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과 지역사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찰과 지역사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경찰과 지역사회 관계

1. 의의

2. 목적

3. 구성요소

4. 경찰과 지역주민간의 관계개선

5. 경찰과 언론기관과의 관계

본문내용

과 판단이 어려우며 보도시점에서는 모두 정보로 이해하기 때문에 오보와 정보의 파급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언론과 경찰은 양자의 역할만을 우선시하고 공영역 으로서의 본분을 상실하여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공익의 기능을 훼손시키는 오류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3) 경찰과 언론기관과의 관계개선
경찰의 대언론기관 정책의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는 영국경찰은 경찰의 공보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경찰이 언론기관의 보도에 의해 이끌려 다니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언론을 이용함으로써 오히려 경찰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는 홍보효과를 거두고 있다,
언론기관을 통한 보도 이전에 국민들에게 경찰관련 기사나 정보, 사건사고 그리고 수사진행 사항 등을 능동적으로 알림으로써 언론피해에 대한 예방차원에서의 홍보기능을 수행한다.
영국경찰의 공보기능은 경찰에 대한 비판적 보도가 있더라고 국민들에게 경찰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국민들의 비판보다는 오히려 지지를 받는 입장이다.
우리나라 경찰이 언론보도 후 기자회견장에서 보여주는 행태와는 사뭇 다르다. 사건을 은폐하고 축소하여 책임을 전가하고 단지 대책을 논의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경찰공보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언론전문가와 언론인 출신으로 구성된 경찰공보단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국민적 정서를 충분히 파악하여 경찰에 대해 분노하고 있는 대중을 진정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문공보관들은 경찰청과 지방경찰청뿐만 아니라 각 시.도 경찰서에도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