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muscle weakness[근육약화]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장애의 원인이 과긴장도 형태의 강직이 문제인지, 아니면 최근에 주장하고 있는 근육약화의 문제인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치료] muscle weakness[근육약화]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장애의 원인이 과긴장도 형태의 강직이 문제인지, 아니면 최근에 주장하고 있는 근육약화의 문제인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의운동에 의한 강직 감소
2. 강직에서의 역학적인 요인들

Ⅲ. 결론

본문내용

는 초기 주동근 활성의 강도간에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들 연구들은 뇌졸중 환자들에서 시행되는 수동운동과 능동운동 모두가 주동근의 운동생성 능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완된 근육을 신장시킬 때에 발생되는 힘을 수동 장력(passive force)이라고 한다. 이 힘은 이완된 후 근육길이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능동적으로 수축하는 근육에서 근절(sarcomere)의 구조적인 통합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타이틴(titin)은 근절의 반쪽에 해당되는 Z-line에서 M-line까지 위치하는 거대 단백분자로써, A-band의 thick filament와 Z-line 양쪽을 연결시켜주기 때문에 근절이 신장될 때에 분자의 I-band가 확장됨으로써 수동 장력이 생성된다(Kellermayer 등, 1997), (그림4). 타이틴의 PEVK(proline, glumate valine, lysine) 부위는 신장될 때 낮은 강도의 스프링(low-stiffness spring)과 같이 작동된다. 골격근에서의 효율적인 탄력반응은 골격근에서 반복적인 역학적인 부하(mechanical load)가 적용되는 동안 타이틴의 적응기전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수축을 상실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타이틴에서 적응 변화가 일어남으로써 근육의 점탄성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Kellermayer 등, 1997: Tskhovrebova 등, 1997).
O'Dwyer 등(1996)은 과긴장도가 근절의 수의 감소와 결합조직의 점성의 증가로 인한 근육길이의 단측이 신장반사의 과흥분성보다 더 중요하게 기여한다고 하였다. 근육길이의 단축이 있는 일부 환자에서 증가된 긴장성 신장반사를 보였는데, 이는 단지 근육의 끝범위(end range)에서만 나타났다. 이것은 일부 환자들에서 근육길이의 단측이 강직의 증가에 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축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긴장성 신장반사는 증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강직을 감소시키는 전략보다는 근육과 결합조직의 점탄성의 변화를 일으키고, 교차-결합 강도(cross-bridge stiffness)를 줄이기 위한 치료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Hagbarth(1994)는 근강도(muscle stiffness)를 감소시키는 치료전략들을 소개하면서 PNF를 추천하였다. 그 이유는 단축된 근육에 유지-이완기술(hold-relax technique)과 같은 등척성 수축을 일으켜 이완이 일어난 후에 근육신장을 하면, 이미 존재하고 있던 액틴미오신 결합(actomyocin bonds)을 분해함으로써 근육 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림 4. Titin의 도식적 구조(Scott, 2000)
Ⅲ. 결론
많은 연구자들은 강직이 정도와 기능적인 수행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입증하는데 실패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근력의 정도와 기능적인 수행간의 관계는 입증되어 왔다. 편부전마비 환자에서 근육약화가 명백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30년 동안 치료의 초점이 되지 못하였다(Bourbonnais와 Noven, 1989).
이상의 논의에서 볼 때 강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사지의 전반적인 치료의 일부분으로써 강직으로 인한 비정상인 동시수축을 감소시키는 치료전략은 연구들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동시수축의 비정상적인 정도가 움직임을 차단한다는 가정은 타당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근육약화의 원인인 감소된 운동단위 동원을 증가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저항을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은 환자의 근력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로 인해 기능을 개선시킬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