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본문내용
간호과정(Nursing Process)의 정의
특정한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제해결 과정
대상자 중심적인 간호접근 방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간호사정부터 진단까지
자료수집
자료확인
자료분류
양상확인 &
일차진단의 확인검사
보고/자료 기록
자료 해석
(분석과 종합)
문제확인
관련/위험 요인 확인
잠재적인 문제/합병증 예견
자원과 강점 확인
간호진단의 정의
대상자의 실제적 잠재적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진술로서 간호사정으로부터 도출되며 간호영역에서의 중재를 요하는 것
(Edel, 1982)
실제적이거나 위험한(잠재적인) 건강문제 또는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에 대해 임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이는 간호사가 책임질 수 있는 결과달성을 위한 간호중재 선택의 기반을 제공한다.
(NANDA, 2001)
간호진단의 역사와 분류체계의 발달
Fry(1953)
간호진단의 개념에 대한 관심을 나타냄으로써
간호에 진단의 의미를 첨가함
Hornung(1956)
간호진단의 임상활용을 제안함
Durnad와 Prince(1966)
의학진단과 간호진단 과정을 구분하는 것이
간호진단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함
미국간호협회(1973년)
간호실무표준 제시를 통해 간호진단을 수립,
간호진단이라는 용어 사용을 인정하고 합법화
1973년
간호진단 분류에 관한 범국가적 차원의 학술대회
(National Confer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 개최
1983년
제5차 학술대회에서 NANDA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로 명칭을 바꿈
특정한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제해결 과정
대상자 중심적인 간호접근 방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간호사정부터 진단까지
자료수집
자료확인
자료분류
양상확인 &
일차진단의 확인검사
보고/자료 기록
자료 해석
(분석과 종합)
문제확인
관련/위험 요인 확인
잠재적인 문제/합병증 예견
자원과 강점 확인
간호진단의 정의
대상자의 실제적 잠재적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진술로서 간호사정으로부터 도출되며 간호영역에서의 중재를 요하는 것
(Edel, 1982)
실제적이거나 위험한(잠재적인) 건강문제 또는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에 대해 임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이는 간호사가 책임질 수 있는 결과달성을 위한 간호중재 선택의 기반을 제공한다.
(NANDA, 2001)
간호진단의 역사와 분류체계의 발달
Fry(1953)
간호진단의 개념에 대한 관심을 나타냄으로써
간호에 진단의 의미를 첨가함
Hornung(1956)
간호진단의 임상활용을 제안함
Durnad와 Prince(1966)
의학진단과 간호진단 과정을 구분하는 것이
간호진단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함
미국간호협회(1973년)
간호실무표준 제시를 통해 간호진단을 수립,
간호진단이라는 용어 사용을 인정하고 합법화
1973년
간호진단 분류에 관한 범국가적 차원의 학술대회
(National Confer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 개최
1983년
제5차 학술대회에서 NANDA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로 명칭을 바꿈
추천자료
신경외과 케이스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두개절제술(craniectomy) 간호과정, 간호진단
스트레스 대처 전략 (한국인 스트레스 현황, 한국인 스트레스성 질환, 스트레스 유형 자가진...
인터넷 중독의 원인과 치료 (인테넷 중독 개념, 인터넷 중독 특성, 인터넷 중독 진단기준,인...
분만 (문헌고찰, 처치, DR에서 자주 쓰는 약물, 간호진단)
“성정체감 장애”의 의미, 원인, 유형, 특징, 진단기준, 치료, 성정체감 장애와 동성애와의 비교
기분장애(Mood Disorders) (개념과 분류, 역학, 원인, 임상양상, 진단, 경과 및 예후, 치료)
자폐증의 정의, 자폐증의 발병시기와 유병률,자폐증의 증상,자폐의 원인,자폐증의 진단기준(D...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영화보고 정신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case (cpd c/sec-산과, 자궁내막증-부인과: 문헌고찰, 자료수집, 간호진단)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해결책과 기관방문] 알코올 중독의 개념과 특성, 진단 및 알코올 ...
[성인간호학] 심방세동(Artrial fibrill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Artrial...
[성인실습] CCU 실습(협심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Unstable angina
[성인 케이스 case study] 장폐색 (ileus) 사례보고서 - 진단명 : paralytic ileus, small bo...
정형외과 실습 [ 골절 case study 완벽 자료 - 검사 약물 문헌고찰 간호과정(간호진단 2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