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수집방법의 설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료수집방법의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8 치매노인 일살생활수행능력 프로그램의 평가분석틀
목표
1. 2001년 12월 7일까지 참여한 치매노인의 70%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도록 향상시킨다.
2. 2001년 12월 7일까지 참여한 치매노인의 70%가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유의미한 차이가 있도록 향상시킨다.
평가
지표
전체 치매노인 중 보행, 식사, 옷입기, 배변관리, 목욕 등 일반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일정점수(7점)이상 훌륭히 수행한 클라이언트의 수와 퍼센트
전체 치매노인 중 혼자 힘으로 식사준비, 방청소, 외출, 전화받기, 돈관리 등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일정점수(7점)이상 훌륭히 수행한 클라이언트의 수와 퍼센트
자료출처 및 수집방법
직원에 의한 클라이언트 일상생활수행능력 척도 기입
측정
도구
및 방법
1. Modified Barthel Index of Daily Living이라는 일상생활 수행능력 척도를 사용한다. 각 하위지표들을 도움을 필요로 하는 빈도, 다시 말해 혼자 수행한 빈도에 따라 5점 척도로 측정한다(예: ② 자주 도움이 필요하다, ④ 자주 혼자서 할 수 있다).
2.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매노인 중 70%(7명)가 각 측정도구 10개의 문항중 7개 문항에서 문항 당 평균점수 4점 이상이 되었을 때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본다.
3. 평가자는 사회복지사와 자원봉사자들의 체크를 기준으로 하고 이들 간에 점수 차이가 큰 클라이언트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의 개별일지 내용을 참고로 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한다.
평가

클라이언트 김00 할아버지 측정도구의 평균점수, ①-5점,②-3점, ③-3점,④-3점⑤-4점을 얻었다면, 혼자 힘으로 보행하기와 혼자 힘으로 목욕하기에서 프로그램 시행에 따는 효과성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과정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 10명중 7명이 10개의 문항 중 7개에 평균 4점이상을 얻었을 때 프로그램 목표 1이 달성되었고 본 프로그램이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클라이언트 이00 할머니는 측정도구의 평균점수, ①-3점,②-3점,③-2점,④-3점⑤-2점을 얻었다면, 이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시행에 따는 효과성이 없다고 본다. 이때는 담당 사회복지사의 개별일지를 참고하여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참여도와 노력성을 다시 판단하고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반영하여 타 기관에 의뢰하거나 좀 더 쉬운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클라이언트에게 본 프로그램은 효과성이 없는 것으로 본다.
영향을 주는 요인들
클라이언트의 연령, 성별, 학력, 유병율기간, 현재치료유무 등
클라이언트의 수행능력의 개별적 차이
클라이언트의 거주지 및 이웃관계 등
자료출처및 수집방법
가족을 통한 면접
상기설문지를 이용한 사전검사
가족 및 이웃 방문면접.
참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론 정 무성 2005
사회복지 프로포절 작성법 김 희성 2009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황 성철 2005
TP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우 수명 2004
Skidemore 1995 / 박 차상 1996 / Chambers, 2000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