건)가 가정에서 발생
2) 욕실 및 화장실 사고의 예방대책
① 욕실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둔다.
② 유아는 욕조나 세면대에 빠져 질식할 수 있으므로 감독을 철저히 한다.
③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화상방지용 수도꼭지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④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를 깔아 사고를 예방한다.
⑤ 욕실에 있는 화장품이나 비누, 샴푸는 유아가 먹을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⑥ 사용 중이 아닌 좌변기 뚜껑은 항상 내려놓고 화장실 문은 닫아 놓는다.
가정에서 안전교육을 할 때 유의해야 할 점
. 발달 단계나 연령 외에도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유아의 능력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다.
. 유아의 개성 또는 행동 특징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다.
. 유아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다.
. 가정에서 약속한 일이나 규칙을 반드시 지키는 습관을 가짐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확보한다.
. 위험한 것에 가까이 가지 않도록 가르치는 것은 물론, 스스로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방침실 1,244건(45.0%) > 거실 650건(23.5%)
◈ 기관에서의 안전교육
1) 기관에서의 사고
놀이 시설물로 인해사고가 많이 발생
딱딱한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이 가장 흔히 일어남.
놀이터의 시설물, 놀잇감으로 인한 사고
2) 기관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 사고로 인한 피해의 최소화와 사고의 예방을 위해 실내.외의 제반 시설과 놀잇감과
놀이기구 등을 미리 점검하거나 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물리적인 환경을 개선
. 안전지도를 통해 유아가 위험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함.
사고 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시기
. 주로 늦은 오전 시간, 즉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외 놀이나 대근육 놀이를
하는 시간에 많이 발생
. 성인과 유아가 모두 피곤한 시간인 일과 끝 무렵에 사고가 많이 발생
. 그 외에도 새로운 교사가 오거나 유아가 입학하는 시기에 사고가 많이 발생
유아교육기관에서 사고의 가능성을 높이는 상황
. 신임 교사 또는 방문자가 있다.
. 결근한 교직원이 있다.
. 교사가 당황하거나 어려운 일에 직면한 상태이다.
(예: 다루기 어려운 유아가 있거나 다른 교직원과의 불화가 있거나, 개인적인 문제가
있는 것 등)
. 교직원의 수가 부족하다.
. 날씨로 인해 유아들이 실외에서 놀 수 없다.
. 재촉 받는 상황에 있다.
. 새로 온 유아가 있어 성인이 이 유아에게 주의를 집중한다.
. 놀이 규칙이 명확하지 않다.
. 유아가 아파 교사의 일과 진행이 순조롭지 않다.
. 유아가 지치고 배고프거나 기분이 좋지 않다.
. 위험한 대상이 유아에게 매력적으로 보인다.
. 교사들이 유아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 견학과 같이 유아들이 새로운 장소를 탐색하느라 안전 규칙을 잊을 수 있는 상황이다.
1. 상황별 안전지도
◈ 교통안전
. 교통안전에 대한 지도는 예방차원에서 중요한 대책이 되며 특히 유아안전지도에서 유아
대상의 교통안전지도는 중요 내용 중 하나이다.
. 교통사고는 사고 가능성에 대해 주의하고 있어도 순식간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교통시설에 대한 안전한 지도가 필요하다.
< 보육실의 안전 점검 목록 >
의자 및 책상이 파손, 모서리 날카로운 부분, 문의 개폐 이상, 창틀의 파손, 콘센트 파손,
떨어질 위험이 있는 물건, 비상계단에 장애물, 벽의 선풍기 안전 여부, 형광등의 부착 안전
여부, 우천 시 천장의 누수, 냉.난방기의 과열, 위험한 놀이 기구나 장난감, 화학약품,
세제 보관 장소, 소화기의 점검, 바닥의 못이나 압정 등
한편,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 2009)에 나타난 안전 영역을
살펴보면, 40인 이상 보육시설과 39인 이하의 보육시설의 항목은 10개로 동일하며, 39인
이하의 경우 '실외시설의 안전관리'항목이 없으며 대신에 '조리실 설비의 안전관리'가
포함되어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