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


1. 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1) 비가동성 관절(Synarthroses)
(1) 섬유성관절(Fibrous Joint)
(2) 연골성 관절(Cartilaginous Joint)
2) 가동성관절(Diarthrosis)
(1) 활액관절(synovial joint)

2. 관절의 기능(Joint Function)
1) 키네매틱사슬(Kinematic Chains)
2) 관절운동(Joint Motion)
(1)관절면 운동(Arthrokinematic)
(2) 골운동(Osteokinematic)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축하고 있는 운동은 6°의 운동자유도 모델(6-of freedom model)을 적용하여 더 철저히 기술되어야 한다.
모든 활액관절은 관절면이 최대로 서로 잘 일치되고(congruent)인대와 관절낭이 최대로 팽팽해지는 잠김위치(locked or close-packed)를 가지고 있다. 잠김위치는 보통 가동범위 맨끝이다. 잠김위치일 때 관절면은 서로 압축되고 관절이 최대 안정상을 가지며, 관절면을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는 인장력(tensile force)에 저항한다. 신전위치는 상완척관절(humeroulnar), 슬관절,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의 잠김위치이다. 관절의 열림위치(unlocked or loose-packed position)에서 관절면을 서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인대와 관절낭은 상대적으로 느슨하고 관절을 이루는 뼈는 능동으로 또는 수동을 해부학적 범위를 움직일 수 있다. 관절의 열림위치는 관절이 잠김위치가 아니면 항상 열림위치가 되고 열림의 정도는 관절위치에 따라 다르다. 열림위치에서 관절은 얼마간의 플레이(give or play)가 있다. 의사나 물리치료사에 의해 주어지는 외적인 힘은 한쪽 관절면이 다른쪽 관절면 위에서 운동할 수 있으며, 그 관절이 가지고 있는 조인트 플레이를 측정할 수 있다. 잠김위치에서 운동을 했다 말았다 하는 것은 관절이 잠기면서 압축되어 활액이 나오고 관절이 열리면서 흡수되기 때문에 관절영양에 좋은 영향을 준다. 손상된 관절은 부종(swelling)이 있어서 잠김위치일 때는 불편하다. 그러나 열림위치일 때는 관절강이 넓어져서 편안한 위치가 된다.
(2) 골운동(Osteokinematic)
골운동(osteokinematic)은 관절면의 운동이라기보다 관절을 이루는 뼈들의 운동을 말한다. 관절의 정상가동범위(ROM)는 때때로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 ROM이라 부르는데, 그것은 정상가동범위가 관절구조상 해부학적 한정된 범위내의 가능한 운동범위이기 때문이다. 해부학적 가동범위는 관절면의 모양, 관절낭, 인대, 근육의 크기(block),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건구조(musculotendinous)와 뼈의 구조를 포함한 여러 개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몇 개의 관절들에서는 뼈가 운동과 ROM을 제한하지 않고 단지 연부조직 구조(soft tissue structure)에 의해 한정된다. 예를 들면, 슬관절은 뼈에 의해 운동이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관절들은 뼈가 명확히 운동범위를 한정하고 연부조직의 제한이 첨가된다. 주관절에서 상완척(humeroulnar)관절은 신전될 때 상완골의 주도와(olecranon fossa)에 척골이 접촉됨으로 범위가 한정된다.
ROM이 정상적인 해부학적 운동제한을 넘거나 혹은 결핍되면 병적으로 고려된다. 관절의 가동범위가 정상범위를 넘게 될 때 과운동성(hypermobile)이라고 한다. ROM이 구조적으로 허용되는 범위보다 작을 때를 저운동성(hypomobile)이라고 한다. 과운동성은 관절을 이루는 뼈 혹은 연부조직에 의해 운동을 한정할 수 없기 때문이며, 관절의 불안정성(instability)을 초래한다. 저운동성은 뼈 혹은 연골조직이 운동을 차단하거나, 관절상 혹은 인대들이 정상 ROM을 허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장(elongation)될 수 없어서 일어난다. 구축(contracture)은 관절주위의 연부조직이 단축되었을 때 사용되는 용어이며 저운동성의 원인이다. 관절의 과운동성 혹은 저운동성은 그 관절뿐만 아니라 연접된 관절구조에도 나쁜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Cynthia C. Norkin, Pamela K. Levangie, 「임상운동학」, 영문출판사, 1998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