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아이들이 어떤 감정에 사로잡혀서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다른 어떠한 감정들보다도 아이들의 부드럽고 여린 영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지시하거나 또는 지식을 전달할 때에는 아이들의 마음이 차분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해야만 된다.
반듯하고 규칙적인 글자를 흔들리는 종이 위에다가 쓸 수는 없듯이, 두려움에 벌벌 떨고 있는 아이의 마음속에 올바른 규칙이나 교훈들을 심어주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우리사회는 그동안 세계에서 그 유례가 없는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장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질 수 없게 하는 요소들이 매우 많은데, 그 근본 원인을 캐어 들어가다 보면 결국 잘못된 ‘가정교육’과 ‘학교교육’, 그리고 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상실한 ‘교육 제도’, 학과 공부를 교육의 전부로서 잘못 인식한 교육철학 부재로 아동 및 청소년들을 교육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잘못된 교육을 손질하여 이 땅에 ‘참된 인간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한 ‘최고의 지침서’가 바로 내가 읽은 존 로크의 ‘교육론’이라고 생각되었다.
아이들이 어떤 감정에 사로잡혀서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다른 어떠한 감정들보다도 아이들의 부드럽고 여린 영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지시하거나 또는 지식을 전달할 때에는 아이들의 마음이 차분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해야만 된다.
반듯하고 규칙적인 글자를 흔들리는 종이 위에다가 쓸 수는 없듯이, 두려움에 벌벌 떨고 있는 아이의 마음속에 올바른 규칙이나 교훈들을 심어주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우리사회는 그동안 세계에서 그 유례가 없는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장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질 수 없게 하는 요소들이 매우 많은데, 그 근본 원인을 캐어 들어가다 보면 결국 잘못된 ‘가정교육’과 ‘학교교육’, 그리고 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상실한 ‘교육 제도’, 학과 공부를 교육의 전부로서 잘못 인식한 교육철학 부재로 아동 및 청소년들을 교육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잘못된 교육을 손질하여 이 땅에 ‘참된 인간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한 ‘최고의 지침서’가 바로 내가 읽은 존 로크의 ‘교육론’이라고 생각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