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연혁,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자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민족음악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연혁,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자치,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민족음악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연혁

Ⅲ.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국제화

Ⅳ.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자치
1. 당시의 광주모습
2. 자율적 질서 관리
1) 22일 03:00 자중의 목소리
2) 22일 07:00 광천동 공단입구에 지역방위대 배치
3) 22일 12:00-15:00 순찰대
4) 22일 15:00 도청 앞에서 시민 궐기대회 개최

Ⅴ.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자기결정권

Ⅵ.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갈등누적

Ⅶ.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민족음악회

Ⅷ.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의 연극운동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향을 미쳐 이를 주제로 한 수많은 작품들이 창작되었는데 이들 작품들에 대한 조사나 연구는 아직 미천하다. 다행히 광주 518 광주민주항쟁 사료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518민중항쟁사에 실린 노동은의 “518과 음악운동”이라는 논문이 음악계 전반에 걸쳐 창작된 작품들을 소개했고 특히 518 광주민주항쟁을 계기로 폭발한 노래운동과 민중가요의 역사를 자세히 다루어 음악운동의 원천적인 귀중한 자료로서의 구실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한국현대음악사에서 일대 전기를 마련한 518광주민중항쟁을 주제로 한, 각 분야의 작품들을 좀 더 자세히 분석연구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서양예술음악작품이 누구에 의해서 언제 어떤 형식을 가지고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밝혀보고 이 작품들이 다른 예술분야와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과거 서양음악사를 살펴보면 여러 나라의 작곡가나 사회참여 음악작품들이 민중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경우를 볼 수 있다. 이탈리아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독일의 바그너, 핀란드의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 보헤미아의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 그리고 현대에 와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후사(Karel Husa, 1921-), 폴란드의 고레츠키(Henryk Gorecki, 1933-)와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같은 작곡가들이 타국에 의한 조국의 침공이나 자기민족의 대학살,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 등에 대한 항의 또는 애도의 작품들을 썼었다.
핀란드의 작곡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핀란디아”는 1808년 러시아의 침입이후에 있어왔던 애국독립운동의 한 문화적 행사에 쓰여졌던 극음악이었다. 청중들은 이 작품 속에서 뜨거운 애국심을 들었고 이 교향시(Symphonic Poem) 중간부의 선율은 후에 가사가 붙여져 핀란드의 準國歌처럼 애창되고 있고 “핀란디아”는 음악회에서 교향시의 빼놓을 수 없는 레파토리가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에서 태어났으나 유럽유학 후 미국으로 이주한 작곡가 후사는 1968년 소비에트 연방이 프라하를 침공했을 때 상징주의적인 작품 “프라하를 위한 음악”(Music for Prague, 1968)을 통해 자신의 고국을 향한 고통과 희망을 표출했다. 철의 장막 안에서는 연주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작곡 후 20년간 전 세계적으로 7,000회가 넘게 연주되면서 구소련의 프라하 침공에 대한 지속적인 항의의 목소리가 되었다. 1990년 후사가 새롭게 자유를 되찾은 프라하에 돌아가 체코 작곡가들을 기리기 위한 갈라 콘서트에서 “프라하를 위한 음악”을 지휘연주하게 되었을 때의 느낌은 승리 그 자체였다.
베르디의 오페라 “가면무도회”(Un ballo in maschera, 1859),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Ma vlast, 1880), 쇤베르그(Arnold Schoenberg, 1874-1951)의 “바르샤바의 생존자”(A Survivor from Warsaw, 1947), 펜데레츠키의 “히로시마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Threnody of the Victims of Hiroshima, 1960), 고레츠키의 교향곡 제3번 “슬픔의 노래”(Symphony of Sorrowful Songs, 1977)등은 작곡가 자신들의 민족이 겪는 고통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거나 애국심을 고취시키려는 의도, 혹은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부당한 참사에 대한 애도 등을 표현한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불후의 명곡으로 남아 지금도 우리의 가슴을 울린다.
1980년 5월 광주가 동족에 의해서 능욕 당하며 학살당하고 있을 때 처음에는 보도의 차단으로, 후에는 보도의 왜곡으로 광주를 제외한 국내에서는 광주항쟁의 심각성을 알지 못하고 있었지만 광주시민들, 그리고 외국 언론기관을 통해 독일, 일본 등지에서 사건을 접하는 우리 동포들과 외국인들은 상상도 못할 비극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당연한 결과로 시인, 화가, 소설가, 작곡가, 운동권 학생들과 노래패들은 그러한 경험과 비통함을 곧바로, 혹은 어느 정도 세월을 흘려보낸 후 자신들의 작품을 통해 재현시켰다.
특히 광주항쟁이 음악계에 미친 영향은 대단했는데 첫째는 학생운동과 노래활동에 큰 충격을 가해 노래운동이 시작되었다. 광주의 비극과 민주화에 대한 뜨거운 열망을 담은 노래들이 쏟아져 나와 부르기 시작했고 이렇게 시작된 노래운동이 처음에는 조국의 민주화를, 후에는 노동현장에서의 인권보장과 분단된 조국의 통일에 대한 염원을 주제로 담게 되었다. 노래가 우리의 삶과 정치적 현실을 표현하고 노동자들의 희망을 대변하게 된 것이다.
둘째는 서양예술음악계인데 윤이상처럼 해외에 거주하는 작곡가는 조국을 바라보며 느끼는 비통함을 곧바로 작품을 통해 나타내기도 했지만 국내의 음악인들에게는 ‘우리민족’이라는 민족의식을 갖게 함으로써 우리음악의 정체성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의식을 같이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단체들이 생겨났고 많은 작품들이 민족음악표현양식으로 창작되었다. 또 1986년 이후 국내의 서양음악작곡가들에 의해서 광주항쟁을 표현하는 예술음악작품들이 발표되었다.
마지막으로 국악계에 미친 영향인데 기존의 전통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연주활동을 해오던 국악계에 광주가 큰 자극이 되어 광주항쟁을 재현한 판소리뿐만 아니라 국악 관현악곡, 거리굿 등 518을 주제로 한 많은 작품들이 나왔다.
참고문헌
강철수 외 1명(2010), 5·18 30주년 언론보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박석무(2002), 5·18민주화 운동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 향토문화개발협의회
박석무(2010), 인류보편의 가치를 추구했던 광주민주화운동 : 5·18 30주년 회고, 대한민국국회
유광종(1999),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보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정철희(2000),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사회운동론적 접근과 비교연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Thomas Owenby(2009), 한국의 과거사 진실규명 :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의 화해, 경희대학교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9.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