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당뇨병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치료] 당뇨병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순환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근육 및 지방세포 의 인슐린 수용체 감수성을 높이며, 또 수용체후 과정을 활성화하여 인슐린 반응도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인슐린의 말초조직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킨다.
3) 육체적인 운동은 지질 대사 장애를 교정하고 혈청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며 고혈 압을 완화하여 제 Ⅱ형 당뇨병의 주된 사망 원인인 조기동맥경화증의 예방에도 크 게 도움이 된다.
4) 취근의 연구 보고에 의하면 운동요법은 혈소판의 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혈전증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5)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해소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4. 금기증
당뇨병 환자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신체적인 운동을 피하거나 주의를 요한다.
1) 경구혈당제나 인슐린주사요법을 시행 중인 환자로 다이빙, 등산, 자동차 경주 등 저 혈당이 매우 위험한 경우에는 이들 운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2) 공복시 혈당 농도가 250mg%이상으로 심한 당뇨병 환자가 과격한 운동을 하면 혈 당이 더욱 상승되고 케톤산 혈증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3) 저체중(표준 체중의 90%이하)의 당뇨병 환자는 너무 과격한 운동은 피해야한다.
4) 제2형 당뇨병3환자로 심한 고혈압(180/110이상)이 있거나 관상동맥질환(협심증) 또 는 뇌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중등도 이상의 신체적인 운동은 피하는 것이 안전 하다.
5) 당뇨병성 증식성망막증이 있는 경우에 과격한 운동을 하면 망막 출혈을 일으킬 위 험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6)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 합병된 경우에 심한 하체 운동을 하면 족부 손상을 받을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7) 당뇨병성 신증으로 신장 기능이 감소되어 부종과 고혈압 및 심부전증이 병발된 경 우에는 신체적인 운동을 피해야 한다.
5. 운동 요법의 실제
1) 운동요법을 시행하기 전에 Exercise EKG test가 필요한 경우
① all symptomatic patients: uncontrolled diabetes, complicated diabetes
② age > 45 years
③ duration of DM > 20 years
2) 운동의 종류
운동은 각자의 취미에 따라 하되 산소성 운동이 좋으며, 우선 가벼운 운동, 예를 들 면 산책이나 도수 체조로 부터 시작하여 어느 정도 혈당이 조절되고 적응이 된 후 에는 줄넘기,자전거 타기, 수영이나 등산 등을 포함하여 많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3) 운동 종류별 칼로리 소모량
운동의 종류에 따른 매시간당 칼로리 소모량을 보면 다음과 같다.
산책이 시간당 240칼로리가 소모되고 골프 300칼로리, 정구 420카로리, 자전거 타기 450카로리, 수영 720카로리, 등산 780카로리가 소모된다. 따라서 당뇨병이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영이나 등산과 같이 격심한 운동은 피하고 산책을 하도록 권장 하는 것이 좋다.
6. 당뇨병 환자가 운동요법을 시작할 때에 유의할 사항
1) 심한 고혈압이 있거나 관상동맥질환(협심증)이 병발된 경우에는 과격한 운동은 피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주사를 맞는 환자에서는 심한 운동을 오래 계속하면 저혈 당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이에 대비하도록 환자에게 주의를 시켜야 한다.
7. 기간 및 빈도 8. 운동의 강도
cardiovascular fitness정도에 따라 운동 시작 3-4분후쯤에 운동중단후 5초이내에, heart, carotid, or temporal artery에서 10초간 잰 맥박에 6을 곱한수가 Maximal heart rate의 60-90%가 되도록 한다.
--> 1 분간 Target heart rate = (220 - age) x (0.6 to 0.9)
운동 중에 맥박수를 재기가 어려우면 등에서 땀이 촉촉히 날 정도로 하면 된다.
9. 운동시 치료 처방의 조정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가 운동시에 주의할 사항은 운동전, 운동중, 및 운동 후에 혈당 치를 측정하여 운동에 따른 혈당의 변를 파악하여야 한다. 특히 운동 중의 저혈당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켜야 한다.
① 식사후 1-2시간에 운동을 할 것
② 장시간 운동을 할 경우에는 매시간마다 30-40gm의 당질식품을 섭취할 것
③ 주사한 인슐린의 작용이 최대일 때는 심한 운동을 피할 것
④ 운동을 많이 하는 날은 인슐린 주사량을 30-50% 줄일 것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 장시간 신체적인 운동 후에는 지연성저혈당이 수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혈당을 측정 하여 낮으면 당질식품을 가외로 투여함이 필요하다.
⑤ 사지 부위를 많이 사용하는 운동시에는 인슐린 주사를 복부나 옆구리에 한다.
결론
당뇨병은 우리 사회에서 성인병 중의 하나로서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현대 생활의 식습관 형태의 변화가 당뇨병 발생 위험 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다른 이유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에는 당뇨병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상당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의 치료 서비스에 있어서 당뇨병을 함께 치료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리치료사로서의 자세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당뇨병 관리가 중요한 만큼 치료사들은 당뇨병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겠으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이유로 물리치료를 받으러 온 환자들이지만 그들의 당뇨병 관리가 올바르게 될 수 있도록 치료사들은 옆에서 환자들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당뇨병 관리에 있어서 물리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 physical modility(heat, cold 등)와 exercise가 필요한데, 이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치료방법들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또한 환자들의 무지에 의한 당뇨병 관리 소홀을 예방하기 위해 치료사들은 물리치료적 관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동원하여 환자를 주의시켜야 할 것이다.
치료사들이 위와 같은 사항들을 숙지하고 치료접근을 할 수 있다면 관리소홀로 인한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 및 악화 등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고 그럼으로써 현대 성인병 중의 하나인 당뇨병을 갖고 있는 많은 환자들에게 좀 더 편안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