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권력과 명성
1.2 Ferguson의 기원적 공식화
1.3 확장된 다중언어현상 (Fishman, 1967)
1.4 다중언어현상과 언어의 변화
1.5 고전적이고 확장된 다중언어현상
1.6 연속체로서의 다중언어현상
1.7 다중언어현상과 그것을 지속하는 언어문화
1.8 다중언어현상과 권력 그리고 결속(연대)
1.1 권력과 명성
1.2 Ferguson의 기원적 공식화
1.3 확장된 다중언어현상 (Fishman, 1967)
1.4 다중언어현상과 언어의 변화
1.5 고전적이고 확장된 다중언어현상
1.6 연속체로서의 다중언어현상
1.7 다중언어현상과 그것을 지속하는 언어문화
1.8 다중언어현상과 권력 그리고 결속(연대)
본문내용
tdeutsch의 사용은 스위스 시민사이에 알맞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chiffman, 1991 )
1.8 다중언어현상과 권력 그리고 결속(연대)
Brown과 Gilman(1960)은 T와 V로써 전형된 대명사의 사용이 권력 또는 결속의 표현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을 소개했다. Rubin(1972)은, 스페인어와 과라니 말을 하는 파라과이에서 L과 H의 사용에 있어 T와 V 대명사의 유사성의 범위를 넓혔다. 많은 언어문화에서 L과 H 다양성의 사용은 똑같은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물론 H가 기대되는 곳에서 L의 사용은 통신 능력 규칙에 위반이 된다. Brown과 Gilman(1960)은 T 대명사 (친밀함. 존중을 갖추지 않은 형식)의 사용은 몇 가지 사회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개념을 수립했다. 동일함에 의한 T의 상호적인 사용은 결속을 표현하지만, 동일하지 않는 사이인데 T를 주는 사람은 자신을 권력의 지위에 두게 되는 것이고, 받는 사람은 V 로 대답하도록 하게 한다. 비슷하게, 상호적인 V의 사용은 서로 존중, 사회적 거리감을 의미 한다. 이러한 대명사의 비상호적인 사용은 신분차별의 표현이다. Rubin이 증명했듯이, 다중언어현상의 상황은, 주어진 사회적 변화와 똑같은 종류의 T/V 상황으로 보여 질지도 모른다. L의 사용은 결속의 표현일 지도 모르며,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거리가 먼 화자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아프리카 계 미국인들과 대화할 때 미국 영어를 사용하는 백인 화자들의 흑인 영어 사용은, 개인적인 허용이 미리 협의되어있지 않았다면, 무례한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L 다양성이 미리 협의되지 않았다면 H 다양성의 타밀 말이나 영어로 대응하는 교육받은 타밀 사람들은 비 인도인이 L 다양성 타밀 말을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 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아라만 스위스에서 H 다양성인 독일어의 사용은 역으로 스위스 화자들을 불리한 입장에 놓도록 계획된 것처럼 보인다. Hochdeutsch 화자가 L을 대안하는 것이 없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이 부적절할 수도 있다. 확실히 중립의 영어나 불어로 바꾸려는 욕망을 말한다. 그러나, 룩셈부르크에서는 L 다양성과 그것의 사용이 Letzebuergesch 국민성과 인종 결속의 표현이다. 따라서 룩셈부르크 국가는 모든 룩셈부르크 사람들에게서 L을 기대하는 반면, 외국인들과는 불어나 Hochdeutsch 나 영어로 바꾸어 말한다.
1.8 다중언어현상과 권력 그리고 결속(연대)
Brown과 Gilman(1960)은 T와 V로써 전형된 대명사의 사용이 권력 또는 결속의 표현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을 소개했다. Rubin(1972)은, 스페인어와 과라니 말을 하는 파라과이에서 L과 H의 사용에 있어 T와 V 대명사의 유사성의 범위를 넓혔다. 많은 언어문화에서 L과 H 다양성의 사용은 똑같은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물론 H가 기대되는 곳에서 L의 사용은 통신 능력 규칙에 위반이 된다. Brown과 Gilman(1960)은 T 대명사 (친밀함. 존중을 갖추지 않은 형식)의 사용은 몇 가지 사회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개념을 수립했다. 동일함에 의한 T의 상호적인 사용은 결속을 표현하지만, 동일하지 않는 사이인데 T를 주는 사람은 자신을 권력의 지위에 두게 되는 것이고, 받는 사람은 V 로 대답하도록 하게 한다. 비슷하게, 상호적인 V의 사용은 서로 존중, 사회적 거리감을 의미 한다. 이러한 대명사의 비상호적인 사용은 신분차별의 표현이다. Rubin이 증명했듯이, 다중언어현상의 상황은, 주어진 사회적 변화와 똑같은 종류의 T/V 상황으로 보여 질지도 모른다. L의 사용은 결속의 표현일 지도 모르며,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거리가 먼 화자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아프리카 계 미국인들과 대화할 때 미국 영어를 사용하는 백인 화자들의 흑인 영어 사용은, 개인적인 허용이 미리 협의되어있지 않았다면, 무례한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L 다양성이 미리 협의되지 않았다면 H 다양성의 타밀 말이나 영어로 대응하는 교육받은 타밀 사람들은 비 인도인이 L 다양성 타밀 말을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 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아라만 스위스에서 H 다양성인 독일어의 사용은 역으로 스위스 화자들을 불리한 입장에 놓도록 계획된 것처럼 보인다. Hochdeutsch 화자가 L을 대안하는 것이 없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이 부적절할 수도 있다. 확실히 중립의 영어나 불어로 바꾸려는 욕망을 말한다. 그러나, 룩셈부르크에서는 L 다양성과 그것의 사용이 Letzebuergesch 국민성과 인종 결속의 표현이다. 따라서 룩셈부르크 국가는 모든 룩셈부르크 사람들에게서 L을 기대하는 반면, 외국인들과는 불어나 Hochdeutsch 나 영어로 바꾸어 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