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의 배경철학
제 2절 이야기 치료의 배경 철학
제 3절 이야기 치료의 전제
제 4절 치료 목표 및 치료자의 자세
제 5절 치료과정
제 6절 가족의 문제이야기 경칭과 문제 분리 기법
제 7절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제 2절 이야기 치료의 배경 철학
제 3절 이야기 치료의 전제
제 4절 치료 목표 및 치료자의 자세
제 5절 치료과정
제 6절 가족의 문제이야기 경칭과 문제 분리 기법
제 7절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본문내용
른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지지하기
2)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외현화: externalization)
- 내담자와 가족의 문제가 성격, 내적 특성 때문이라는 인식을 바꾸고 사회문화적 요인과 관계의 문제임을 깨닫게 하는 기법
- 외현화 질문: 문제에 이름이나 제목을 붙인다면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 문제의 이름이나 제목은 내담자와 가족이 자신의 경험을 반영해 직접 붙이는 것이 좋음
- 병명, 진단명을 붙이지 않도록 할 것
- 외현화 할 수 있는 문제 : 사고, 느낌, 문제행동, 그릇된 신념, 규칙이나 제도 등 - 윤리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문제의 경우 외현화로 문제가 간과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내재화된 문제의 표현
외현화한 문제의 표현
내담자 : 저는 강박증 환자입니다.
내담자 : 강박적 사고 때문에 잘 지내기가 어렵습니다.
치료자 : 산만한 사람이군요.
치료자 : 산만함이 잘 지내지 못하도록 만들고 있었네요.
- 외현화 결과
제 7절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1) 문제의 영향력
- 문제가 가족에게 미진 영향에 대해 묻고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생각, 느낌, 규칙에 대해 탐색함
- 문제가 목적, 희망, 가치, 소신에 미치는 영향, 미래 가족의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핌
- 문제의 영향력 탐색 질문 예시
딸에게 붙어 있는 ‘찔끔이’ (야뇨증)가 어떻게 가족을 힘들게 하나요?
남편의 ‘주먹’이 계속 나타나게 하는 관계나 규범은 어떤 것이 있나요?
‘지각’이 앞으로 당신이 원하는 가치나 바람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2) 사람의 영향력
- 가족이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알아봄
- 가족이 문제를 조절할 수 있었던 상황(독특한 결과)을 상세히 말하게 함
- 가족이 상황을 떠올리면 상황적 특성, 당시의 행동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함
- 사람의 영향력 탐색 질문 예시
‘깜박이’(틱)보다 당신이 우월하다고 생각되었던 상황이 있었나요?
‘갈등’(부부싸움)이 덜 나타났던 때는 언제인가요?
제 8절 문제의 영향력을 평가하고 정당화 기술
1)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 문제의 영향에 관한 가족의 생각과 입장을 알아옴
- 질문 예시
‘쾅쾅이’ (ADHD)가 나타나면 어떤가요?
‘문제’가 불쑥 나타는 것이 괜찮은가요?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세요?
2) 평가를 정당화하기
-문제의 영향력을 평가한 이유를 알아봄
-독특한 결과를 탐색하는 기초가 되므로 중요함
-질문 예시
‘문제’로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나요?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 괜찮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제’를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세요.
- 이야기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입장진술지도로 여기에서는 문제를 경청하고 해체하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 문제 경청과 해체를 위한 입장진술지도 기업으로는 경청,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외현화),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평가를 정당화하기가 있다
2)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외현화: externalization)
- 내담자와 가족의 문제가 성격, 내적 특성 때문이라는 인식을 바꾸고 사회문화적 요인과 관계의 문제임을 깨닫게 하는 기법
- 외현화 질문: 문제에 이름이나 제목을 붙인다면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 문제의 이름이나 제목은 내담자와 가족이 자신의 경험을 반영해 직접 붙이는 것이 좋음
- 병명, 진단명을 붙이지 않도록 할 것
- 외현화 할 수 있는 문제 : 사고, 느낌, 문제행동, 그릇된 신념, 규칙이나 제도 등 - 윤리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문제의 경우 외현화로 문제가 간과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내재화된 문제의 표현
외현화한 문제의 표현
내담자 : 저는 강박증 환자입니다.
내담자 : 강박적 사고 때문에 잘 지내기가 어렵습니다.
치료자 : 산만한 사람이군요.
치료자 : 산만함이 잘 지내지 못하도록 만들고 있었네요.
- 외현화 결과
제 7절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1) 문제의 영향력
- 문제가 가족에게 미진 영향에 대해 묻고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생각, 느낌, 규칙에 대해 탐색함
- 문제가 목적, 희망, 가치, 소신에 미치는 영향, 미래 가족의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핌
- 문제의 영향력 탐색 질문 예시
딸에게 붙어 있는 ‘찔끔이’ (야뇨증)가 어떻게 가족을 힘들게 하나요?
남편의 ‘주먹’이 계속 나타나게 하는 관계나 규범은 어떤 것이 있나요?
‘지각’이 앞으로 당신이 원하는 가치나 바람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2) 사람의 영향력
- 가족이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알아봄
- 가족이 문제를 조절할 수 있었던 상황(독특한 결과)을 상세히 말하게 함
- 가족이 상황을 떠올리면 상황적 특성, 당시의 행동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함
- 사람의 영향력 탐색 질문 예시
‘깜박이’(틱)보다 당신이 우월하다고 생각되었던 상황이 있었나요?
‘갈등’(부부싸움)이 덜 나타났던 때는 언제인가요?
제 8절 문제의 영향력을 평가하고 정당화 기술
1)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 문제의 영향에 관한 가족의 생각과 입장을 알아옴
- 질문 예시
‘쾅쾅이’ (ADHD)가 나타나면 어떤가요?
‘문제’가 불쑥 나타는 것이 괜찮은가요?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세요?
2) 평가를 정당화하기
-문제의 영향력을 평가한 이유를 알아봄
-독특한 결과를 탐색하는 기초가 되므로 중요함
-질문 예시
‘문제’로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나요?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 괜찮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제’를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세요.
- 이야기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입장진술지도로 여기에서는 문제를 경청하고 해체하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 문제 경청과 해체를 위한 입장진술지도 기업으로는 경청,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외현화),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평가를 정당화하기가 있다
추천자료
이 시대를 사는 따뜻한 부모들의 이야기
이 시대를 사는 부모들의 따뜻한 이야기
[독후감] 서평: '마시멜로이야기'를 읽고(A+)
[독서치료][독서치료 가치][독서치료 유형][독서치료 원리][독서치료 방법][독서치료를 위한 ...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개념과 유형,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배경과 변천사, 치료특수...
심리문제의 사례와 해결 그리고 나의 이야기
가족치료 개념과 역사, 가족치료 발달, 가족치료와 개인치료, 가족치료와 가족체계치료, 가족...
조르주 바타이유(Georges Bataille)의 눈(目) 이야기
문학치료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정서체험 양상 - 문학치료의 정서체험, 문학치료의 설계 및 ...
미술치료-정의 개념 목적 역사,아동미술의 발달단계,특수아의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심층심...
전략적가족치료모델(전략적가족치료, MRI, Haley, Milan, 전략적가족치료사례, 전략적가족치...
[독서보고서]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를 읽고 (상담의 과정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인...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패치 아담스 영화감상문 / 최근 활동 및 동향 조사 (영화이후 최근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