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문화] 각 지역의 떡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과 문화] 각 지역의 떡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틀에 설탕에 버무린 쌀가루를 담
고, 윗면을 평평하게 주걱으로 다듬어준
다.
6. 김이 날 때 찜통에 넣어 20분정도 쪄
주고, 불에서 내려서 뚜껑 덮은 상태로
5분정도 놔두어 뜸을 들여 준다.
7. 보기 좋게 담아주면 완성된다.
● 전라도
- 자연적 특성에 의해 먹을거리가 풍부한데다 예부터 부유한 토반들이 대대로 살
면서 맛깔스런 음식을 전하고 있어, 어느 도보다도 음식이 사치스럽고 가지 수가
많기로 유명하다. 떡도 예외는 아니어서 국내 최고의 곡물 산지답게 감을 이용한
사치스러운 떡에서부터 약초로 만든 떡에 이르기까지 풍부하고 윤택하게 발달되
어 전해지고 있다.
감고지떡
재료 - 멥쌀가루, 거피팥, 감고지 소금,
설탕
감고지
:: 단감을 껍질을 깎아서 얇게 저며 그늘
에서 말린 것이다.
(햇빛에 말리면 감 본연의 색이 나지
않고 그늘에서 말리면 원래의 감 색
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꼭 그늘
에서 말리도록 한다.)
1. 멥쌀가루를 고운채에 두 번정도 내려준
다.
2. 멥쌀가루에 물을 준다.
(쥐었을 때 살짝 덩어리가 지면서 툭
건드리면 두 조각이 나는 정도가 물주
기가 잘 된 상태다.)
3. 거피팥을 팬에 분량의 소금과 설탕을 넣
고 약불에서 볶아준다.
(센불에서 하면 고불이 탈 수 있기 때
문에 꼭 약불에서 볶아주어야 한다.)
4. 거피팥이 보슬보슬해지면 불을 끄고, 고
물을 굵은체에 한번 내려준다.
5. 체에 내린 쌀가루에 설탕을 넣어준다.
6. 찜기 바닥에 고물을 먼저 앉혀주고, 그
다음 쌀가루를 넣고 가운데에 감고지를
넣어 켜를 준다.
7. 감고지위에 쌀가루를 얹이고 맨 위에는
고물을 다시 올려준다.
8. 찜통에 김이 오르면 18분정도 쪄준다.
9. 장식용으로 장식해주면 완성된다.
● 제주도
- 물이 적어 밭작물이 주로 재배되기 때문에 다른 지방에 비해 떡의 종류가 적고
쌀로 만드는 떡은 명절, 제사 등 특별한 때에만 만들고 평소에는 잡곡이나 고구마
감자, 조, 보리, 메밀 등 밭작물을 이용하여 밭작물로 만든 떡을 주로 해먹는다.
상애떡(상외떡)
재료 - 멥쌀가루, 밀가루, 소금, 생이스트
<소>
팥, 설탕
1. 팥을 깨끗이 씻어 불린 것을 한번 끓여
물을 따라내고, 새 물을 3컵정도 부어 푹
삶아내고 주걱으로 으깨어 가며 질지 않
도록 졸여낸 후 설탕을 섞어 소를 만든
다. (이 때, 소금을 조금 넣어줘도 된다.)
2. 미지근한 40도의 물에 이스트를 풀어서
설탕을 넣어 10분정도 발효시킨다.
3. 멥쌀가루와 밀가루에 소금을 섞어 고운
채에 내려준다.
4. 2에 기포가 생기며 발효가 되면 물을
더 넣어 체에 내린 가루를 20분동안 반
죽하여 부드럽고 찰지게 한다.
5. 스탠볼에 반죽을 담고 랩으로 덮은 것을
40도에서 1시간동안 발효시킨다.
6. 1시간 후 부풀어 오른 반죽을 공기를
빼내며 치대어 소를 넣고 동그랗게 성
형해준다.
7. 찌기 전에 젖은 면보를 씌워 20~30분
정도 더 발효시키고 김오른 찜통에 10
분간 쪄준다.
8. 찐 것을 보기 좋게 담으면 완성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