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 주택의 특징
Ⅱ. 일본 주택의 지역성
Ⅲ. 일본 주택의 역사
ⅰ) 일본의 전통 주택
ⅱ) 일본의 현대 주택
Ⅳ. 일본의 목조주택
Ⅴ. 일본 주택의 정원
Ⅵ. 우리나라의 주택 vs. 일본의 주택
Ⅱ. 일본 주택의 지역성
Ⅲ. 일본 주택의 역사
ⅰ) 일본의 전통 주택
ⅱ) 일본의 현대 주택
Ⅳ. 일본의 목조주택
Ⅴ. 일본 주택의 정원
Ⅵ. 우리나라의 주택 vs. 일본의 주택
본문내용
의 공간에 극락정토를 만들려고 하였는데 이를 말한다.
대표적인 정원 ; 금각사의 정원
③ 가마쿠라 시대의 정원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1185∼1333년)에는 중국의 선종의 영향을 받은 무사계급이 성장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주택과 정원의 양식이 변화 되었다. 그들은 집안에서 정원을 감상하는 것을 더 즐겼는데 그에 따라 정원도 그들의 시각적인 흥미를 끌만한 형식으로 디자인 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조경사와 ‘이시타테소’(직역하면 바위를 배치하는 수도사)가 등장하였다.
* 선종사원의 정원
선종에서는 설법보다는 좌선을 중요시했기때문에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화려함보다는 깊숙한 곳에 있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을 더 귀하게 여겼다. 이러한 취향을 잘 살릴수 있는 것이 바로 돌이었다. 돌을 감상하는 취미는 이 시대부터 본격화하기 시작한것으로 독특한 모양을 지닌 돌을 조합하여 만든 정원은 독특한 미의식에서 나온 세련된 정원 양식이라고 할수있다.
④ 무로마치시대의 정원
일본정원의 황금기. ‘센즈이 카와라모노’(산, 도랑, 강바닥을 만드는 사람들)라고 불리던 숙련된 장인 집단들은‘가레산스이’(枯山水-돌과 모래로만 산수를 표현한 정원)라고 하는 새로운 양식의 정원을 만들었다. 선종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러한 정원들은 매우 추상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바위들은 산과 폭포를, 흰모래는 유수를 표현하는데 쓰였다.
* 가레산스이
연못이나 흐르는 물이 없지만 바닥에 잘게 부순 돌이나 흰모레를 깔아 수면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내는 방식.
대표적인 정원 ; 교토에 있는 ‘료안지’(龍安寺)
‘다이토쿠지’(大德寺)의 바위 정원.
⑤도산시대(모모야마시대)의 정원
15세기 후반부터 금융업자 등의 부유 계층 사람들 사이에 다회가 성행하였다. 다회가 열리는 다실에 정원을 만들어 한적한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하던것이 귀족들의 넒은 저택안에 다실이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생기게 된다. 신덴즈쿠리풍의 정원의 전통과 쇼인의 정원 양식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양식으로 조성한 다실의 정원을 차니와 또는 로지라 한다.
* 차니와 (로지)
집과 집 사이에 있는 길고 좁은 길 또는 부지내에 만들어진 좁은 통로를 의미한다.
다도에서는 대문을 들어서서 다실문 바로 앞에 이르기까지의 통로가 되는 정원을 로지라고 했다. (이는 모모야마 시대의 유명한 다인인 센노리큐가 고안해낸 양식) 로지 양식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시기는 1570년 이후이다. 바닥에는 신발이 물에 젖지 않도록 징검돌인 도비이시를 고안해내 고석 등 울타리 세우고 한적한 분위기와 다실의 청정한 분위기를 주는 간소한 조형물을 적절히 배치하여 놓은 것이다.
(참고) 쇼인식정원 : 쇼인에 딸린 정원 양식. 쇼인은 무사나 귀족들이 모이는 일종의 사교장으로서 차를 마시기도하고 미술품을 감상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곳으로 화려한 물건을 장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원래 쇼인은 선사에서 승려가 서적을 읽는 방을 가리킨다. 그러한 것이 무로마치 시대가 되자 귀족들의 저택에 도입되어 쇼인즈쿠리라는 주택양식의 한가지로 정착되었다.
⑥ 강호시대(에도시대)의 정원
수세기에 걸쳐 생겨난 다양한 정원형태는 에도 시대(江戶時代 1600∼1868년)에 이르러 ‘카이유(回遊) 형식’으로 종합되었는데 이 형식의 정원은 봉건영주를 위한 것이었다.
* 카이유 형식
정원안에 거대한 바위와 나무로서 자신이 좋아하는 명승지를 본떠서 만든 산이나 언덕, 연못 등을 배치해놓고 연못주위를 회유하듯이 감상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특히 귀족 저택의 정원으로 조성하였지만 당시 일반 서민에게도 개방하여 산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표적인 정원 ; 이바라키(茨城)현의 미토(水戶)에 있는 '가이라쿠엔', 이시카와(石川)현의 가나자와(金澤)에 있는 '겐로쿠엔'(兼六園), 오카야마(岡山)현의 오카야마에 있는 '코라쿠엔'.
⑦ 명치시대의 정원
메이지 시대(明治時代 1868∼1912)초기에는 서양의 정원양식이 전통 일본 정원에도 영향을 미쳐 잔디밭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 대신 자연석을 쓰는 기법은 많이 줄고 돌도 사석이라고 해서 중요장소에 한개만을 마치 내버려둔듯이 자연스럽게 배치하는 방식이 널리 행하여졌다.
2) 일본 정원조성의 원리
첫째,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표현한다는 원리
꾸밈 없이 자연과 인간의 만남을 나타내어 일본 정원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다.
둘째, 자연을 인간의 품 안으로 끌어들인다는 차경의 원리.
차경(샷케이)이란 먼 산이나 사원의 지붕이나 탑 등의 아름다운 조망을 그대로 정원의 일부로 끌어 들인다는 것. 자연의 아름다움을 순수하게 보존하여 최상의 상태를 그대로 어느 공간에 모아 놓는다는 정원 이념이 바로 차경의 원리라고 할수 있다. 이러한 차경 양식은 헤이안시대부터 이용되었다. 대표적인 정원 슈가쿠인이궁의 정원.
셋째, 자연을 압축하여 만든다는 축경 원리.
정원을 만든다는 의식. 즉 정원을 인간의 추상적인 의지를 구체적인 형상으로 조성해 내는 것. 불교적 우주관을 가지고 정원을 소우주로 표현하려는 조경의식.
Ⅵ. 우리나라의 주택 vs. 일본의 주택
1. 일본의 주택이 높고 목재로 지은 것에 반해 우리나라의 주택은 전반적으로 낮으며 벽돌 및 콘크리트를 구조체로 지은 주택이 대부분이다.
2. 일본은 난방을 위해 다다미를 깔고 고다쯔라고 하는 난방 기구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는 예전에는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장을 뜨겁게 하는 난방방식을 이용했고, 현대에 와서 는 방바닥에 온수파이프를 보내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3. 일본의 주택에 설치한 부쯔단(불단)이나 도꼬노마 등은 우리나라에서는 설치하지 않는다.
4. 창문에 설치하는 아마도를 우리나라에서는 설치하지 않고 대신 쇠창살을 설치해 도난을 방지한다.
5. 아파트의 형식에서도 일본에서는 주방과 식당, 거실을 하나로 엮어 사용하고 있으나 우 리 나라에서는 원룸을 제외하고는 주방과 거실은 분리하는 편이다.
6. 바닥 재료가 일본은 다다미나 목재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비닐계 시트를 깔거나 장판지를 바른다.
7. 목욕탕의 욕조가 일본에서는 목재가 많은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도기나 FRP 등의 재료가 많다.
대표적인 정원 ; 금각사의 정원
③ 가마쿠라 시대의 정원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1185∼1333년)에는 중국의 선종의 영향을 받은 무사계급이 성장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주택과 정원의 양식이 변화 되었다. 그들은 집안에서 정원을 감상하는 것을 더 즐겼는데 그에 따라 정원도 그들의 시각적인 흥미를 끌만한 형식으로 디자인 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조경사와 ‘이시타테소’(직역하면 바위를 배치하는 수도사)가 등장하였다.
* 선종사원의 정원
선종에서는 설법보다는 좌선을 중요시했기때문에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화려함보다는 깊숙한 곳에 있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을 더 귀하게 여겼다. 이러한 취향을 잘 살릴수 있는 것이 바로 돌이었다. 돌을 감상하는 취미는 이 시대부터 본격화하기 시작한것으로 독특한 모양을 지닌 돌을 조합하여 만든 정원은 독특한 미의식에서 나온 세련된 정원 양식이라고 할수있다.
④ 무로마치시대의 정원
일본정원의 황금기. ‘센즈이 카와라모노’(산, 도랑, 강바닥을 만드는 사람들)라고 불리던 숙련된 장인 집단들은‘가레산스이’(枯山水-돌과 모래로만 산수를 표현한 정원)라고 하는 새로운 양식의 정원을 만들었다. 선종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러한 정원들은 매우 추상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바위들은 산과 폭포를, 흰모래는 유수를 표현하는데 쓰였다.
* 가레산스이
연못이나 흐르는 물이 없지만 바닥에 잘게 부순 돌이나 흰모레를 깔아 수면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내는 방식.
대표적인 정원 ; 교토에 있는 ‘료안지’(龍安寺)
‘다이토쿠지’(大德寺)의 바위 정원.
⑤도산시대(모모야마시대)의 정원
15세기 후반부터 금융업자 등의 부유 계층 사람들 사이에 다회가 성행하였다. 다회가 열리는 다실에 정원을 만들어 한적한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하던것이 귀족들의 넒은 저택안에 다실이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생기게 된다. 신덴즈쿠리풍의 정원의 전통과 쇼인의 정원 양식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양식으로 조성한 다실의 정원을 차니와 또는 로지라 한다.
* 차니와 (로지)
집과 집 사이에 있는 길고 좁은 길 또는 부지내에 만들어진 좁은 통로를 의미한다.
다도에서는 대문을 들어서서 다실문 바로 앞에 이르기까지의 통로가 되는 정원을 로지라고 했다. (이는 모모야마 시대의 유명한 다인인 센노리큐가 고안해낸 양식) 로지 양식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시기는 1570년 이후이다. 바닥에는 신발이 물에 젖지 않도록 징검돌인 도비이시를 고안해내 고석 등 울타리 세우고 한적한 분위기와 다실의 청정한 분위기를 주는 간소한 조형물을 적절히 배치하여 놓은 것이다.
(참고) 쇼인식정원 : 쇼인에 딸린 정원 양식. 쇼인은 무사나 귀족들이 모이는 일종의 사교장으로서 차를 마시기도하고 미술품을 감상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곳으로 화려한 물건을 장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원래 쇼인은 선사에서 승려가 서적을 읽는 방을 가리킨다. 그러한 것이 무로마치 시대가 되자 귀족들의 저택에 도입되어 쇼인즈쿠리라는 주택양식의 한가지로 정착되었다.
⑥ 강호시대(에도시대)의 정원
수세기에 걸쳐 생겨난 다양한 정원형태는 에도 시대(江戶時代 1600∼1868년)에 이르러 ‘카이유(回遊) 형식’으로 종합되었는데 이 형식의 정원은 봉건영주를 위한 것이었다.
* 카이유 형식
정원안에 거대한 바위와 나무로서 자신이 좋아하는 명승지를 본떠서 만든 산이나 언덕, 연못 등을 배치해놓고 연못주위를 회유하듯이 감상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특히 귀족 저택의 정원으로 조성하였지만 당시 일반 서민에게도 개방하여 산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표적인 정원 ; 이바라키(茨城)현의 미토(水戶)에 있는 '가이라쿠엔', 이시카와(石川)현의 가나자와(金澤)에 있는 '겐로쿠엔'(兼六園), 오카야마(岡山)현의 오카야마에 있는 '코라쿠엔'.
⑦ 명치시대의 정원
메이지 시대(明治時代 1868∼1912)초기에는 서양의 정원양식이 전통 일본 정원에도 영향을 미쳐 잔디밭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 대신 자연석을 쓰는 기법은 많이 줄고 돌도 사석이라고 해서 중요장소에 한개만을 마치 내버려둔듯이 자연스럽게 배치하는 방식이 널리 행하여졌다.
2) 일본 정원조성의 원리
첫째,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표현한다는 원리
꾸밈 없이 자연과 인간의 만남을 나타내어 일본 정원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다.
둘째, 자연을 인간의 품 안으로 끌어들인다는 차경의 원리.
차경(샷케이)이란 먼 산이나 사원의 지붕이나 탑 등의 아름다운 조망을 그대로 정원의 일부로 끌어 들인다는 것. 자연의 아름다움을 순수하게 보존하여 최상의 상태를 그대로 어느 공간에 모아 놓는다는 정원 이념이 바로 차경의 원리라고 할수 있다. 이러한 차경 양식은 헤이안시대부터 이용되었다. 대표적인 정원 슈가쿠인이궁의 정원.
셋째, 자연을 압축하여 만든다는 축경 원리.
정원을 만든다는 의식. 즉 정원을 인간의 추상적인 의지를 구체적인 형상으로 조성해 내는 것. 불교적 우주관을 가지고 정원을 소우주로 표현하려는 조경의식.
Ⅵ. 우리나라의 주택 vs. 일본의 주택
1. 일본의 주택이 높고 목재로 지은 것에 반해 우리나라의 주택은 전반적으로 낮으며 벽돌 및 콘크리트를 구조체로 지은 주택이 대부분이다.
2. 일본은 난방을 위해 다다미를 깔고 고다쯔라고 하는 난방 기구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는 예전에는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장을 뜨겁게 하는 난방방식을 이용했고, 현대에 와서 는 방바닥에 온수파이프를 보내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3. 일본의 주택에 설치한 부쯔단(불단)이나 도꼬노마 등은 우리나라에서는 설치하지 않는다.
4. 창문에 설치하는 아마도를 우리나라에서는 설치하지 않고 대신 쇠창살을 설치해 도난을 방지한다.
5. 아파트의 형식에서도 일본에서는 주방과 식당, 거실을 하나로 엮어 사용하고 있으나 우 리 나라에서는 원룸을 제외하고는 주방과 거실은 분리하는 편이다.
6. 바닥 재료가 일본은 다다미나 목재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비닐계 시트를 깔거나 장판지를 바른다.
7. 목욕탕의 욕조가 일본에서는 목재가 많은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도기나 FRP 등의 재료가 많다.
추천자료
현대 주택정원의 전통계승기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고건축 한옥(주택건축)
안도다다오,스미요시주택
넓게본 중국의주택
스미요시 나가야(아즈마)주택
정책제안서 “서울시 주택 주차난 해소를 위한 방안 - 서울시 주차정책을 중심으로”
[독후감/감상문/서평]콘크리트 주택에서는 9년 일찍 죽는다
국내&외의 유명 기업 조사-대한주택공사, 신세계, 도요타,삼성
21세기형 주택
167,1인가구,증가,주택시장,부동산시장,미치는,도시계획제도,영향,1P요약,1300
이명박 정권의 주택정책에 대한 분석과 비판
[주택론] 한옥(韓屋)의 특징 및 상징성 그리고 우수성
안도 다다오의 스미요시 주택 사례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