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정해마을 언어사회와 자료조사
 2.1 사회문화적 배경
 2.2 현지 조사
 2.3 방언적 특성

3. 모음과 관련된 변이
 3.1. 모음조화의 잔존
 3.2. 모음 상승과 반작용
 3.3. 움라우트와 변이
 3.5. 전설원순모음과 변이음
 3.6. 이중모음과 변이

4.자음에 관련된 변이
 4.1. k, h 구개음화의 변이
 4.2. 구개적 [ɲ] 첨가
 4.3. 유기음화 적용 범위의 확대
 4.4. 어두 경음화
 4.5. 체언어간말 자음의 변이

5. 변이 현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
 5.1 방언형 ‘히,-디,-ㅇ게,-제’
 5.2 변항(ő)
 5,60대 여성화자들은 발음상으로 ‘ㅚ’를 거의 ‘애’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5.3 변항(ű)
 5.4 이중모음의 단모음화형
 5.5 변항(Xyo)
 5.6‘잖아’형 어휘 차용
 5.7‘-하다’의 유기음화
 5.8 K,H구개음화

6. 언어 변항과 화자 변항의 상호작용
 6.1연령별 추이
 6.2성별분화
 6.3 계층 및 교류망별 분화

7. 결론

느낀점 :

본문내용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