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정해마을 언어사회와 자료조사
2.1 사회문화적 배경
2.2 현지 조사
2.3 방언적 특성
3. 모음과 관련된 변이
3.1. 모음조화의 잔존
3.2. 모음 상승과 반작용
3.3. 움라우트와 변이
3.5. 전설원순모음과 변이음
3.6. 이중모음과 변이
4.자음에 관련된 변이
4.1. k, h 구개음화의 변이
4.2. 구개적 [ɲ] 첨가
4.3. 유기음화 적용 범위의 확대
4.4. 어두 경음화
4.5. 체언어간말 자음의 변이
5. 변이 현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
5.1 방언형 ‘히,-디,-ㅇ게,-제’
5.2 변항(ő)
5,60대 여성화자들은 발음상으로 ‘ㅚ’를 거의 ‘애’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5.3 변항(ű)
5.4 이중모음의 단모음화형
5.5 변항(Xyo)
5.6‘잖아’형 어휘 차용
5.7‘-하다’의 유기음화
5.8 K,H구개음화
6. 언어 변항과 화자 변항의 상호작용
6.1연령별 추이
6.2성별분화
6.3 계층 및 교류망별 분화
7. 결론
느낀점 :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정해마을 언어사회와 자료조사
2.1 사회문화적 배경
2.2 현지 조사
2.3 방언적 특성
3. 모음과 관련된 변이
3.1. 모음조화의 잔존
3.2. 모음 상승과 반작용
3.3. 움라우트와 변이
3.5. 전설원순모음과 변이음
3.6. 이중모음과 변이
4.자음에 관련된 변이
4.1. k, h 구개음화의 변이
4.2. 구개적 [ɲ] 첨가
4.3. 유기음화 적용 범위의 확대
4.4. 어두 경음화
4.5. 체언어간말 자음의 변이
5. 변이 현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
5.1 방언형 ‘히,-디,-ㅇ게,-제’
5.2 변항(ő)
5,60대 여성화자들은 발음상으로 ‘ㅚ’를 거의 ‘애’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5.3 변항(ű)
5.4 이중모음의 단모음화형
5.5 변항(Xyo)
5.6‘잖아’형 어휘 차용
5.7‘-하다’의 유기음화
5.8 K,H구개음화
6. 언어 변항과 화자 변항의 상호작용
6.1연령별 추이
6.2성별분화
6.3 계층 및 교류망별 분화
7. 결론
느낀점 :
본문내용
추천자료
7차 유아교육과정 개요
프랑스 정교분리사상(라이시테 lacité)의 이해
민족지학
재가복지의 모든것
녹색관광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결혼이주가족의 현황과 문제와 그에 따른 대책
[유아놀이활동][유아게임활동]유아놀이와 유아게임활동의 정의, 유아놀이와 유아게임활동의 ...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국어교육), 초등학교 2학년 수학교과(수학교육), 초등학교 2학년 바...
서정주 시 연구
[어린이집 수업지도안 모음집] 일일 교육계획안 5개(월요일-금요일) 및 활동계획안5개(월요일...
소비트렌드의 파악 (추적)
[광고자막][광고][자막][광고자막 특징][광고자막 유형][광고자막 효과][광고자막 단가]광고...
장애인 이동권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중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중독 - 사이버 폭력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