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험적 가족치료의 개요와 발달과정
2.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적과 접근방식
3. 경험적 가족치료의 특성
4.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
5. 의사소통유형별 대처방식
6. 경험적 치료기법
2.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적과 접근방식
3. 경험적 가족치료의 특성
4.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
5. 의사소통유형별 대처방식
6. 경험적 치료기법
본문내용
기(there-then)기법 : 경험적 가족치료자들은 개인의 미해결 과제가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개인치료를 할 경우도 있다. 치료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시키고자 할 때 이 기법을 적용한다.
- 빈 의자 기법 : 지나간 기억을 회상하고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여 정서적 경험을 강화시키는 개인치료에 유용하다. 이 기법이 가족치료에 있어 꼭 필요하고 유용한가의 여부는 가족마다의 상황과 치료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가족조각(Family Sculpture)
가족조각과 가족안무는 과거의 장면을 재조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인 지침으로는 “어린 시절 당신의 집을 머릿속에 그려보세요. 그리고 집안으로 들어갔을 때 항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는지에 대해 그려보세요.” 등이 있다. 이 기법은 가족생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과 소품을 사용하여 조각한다. 가족조각은 감성을 증진시키는 한 방법이며, 치료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장면에 배열된 조각은 공간과 자세, 태도를 통하여 가족 구성원의 인식을 나타내는 도형적인 방법이다.
3) 가족 예술 치료(Family Art Therapy)
가족 예술치료는 서로 연결된 일련의 그림을 그리도록 가족에게 지시한 후에 전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하는 구조화된 표현을 통한 가족치료이다.
가족 공동그림(conjoint family drawing) : 가족의 분위기 조성과 그들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가족의 일원으로서 당신의 모습을 그려보세요.”라고 했을 때 가족 그림의 결과는 이전에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관점을 노출하거나, 전혀 논의되지 않았던 부분을 자극할 수도 있다.
가족생활 공간에 대한 상징적 그림(symbolic drawing of family life space) : 치료자가 큰 원을 하나 그린 후, 가족에게 가족의 일부라고 생각되는 사람이나 물건을 모두 원안에 두게 한다. 가족 구성원들은 작은 원을 그려서 그들 자신을 표현하게 하고 각 구성원들은 다른 구성원과 관계있는 위치에 두게 한다. 가족이 이러한 치료자의 지침을 따라할 때 치료자는 그들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게 된다.
가족 인형극(family puppet interviews) :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에게 인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 보도록 한다. 이 기법은 어린 아이들과 함께 하는 놀이치료에서 사용되며 갈등과 동맹을 쉽게 표현 한다.
참고문헌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가족복지론 손병덕, 황혜원 외 1명 저 | 학지사 |
가족복지론 한국여성복지연구회 저 | 청목출판사 |
가족복지론 김연옥 저 | 나남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사회복지학개론 남기민(교수) 저 | 양서원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사회복지학개론 오정수, 최해경 외 3명 저 |
- 빈 의자 기법 : 지나간 기억을 회상하고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여 정서적 경험을 강화시키는 개인치료에 유용하다. 이 기법이 가족치료에 있어 꼭 필요하고 유용한가의 여부는 가족마다의 상황과 치료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가족조각(Family Sculpture)
가족조각과 가족안무는 과거의 장면을 재조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인 지침으로는 “어린 시절 당신의 집을 머릿속에 그려보세요. 그리고 집안으로 들어갔을 때 항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는지에 대해 그려보세요.” 등이 있다. 이 기법은 가족생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과 소품을 사용하여 조각한다. 가족조각은 감성을 증진시키는 한 방법이며, 치료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장면에 배열된 조각은 공간과 자세, 태도를 통하여 가족 구성원의 인식을 나타내는 도형적인 방법이다.
3) 가족 예술 치료(Family Art Therapy)
가족 예술치료는 서로 연결된 일련의 그림을 그리도록 가족에게 지시한 후에 전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하는 구조화된 표현을 통한 가족치료이다.
가족 공동그림(conjoint family drawing) : 가족의 분위기 조성과 그들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가족의 일원으로서 당신의 모습을 그려보세요.”라고 했을 때 가족 그림의 결과는 이전에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관점을 노출하거나, 전혀 논의되지 않았던 부분을 자극할 수도 있다.
가족생활 공간에 대한 상징적 그림(symbolic drawing of family life space) : 치료자가 큰 원을 하나 그린 후, 가족에게 가족의 일부라고 생각되는 사람이나 물건을 모두 원안에 두게 한다. 가족 구성원들은 작은 원을 그려서 그들 자신을 표현하게 하고 각 구성원들은 다른 구성원과 관계있는 위치에 두게 한다. 가족이 이러한 치료자의 지침을 따라할 때 치료자는 그들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게 된다.
가족 인형극(family puppet interviews) :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에게 인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 보도록 한다. 이 기법은 어린 아이들과 함께 하는 놀이치료에서 사용되며 갈등과 동맹을 쉽게 표현 한다.
참고문헌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가족복지론 손병덕, 황혜원 외 1명 저 | 학지사 |
가족복지론 한국여성복지연구회 저 | 청목출판사 |
가족복지론 김연옥 저 | 나남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사회복지학개론 남기민(교수) 저 | 양서원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사회복지학개론 오정수, 최해경 외 3명 저 |
추천자료
대상 중심가족치료
가족복지/전략적 가족치료모델
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모델 이론 및 사례개입 보고서(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의 3모델의 치료목표, 과정의 차이를 비교 설명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와 사정과 개입 및 Haley와 밀란 치료기법.PPT자료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전략적가족치료 상담사례
전략적가족치료모델(전략적가족치료, MRI, Haley, Milan, 전략적가족치료사례, 전략적가족치...
[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MRI모델과 헤일리 모델의 치료목표와 치료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