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병리학개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Speech, Language, Communication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Careers in Communication Disorders
한국언어청능치료전문가협회 언어치료사 자격 요건
Vocal Mechanisms
Articulatory Mechanisms

본문내용

언어병리학개론








Speech, Language, Communication
━━━━━━━━━━─────────

말(Speech) : 의사소통을 위하여 필요한 근육 활동으로, 언어학적인 기호를 조음 및 음향학적으로 산출하는 것
언어(Language) : 세상의 사물, 사건, 생각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임의적으로 사용하는 기호로 말(auditory), 문자(graphic), 또는 몸짓(gestured)에 의한 상징체계
-> Form : Phonology, Syntax, Morphology
-> Content : Semantics
-> Use : Pragmatics








Speech, Language, Communication
━━━━━━━━━━─────────

- 음운론(Phonology) : 한 언어에서 음소들이 결합하는 체계 또는 규칙으로, 기본 단위는 음소(phoneme)이다.
- 형태론(Morphology) : 한 언어에서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낱말을 형성하는 체계 또는 규칙으로, 형태소(morpheme) 및 낱말(words)을 그 기본 단위로 한다.
- 구문론(Syntax) : 낱말의 배열에 의하여 구, 절, 문장을 형성하는 체계 또는 규칙이다.
- 의미론(Semantics) : 말의 내용(의미)나 이해와 관련되는 언어의 영역이다.
- 화용론(Pragmatics) : 실제 상황적 맥락에서 화자와 상대방에 의해서 쓰이는 말의 기능(사용)과 관련되는 언어의 영역이다.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

Communication
Hearing
- Conductive  Otitis Media,
 Otosclerosis
- Sensorineural  Presbycusis,
 Noise Induced Loss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

Communication
2. Language
- Developmental
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Acquired
 Aphasia
 Traumatic Brain Injury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

Communication
3. Speech
- Articulation
 Apraxia
 Phonological Disorder
- Voice
 Spasmodic Dysphonia
 Nodules
- Fluency
 Stuttering
 Cluttering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3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