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

2. location: “motor speech programmer”라고 불리는 곳

3. clinical characteristics

4. 말실행증의 말특성

5. assessment p.607

6. Intervention

7. dysarthria vs. AOS

8.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AS)

9. Apraxia

본문내용

하지만 요구할 때 적절한 gesture을 취하지 못함.
- buccofacial apraxia: 얼굴, 입술, 혀, 후두, 인두에 연관된 숙련된 운동 어려움.
휘파람 부는 흉내, 촛불 끄는 흉내.
- Limb apraxia: 사지와 연관된 숙련된 운동 어려움. 거수경례,
body part as object (BOP) error & perseveration error (보속증 오류)
(B) ideational apraxia
① 연속된 행동 또는 복잡한 행동을 요구하였을 때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함.
② 개개의 행동은 수행하나 올바른 순서대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③ 국소적인 병변보다는 전반적인 인지장애(치매)가 있을 때 발생하므로 국소진단은 어려움.
④ 실생활에 요구되는 연속적인 행동에 장애가 있으므로 일상생활에 부정적 영향.
ex) 김밥을 말고 써는 흉내, 담배 피우기, 자전거 타기, 피아노 치기, 종이접기
(C) collosal apraxia
① 좌반구의 praxis에 대한 정보가 우반구로 전달되지 못하여 왼쪽 손에 실행증을
보임.
⑥~⑦ 사이의 문제로 ⑦,⑧,⑨,⑩이 활동하지 않음.
(D) construction / dressing apraxia
① 우반구 병변에 의한 행동장애로 진정한 의미의 실행증은 아니라는 견해가 많음.
② 착의를 잘하지 못하거나, 공간에서 구조를 구성하는 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것은 지각 또는 인지장애에서 초래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
ex) 옷이라는 것을 알지만 윗도리와 아랫도리를 헷갈림 - 치매와 구별 어려움.
→ 진정한 실행증으로 보지 않고 우반구 인지장애로 보기도 함.
# ideomotor apraxia 평가 방버.
① limb apraxia와 buccofacial apraxia로 나눔.
② 도구를 사용하는 항목(transite)과 도구 사용이 필요 없는 항목(intransitive)이 포함.
③ BOP error (body part of object error)
④ perseveration error (보속증 오류)
⑤ 청각적 이해력 손상으로 인한 것과 감별진단하기 위해 WAB의 예-아니오 검사항목 등을 시행. - Wernicke 구별.
# apraxia of phonation
지시에 의한 발성은 불가능하나, 하품을 하거나 아플 때 등 자연스러운 발성은 가능.
ex) 자발적 발화는 잘하지만 “발성” 해 보세요 라고 말하면 /아/ 시행 어려움.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0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