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성들이 원했던 사랑은 어떤 것이었을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여성들이 원했던 사랑은 어떤 것이었을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ⅰ) 신여성, 그들은 누구였을까?

ⅱ)남성의 시선에 의해 왜곡된 신여성들의 사랑과 결혼

ⅲ) 용감한 나혜석, 그녀의 고백

Ⅲ. 결론

본문내용

조관념이었다. 즉 여러 가지 사회적 제약 때문에 생활을 통일하기 위하여 편의상 정조관념을 가질 뿐이라는 것이다. 그녀는 남편을 잊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이성 교제는 문제가 없다는 생각과 여성의 정조가 소중하면 남성의 정조도 마찬가지라는 논리를 근거로 파리에서의 최린과의 간통관계를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에 잘못을 빌지는 않고 단 한 가지, ‘인격을 통일치 못하고, 그 생활을 통일치 못한 것’, 다시 말해 회의하고 분열하여 흔들린 자신의 모습에 대한 부분만을 사죄하고 있다. 진실한 자기 반성, 자기 비판으로서의 고백이 무엇인가를 글쓰기로 보여주고 그것은 자기 속의 타자를 느낀 자의 자기 성찰이었다. 왜 여자와 남자가 똑같이 간통을 했는데 여성에게만 그 벌이 가혹하게 갚아져야 하느냐는 항의를 받아 줄 법적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인정을 원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선택한 고백은 격렬한 비난을 받게 되고 그럴 때마다 나혜석은 자신의 고백내용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한편으로 나혜석의 입지를 좁히며 아울러 자신이 전략적으로 설정한 입지에 의한 타인들의 규정에 다시 사진이 교정되는 것이다.
대안도 없고 단지 자신 속에서 느껴지는 것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시점에서 나혜석의 용감한 고백은 전복의 계기를 맞지만 솔직하다는 당당함은 논리 전복의 잠재력을 지닌 채 1920년대의 한국 근대의 한 구석에 웅크리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당시 신여성들은 남성과의 동등한 교육을 받기를 원하였고 순수한 자신의 사랑을 위해 자신의 사회적 지위도 버릴 수 있는 여성이었다.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어느 면에서도 비난받을 만한 여건을 가지고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지식인 남성들의 구부러질대로 구부러진 왜곡된 시선 때문에 성적 욕망의 자극제로 몰락하며 비난받아야 했던 것과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섹슈얼리티의 차별적용에 용감하고 당당하게 맞선 나혜석의 고백을 연구해보았다.
색슈얼리티의 차별적 적용은 현재에도 잔재가 남아있다. 순결과 정조에 관한 차별, 자기의 사회적 경력을 저하시킬 출산에 대한 두려움 등에서 그 잔재를 찾을 수 있다.
나혜석의 고백은 여성해방과 개혁논리, 분노와 울분, 항거의 목소리가 생생히 녹아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남성들에 의해 다시 판단되고 공개되는 것이 당시 가부장적 사회제도에 따른 타자로서의 힘없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을 충분히 활용치 못한 아쉬움과 함께 본고를 끝맺으려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