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박태원과 그의 소설
2. 소설의 특성과 줄거리
3. 세상과의 분리
4. 끝낼 수 없는 고독감
5. 생각의 변화
6. 세상과의 타협
7. 결말
2. 소설의 특성과 줄거리
3. 세상과의 분리
4. 끝낼 수 없는 고독감
5. 생각의 변화
6. 세상과의 타협
7. 결말
본문내용
. 그는 단지 어머니에게는 편안한 잠을- 이 부분에서 알수 있듯이 어머니를 위하여 행복을 찾았다기보단 자신의 생각을 절충시키는 것이다.
7. 결말
전차가 왔다. 사람들은 내리고 또 탔다. 구보는 잠깐 멍하니 그 곳에 서있었다. 그러나 자기와 더불어 극소이 있던 온갖 사람들이 모두 자차에 오른다 보았을때 그는 저혼자 그곳에남아 있는 것에 외로움과 애닯음을 맛본다. 구보는 움직이는 전차에 뛰어올랐다.
이부분은 나중에 구보의 사상과 변화에 대한 복선으로 보여진다. 결국 구보는 자신 혼자와 세상과의 분열된 사상을 생각해 볼때 소외감과 외로움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 또한 그 산업화된 삶 속으로 들어 갈 수 밖에 없었다고 보여진다.
그는 이처럼 벗을 찾아 고독은 피하면 그만이라 생각하여 무리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열차를 타고 이리저리 방황 하지만 결국 자신은 그 속으로 갈수없다는 것을 느끼며 소외감을 느낀다. 남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하여 가엽고 딱하게 느끼며 대학노트를 쓰려다 일본 경찰의 눈초리를 보며 사라들의 연대감의 상실을 맛보게 된다. 이러한 행복을 찾기위한 방황의 끝에서 경성이란 곳은 더럽고 역겨우며 삶의 활력을 얻기는커녕 계속되는 고독감만을 느끼며 피로만 쌓이게 된다. 이 경성이란 곳은 겉으론 화려한 근대화 속에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식민지 시대에서 경성은 끈임없는 파란속에서 행복이란 어느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희망사항이라고 구보는 생각할 수밖에 없다. 구보는 이 경성을 걸어 다니며 느낀 자신의 생각을 체념하고 절충시켜 집으로 돌아감으로 세상과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7. 결말
전차가 왔다. 사람들은 내리고 또 탔다. 구보는 잠깐 멍하니 그 곳에 서있었다. 그러나 자기와 더불어 극소이 있던 온갖 사람들이 모두 자차에 오른다 보았을때 그는 저혼자 그곳에남아 있는 것에 외로움과 애닯음을 맛본다. 구보는 움직이는 전차에 뛰어올랐다.
이부분은 나중에 구보의 사상과 변화에 대한 복선으로 보여진다. 결국 구보는 자신 혼자와 세상과의 분열된 사상을 생각해 볼때 소외감과 외로움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 또한 그 산업화된 삶 속으로 들어 갈 수 밖에 없었다고 보여진다.
그는 이처럼 벗을 찾아 고독은 피하면 그만이라 생각하여 무리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열차를 타고 이리저리 방황 하지만 결국 자신은 그 속으로 갈수없다는 것을 느끼며 소외감을 느낀다. 남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하여 가엽고 딱하게 느끼며 대학노트를 쓰려다 일본 경찰의 눈초리를 보며 사라들의 연대감의 상실을 맛보게 된다. 이러한 행복을 찾기위한 방황의 끝에서 경성이란 곳은 더럽고 역겨우며 삶의 활력을 얻기는커녕 계속되는 고독감만을 느끼며 피로만 쌓이게 된다. 이 경성이란 곳은 겉으론 화려한 근대화 속에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식민지 시대에서 경성은 끈임없는 파란속에서 행복이란 어느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희망사항이라고 구보는 생각할 수밖에 없다. 구보는 이 경성을 걸어 다니며 느낀 자신의 생각을 체념하고 절충시켜 집으로 돌아감으로 세상과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