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서론.
본론.
1. 근대를 바라보는 시선
2. 만문만화 속의 근대주체
3. 경성의 풍경과 당대의 문화
결론.
서론.
본론.
1. 근대를 바라보는 시선
2. 만문만화 속의 근대주체
3. 경성의 풍경과 당대의 문화
결론.
본문내용
또 하나의 공간이 아스팔트다. 근대 교통수단의 소통공간인 아스팔트 보도와 그곳을 지켜주는 수은등의 이미지는 문자 그대로 ‘도회의 환상을 한 몸에 모아 가지고’있는 표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꿈을 현실에서 누릴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의 무리들뿐이다. 도시 소시민들의 눈에는 어둡고 시무룩할 뿐이다.
결론.
식민지라는 강압 속에서 다른 사람이 만들어준 근대화를 살아온 사람들의 표정과 태도는 각양각색이다. 자신이 지금껏 살아온 것과 너무나 다르기에 그들은 그 문화를 거부하지 못한 채 또 거부하려해도 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의 무기력함을 한탄하며 받아들인 사람들. 또, 예전의 삶이 편하지만 이 새로운 삶이 주는 색다른 느낌과 화려한 외향에 점점 매료되어 가는 사람들. 근대화란 낯선 삶속의 모던걸과 모던보이들의 모습과 그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알 수 있었다. 놀라움, 신기함, 호기심, 두려움, 그리고 분노 등 냉소적인 시선으로 과연 이들을 어리석다고 우리가 비웃을 수 있을까? 100년 전 그 모습을 벗어나지 못한 지금우이 모습을 보는 듯하다. 지금의 우리들 또한 아직도 지난날의 그들과 마찬가지의 모순과 가치관을 혼돈 속에서 헤매고 있을 뿐인데 말이다.
결론.
식민지라는 강압 속에서 다른 사람이 만들어준 근대화를 살아온 사람들의 표정과 태도는 각양각색이다. 자신이 지금껏 살아온 것과 너무나 다르기에 그들은 그 문화를 거부하지 못한 채 또 거부하려해도 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의 무기력함을 한탄하며 받아들인 사람들. 또, 예전의 삶이 편하지만 이 새로운 삶이 주는 색다른 느낌과 화려한 외향에 점점 매료되어 가는 사람들. 근대화란 낯선 삶속의 모던걸과 모던보이들의 모습과 그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알 수 있었다. 놀라움, 신기함, 호기심, 두려움, 그리고 분노 등 냉소적인 시선으로 과연 이들을 어리석다고 우리가 비웃을 수 있을까? 100년 전 그 모습을 벗어나지 못한 지금우이 모습을 보는 듯하다. 지금의 우리들 또한 아직도 지난날의 그들과 마찬가지의 모순과 가치관을 혼돈 속에서 헤매고 있을 뿐인데 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