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鄕歌)의 성격’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鄕歌)의 성격’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용어의 개념 정리
2. 향가의 성격
1) 용어(-앞 서 언급한-)를 통해 본 향가의 성격
2) 향가의 성격 정리
3. 작품을 통해 보는 향가의 성격
1) 의식이 깃들여 있다. (주술적 혹은 불교적 의식)
2) 美를 지닌다. (언어 및 율격)
3) 모든 계층이 향유 가능하였다.
4. 향가에 대한 고찰
5. 느낀점

본문내용

혹은 불교적 의식을 반영하는 작품이 많이 있다. 이는 작품 안에서 보여 지기도 하고, 혹은 그 배경 설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당 시대를 이끌어간 주요의식의 반영이라 볼 수 있다.
2) 美를 지닌다. (언어 및 율격)
① 4구체 향가-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② 8구체 향가- <모죽지랑가> <원가> <처용가> <도이장가>
③ 10구체 향가- <혜성가> <원왕생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 언어의 美를 나타내는 것을 찾는 것은 나의 주관이 개입하여 선택할 수밖에 없기에 앞 서 살펴 본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라는 용어의 개념과 특히, ‘사뇌’라는 이름의 원유에서 그 언어적 美에 대한 것을 유추하는 것으로 근거를 들도록 한다. 다음으로 율격의 美는 4.8.10구체 향가로 나누어-물론 이것에도 많은 이견이 있으나- 그 일정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것과 감탄사(8구체. 10구체)나 민요에서 볼 수 있는 형식(4구체)을 가지고 있는 작품도 있다는 것에서 그 율격의 美를 찾을 수 있겠다.
3) 모든 계층이 향유 가능하였다.
① 서동요
- 서동(百濟 武王)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서동이와 정을 통하고,
밤에 몰래 나와
서동을 안고는 (궁궐에 돌아) 가다.
현전하는 최초의 향가이며 향가 중 유일한 동요이다.
② 풍요(風謠)
- 萬姓 男女
來如來如來如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來如哀反多羅 오다 셔럽다라 오다 서럽더라
哀反多矣徒良 셔럽다 의내여 서러운 중생이여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 닷가라 오다 공덕 닦으러 오다
민요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양지가 불상을 만들 때 귀부인들이 진흙을 운반하면서 부른 불교적인 성향을 띈 노동요로, 민요에 이와 같은 노래가 있어 지금도 시골에서 사람들이 방아를 찧거나 무엇을 다지거나 하는 일을 할 때에는 모두 이것을 부르고 있는데, 이 노래가 그때에 비롯된 것이다.
③ 안민가(安民歌)
- 충담사(忠談師)
君隱父也 군(君)은 아비요
臣隱愛賜尸母史也 신(臣)은 사랑하시는 어미요,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 민(民)은 어리석은 아이라고 하실진댄
民是愛尸知古如 민(民)이 사랑을 알리라.
窟理叱大 生以支所音物生 대중(大衆)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此 惡支治良羅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此地 捨遺只於冬是去於丁 爲尸知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國惡支持以支知古如 할진대 나라 보전(保全)할 것을 알리라.
後句 君如臣多支民隱如 爲內尸等焉 아아, 군(君)답게 신(臣)답게 민(民)답게
國惡太平恨音叱如 한다면 나라가 태평을 지속하느니라.
'안민가'는 신라 경덕(景德)왕 때 승려인 충담사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이를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지은 노래라고 한다.
∴ <서동요>는 동요로, <풍요>는 노동요로 불린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향가를 향유하는 계층이 어린아이, 농사를 업으로 하던 서민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안민가>에서는 君, 臣 民 모두에게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가의 향유 계층이 정해져 있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앞 서 살펴본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에서도 알 수 있는데, 나는 ‘世人’ 이라는 단어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어떠한 계급을 나타내지 않고, 세상 사람들을 두루 뜻한다는 것에서 향유 계층의 구별이 없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4. 향가에 대한 고찰
지금까지 향가의 성격을 생각해 보았다. 필자는 향가의 성격을 담겨있는 의식, 보여 지는 미, 작품이나 배경설화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향유계층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향가는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의식을 보여주고,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이들에게 두루 불리어진 것으로 보인다. 분명 필자의 의견에는 부족한 면이 많고, 이견이 많을 것이다. 특히 필자가 정의한 향가의 성격이 모든 작품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에 그 한계가 있다. 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것은 ‘향가가 그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특히, <안민가>를 통해 알 수 있다. 충담사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이를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君, 臣 民 모두를 염두하여 작품을 썼다는 것은 사람들의 의식변화의 매개체로 향가를 이용하였고, 그 영향력을 기대하였다는 뜻이다. 이것은 향가가 전 계층의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나의 생각과 상통하는 자료가 있어 덧붙인다-
향가의 대부분은 ‘삼현삼죽’ 이라는 주체적으로 개량된 악기의 반주로 불리어졌는데, 단순한 성악위주의 민요 수준만이 아니라 상당히 세련된 가악으로서의 고급음악도 포함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그 후 번영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화랑제도와 함께 신라 향가가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사회의 구성원을 단결하도록 하는 것은 단지 규범적인 인간행위의 도덕원칙에만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인간의 정감을 조화시킬 수 있는 예술이 있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 당시 향가는 상류계층과 하층민을 소통시켜 모든 신라인들을 정서적으로나 사상적으로 하나로 결집시켜 줄 수 있는 거의 유일하고도 가장 강력한 매체였기 때문이다. 「향가와 한국의 전통음악」, 한흥섭,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논총 | 2004
5. 느낀점
항상 과제를 할 때마다 느끼는 점은 내가 습득한 지식의 양이 얼마나 적은가 하는 것이다. 너무나도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지금 이 시대에 내가 공부를 하는 것은, ‘정보와 지식으로 된 망망대해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것과 같은 꼴’이다. 이 과제를 하면서 특히 알게 된 것은 고전문학과 한자에 대한 나의 무지함이다. 책이나 논문 하나를 읽고 이해하는 것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들였는지 모른다. 배우는 입장에서 가르침을 받은 지 오래인데...나는 한자리에 그저 머물러만 있는 듯한 느낌이다. 이것이 가끔 나를 혼란스럽게도 하고, 허무하게 하지만, 이렇게 한참을 허우적대고 나면 언젠가는 앞으로 나아갈 것을 믿고 다시 정진해나가야겠다 .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5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