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헌고찰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정의
증상

분류
A. 단순형 ( symple type: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B. 혼란형(disorganized type), 파과형(hebeprenic type)
C. 긴장형(catatonic type)
D. 편집형(paranoid type)
E. 미분류형(undifferentiated type)
F.잔류형(residual type)

진단
치료


2.사정 : 홍oo


3.간호과정

본문내용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함이다.)
3.환자가 환청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비판하지 않고 경청한다.(비판하거나 논리적 설명을 요구할 시 환자에게 절망감을 줄 수 있고 환청의 실제를 증명하기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
4.환자가 환청 경험시 즉시 환자와 의사소통 한다.(환자가 현실세계로 돌아오도록 도와 환청에서 깨어나도록 한다.)
5.환청에 대해 질문을 받을 경우, 같은 자극을 경험하지 않는다고 말한다.(환자가 환청증상을 인식하고 정신병적 세계와 현실세계를 구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6.산책, 운동, 다른환자와의 관계형성을 제안한다.(주의를 다른곳으로 환기시켜 환청에 집중하지 않도록 한다.)
중재-p1,2,3,4,5,6
2.귀에서 속삭이는 소리로 한번 시작되면 30분정도 지속되며 약 2~3일에 한번정도 나타난다.
3.환자가 환청, 망상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비판하지 않고 경청해주었다.
4.환자가 병동에서 혼잣말 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즉시 다가가 이름을 불러 현실세계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였다.
5.환자가 “이소리 들리지 않아요?”라고 물었을 때 “전 아무소리도 들리지 않는데요?”라고 말해 같은 경험을 하고있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6.산책시간에 함께 산책나갈 것을 제안하였고 병실에 혼자 계실 때 다른환자분과 같이 오목을 두게 자리를 마련하였다.
평가:환청에 대해 이야기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2.
주관적자료
“나 골탕먹일려고 계속 법을 바꾸는거야”
“자고일어나면 또 법이 바뀔까봐 무서워서 잠을 잘 못자겠어”
“자다가도 몇 번씩 깨. 푹 잘 수가 없어”
객관적자료
하루 수면시간 평균 4시간 정도임.
면담시 계속해서 하품하는 모습 보임.
TV를 보다 조는모습 관찰됨.
침대에 누워서 잠들기까지 약 1시간 걸림.
면담시 눈이 반쯤 감겨있는 모습 관찰됨.
새벽에 일어나서 병동을 돌아다님.
수면제 요구함.
진단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수면장애
목표
단기목표: 수면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을 겪지 않는다.
장기목표: 망상이 치료되고 그로인한 수면장애가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망상의 내용을 사정한다.(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망상의 내용이 사실인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2.환자의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들을 사정한다.(망상이외의 무엇이 수면을 방해하는지 요인을 파악하고 교정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3.망상에서 벗어나도록 현실에 초점을 두어 주의를 이끈다.(현실자극을 줌으로써 망상의 내용이 사실이 아님을 환자스스로 깨닫게 하고 망상에 집중하는 시간을 줄인다.)
4.수면에 도움이 되는것들을 교육한다.(편안한 숙면을 돕는다.)
중재-Plan1,2,3,4
1.누군가 의도적으로 법을 바꾸어서 자신을 힘들게 한다고 말하였다.
2.대상자는 산책등 운동을 하지 않고 하루에 커피(2잔)와 콜라(500ml 1병)을 마시는 것을 관찰하였다.
3.망상의 증상이 나타나면 오목두기, 병동돌기등을 제안하였고 , 산책과 활동요법에 참여하기를 제안하였다.
4.교육자료를 통해 수면에 도움이 되는것들을 교육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깨지않고 수면을 잘 취했다고 말하였다.
reference
(제5판)정신간호총론/수문사
위키백과
네이버 백과사전
정신간호학 수업 프린트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수면장애 수정진단: <망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의 장애>
주관적 자료
“나 골탕먹일려고 계속 법을 바꾸는거야”
“나는 사회에 공헌할만한 큰일을 했어 난 국가유공자야”
“내가 법공부를 해서 전국1등을 해 나라에서 1억을 받았어”
“나는 태양신의 아들이야”
객관적 자료
Dx: schizophrenia paranoid type
과대망상, 피해망상등을 보임
목표
단기목표: 망상을 보이는 횟수가 줄어든다.
장기목표: 망상이 치료되고 그로인한 사고과정장애가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및 중재
1.환자와 신뢰감을 형성한다.
-환자와 적절한 rapport를 형성하였다.
2.환자가 말하는 것들이 사실인지 확인한다.
-환자는 지방에서 농사를 하던 분으로 법공부를 한적은 없었고 자신이 1969년 베트남 전쟁에 참여해 국가유공자가 됐다고 했지만 환자는 1978년생이다.
3.망상에 대해 논리적으로 따지거나 논쟁하지 말아야 한다.
-환자가 망상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망상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지 않고 경청해 주었다.
4.현실에 초점을 둔 단순하고 재미있는 놀이를 시행한다.
-환자가 망상에 대해 이야기 할려고 하면 함께 오목을 두자고 해서 망상에 집중하지 않도록 주의를 돌렸다.
평가: 망상을 보이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14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