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_ 신명직 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_ 신명직 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서론.

본론.
1. 근대를 바라보는 시선
2. 만문만화 속의 근대주체
3. 경성의 풍경과 당대의 문화

결론.

본문내용

또 하나의 공간이 아스팔트다. 근대 교통수단의 소통공간인 아스팔트 보도와 그곳을 지켜주는 수은등의 이미지는 문자 그대로 ‘도회의 환상을 한 몸에 모아 가지고’있는 표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꿈을 현실에서 누릴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의 무리들뿐이다. 도시 소시민들의 눈에는 어둡고 시무룩할 뿐이다.
결론.
식민지라는 강압 속에서 다른 사람이 만들어준 근대화를 살아온 사람들의 표정과 태도는 각양각색이다. 자신이 지금껏 살아온 것과 너무나 다르기에 그들은 그 문화를 거부하지 못한 채 또 거부하려해도 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의 무기력함을 한탄하며 받아들인 사람들. 또, 예전의 삶이 편하지만 이 새로운 삶이 주는 색다른 느낌과 화려한 외향에 점점 매료되어 가는 사람들. 근대화란 낯선 삶속의 모던걸과 모던보이들의 모습과 그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알 수 있었다. 놀라움, 신기함, 호기심, 두려움, 그리고 분노 등 냉소적인 시선으로 과연 이들을 어리석다고 우리가 비웃을 수 있을까? 100년 전 그 모습을 벗어나지 못한 지금우이 모습을 보는 듯하다. 지금의 우리들 또한 아직도 지난날의 그들과 마찬가지의 모순과 가치관을 혼돈 속에서 헤매고 있을 뿐인데 말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8.25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