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프로그램 선정 이유
2.연구방향
3.‘우리 결혼했어요’는? (프로그램 소개)
Ⅱ.본론
1.수용자란?
2.우리 일상에서의 텔레비전 방송
3.수용자들이 텔레비전 방송을 보는 이유
4.스튜어트 홀의 대중매체 텍스트 해독방식이란?
5.‘우리 결혼했어요’가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6.‘우리 결혼했어요’에 대한 시청자들의 다양한 의견들
Ⅲ.결론
1.결론
1.프로그램 선정 이유
2.연구방향
3.‘우리 결혼했어요’는? (프로그램 소개)
Ⅱ.본론
1.수용자란?
2.우리 일상에서의 텔레비전 방송
3.수용자들이 텔레비전 방송을 보는 이유
4.스튜어트 홀의 대중매체 텍스트 해독방식이란?
5.‘우리 결혼했어요’가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6.‘우리 결혼했어요’에 대한 시청자들의 다양한 의견들
Ⅲ.결론
1.결론
본문내용
2세와 결혼할 확률은 로또 복권 1등 담첨률 840만 분의 1보다 낮다. 하지만 사람들은 840만 분의 1의 상징의 세계를 현실 세계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 위에 나오는 드라마 시청자 대부분은 그 동안 대중매체의 텍스트를 그대로 수용하는 순응적 해독자일 것이고, 브라운관에서 펼쳐지는 화려한 재벌 2세와 신데렐라 놀음을 보면서 최소한 성형외과로 향하려는 사이비 욕구로 가득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대중매체의 상징 세계, 그것도 잘못된 상징 세계의 포로가 되는 첩경이다(1)
우리는 쉽게 텔레비전은 문화적 타락의 원인이 되며, 특히 청소년과 어린이의 겅신건강에 해롭다라는 말을 듣지만 이 말은 담배갑에 새겨진 경고문과 똑같은 것이다. 마치 그 담배가 팔리듯 텔레비전 방송은 계속 만들어지고 팔리고 방송된다. 이런 모순은 휘장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 뿐인지 존재한다. 휘장을 걷어치우고 텔레비전이 진정 대중의 문화로서 그 힘을 긍정적으로 발산하기 위해서는 그것에 채워진 족쇄를 풀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일은 우리의 개념지도를 다시 그리는 일이다.(1) 우리의 개념지도, 즉 우리의 대중매체 텍스트 해독방식이다.
*출처: (1) 대중매체 신데렐라 유사품에 속지말자, 2005년 6월 6일자 배국남칼럼,
(2)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p250 전규찬, 박근서 지음 한울아카데미
우리가 어떠한 해독방식을 가지고 어떻게 방송을 보느냐 따라 잘못된 상상세계의 포로가 될지, 아니면 자신의 의지로 삶을 사는 능동적인 사람이 될지가 결정된다.
5월 4일자 방송을 마지막으로 알렉스-신애, 정형돈-사오리 커플이 '우리 결혼했어요' 중도하차를 하게 되었다. 5월 11일 이 두 커플을 대신해 이휘재-조여정, 김현중-황보가 새로운 커플로 등장하게 되는데 어떤식으로 결혼생활을 보여줄지 또 시청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
※ MBC '우리 결혼했어요'를 시청하는 20대 남녀 를 상대로 하겠습니다..
1. 당신의 성별은? 총 조사인원 233명
①남자 110명 ②여자 123명
2. 자신이 미래에 원하는 결혼생활과 근접한 커플의 생활상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34.5% 여자:20.5%
② 앤디 - 솔비 남자:47.3% 여자:57.7%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7.3% 여자:4.1%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10.9% 여자:9.7%
3. 결혼 후 현실에서 가장 많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되는 커플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13.6% 여자:12.2%
② 앤디 - 솔비 남자:22.7% 여자:17.9%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60.9% 여자:62.6%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2.7% 여자:7.3%
4. 현실과 가장 동떨어졌다고 생각하는 커플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52.7% 여자:68.3%
② 앤디 - 솔비 남자:4.5% 여자:5.7%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12.7% 여자:10.6%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30% 여자:15.4%
5. '우리 결혼했어요'를 보고 출연한 스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변했습니까?
①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보다 더 좋게 변하였다 남자:46.4% 여자:67.5%
② 더 나쁘게 변하였다 남자:18.2% 여자:13%
③ 변하지 않았다 남자:35.5% 여자:19.5%
6. '우리 결혼 했어요'를 보고 출연한 스타의 모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실제라는 생각이 든다. 남자:13.6% 여자:14.6%
② 실제 모습과 흡사하지만 설정으로 인한 과장이 어느 정도 있는 것 같다. 남자:58.2% 여자:65.9%
③ 실제 모습과 아주 다른 방송에서의 설정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남자:25.5% 여자:17.9%
④ 기타 남자:2.7% 여자:1.6%
7. '우리 결혼 했어요' 를 보고 맘에 드는 옷, 신발, 물건, 책, 음악CD를 사보았거나 혹은 사고 싶은 욕구가 있는가?
①사본 적이 있다. ②사본 적이 없다. ③사고 싶은 욕구가 있다. ④사고 싶지 않다.
남자:8.2% 여자:7.3% /남자:40% 여자:29.3% /남자:19.1% 여자:39.8% /남자:32.7% 여자:23.6%
8.'우리 결혼했어요' 에서 가장 문제가 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① 출연진들의 비속어 등의 언어 사용 남자:5.5% 여자:13%
② 출연진들의 행동 패턴을 따라할까봐 혹은 요구할까봐 남자:47.3% 여자:36.6%
(게으른 면, 자상한 면, 사치가 심한 행동 모두 가능)
③ 여성 출연자들의 과도한 노출 남자:6.4% 여자:2.4%
④ 현실과의 관련성 남자:40.9% 여자:48%
‘우리 결혼했어요’ , ‘나는 펫’ 의 동거에 관하여
대상:충북 인터넷 고등학교 3학년 남자:45명,여자52명
중앙여중 3학년 35명
1.동거를 해본적이 있거나 동거를 해 본 친구가 주위에 있다.
(O, X) O :남자:17.8%, 여자:35.6% X : 남자:82.2%, 여자:64.4%
2. 우리 결혼했어요, 나는 펫 등의 동거 프로그램을 보면서 동거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O, X) O : 남자:53.3%, 여자:90.8% X : 남자:46.7%, 여자:9.2%
3. 바뀌었다면 어떻게 바뀌었는지 ?
(1) 결혼 전에 배우자와 함께 하는 것이 라면 괜찮다 남자:26.7%, 여자:26.4%
(2) 상황에 동거를 따라 할 수도 있다. 남자:46.7%, 여자:31%
(3) 동거는 허락되지 않아야 한다. 남자:11.1%, 여자:25.3%
4. 동거가 필요하다고 생각 하는가?
(1) 동거는 결혼하기 전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남자:33.3%, 여자:13.8%
(2) 좋아하는 사이라면 결혼까지 생각하지 않았어도 동거할 수 있다
남자:51.1%, 여자:41.4%
(3) 동거는 하면 안 된다. 남자:13.3%, 여자:44.8%
5. 이성친구와 동거를 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그 이유는?
(1) 재미있을 것 같아서 남자:24.4%, 여자:32.1%
(2) 결혼 생활을 미리 경험하고 싶어서 남자:35.6%, 여자:20.7%
(3) ‘우리 결혼했어요’에 나오는 연예인의 생활을 따라 해보고 싶어서
남자:35.6%, 여자:39.1%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는 쉽게 텔레비전은 문화적 타락의 원인이 되며, 특히 청소년과 어린이의 겅신건강에 해롭다라는 말을 듣지만 이 말은 담배갑에 새겨진 경고문과 똑같은 것이다. 마치 그 담배가 팔리듯 텔레비전 방송은 계속 만들어지고 팔리고 방송된다. 이런 모순은 휘장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 뿐인지 존재한다. 휘장을 걷어치우고 텔레비전이 진정 대중의 문화로서 그 힘을 긍정적으로 발산하기 위해서는 그것에 채워진 족쇄를 풀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일은 우리의 개념지도를 다시 그리는 일이다.(1) 우리의 개념지도, 즉 우리의 대중매체 텍스트 해독방식이다.
*출처: (1) 대중매체 신데렐라 유사품에 속지말자, 2005년 6월 6일자 배국남칼럼,
(2)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p250 전규찬, 박근서 지음 한울아카데미
우리가 어떠한 해독방식을 가지고 어떻게 방송을 보느냐 따라 잘못된 상상세계의 포로가 될지, 아니면 자신의 의지로 삶을 사는 능동적인 사람이 될지가 결정된다.
5월 4일자 방송을 마지막으로 알렉스-신애, 정형돈-사오리 커플이 '우리 결혼했어요' 중도하차를 하게 되었다. 5월 11일 이 두 커플을 대신해 이휘재-조여정, 김현중-황보가 새로운 커플로 등장하게 되는데 어떤식으로 결혼생활을 보여줄지 또 시청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
※ MBC '우리 결혼했어요'를 시청하는 20대 남녀 를 상대로 하겠습니다..
1. 당신의 성별은? 총 조사인원 233명
①남자 110명 ②여자 123명
2. 자신이 미래에 원하는 결혼생활과 근접한 커플의 생활상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34.5% 여자:20.5%
② 앤디 - 솔비 남자:47.3% 여자:57.7%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7.3% 여자:4.1%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10.9% 여자:9.7%
3. 결혼 후 현실에서 가장 많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되는 커플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13.6% 여자:12.2%
② 앤디 - 솔비 남자:22.7% 여자:17.9%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60.9% 여자:62.6%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2.7% 여자:7.3%
4. 현실과 가장 동떨어졌다고 생각하는 커플은?
① 알렉스 - 신애 남자:52.7% 여자:68.3%
② 앤디 - 솔비 남자:4.5% 여자:5.7%
③ 정형돈 - 사오리 남자:12.7% 여자:10.6%
④ 크라운J - 서인영 남자:30% 여자:15.4%
5. '우리 결혼했어요'를 보고 출연한 스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변했습니까?
①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보다 더 좋게 변하였다 남자:46.4% 여자:67.5%
② 더 나쁘게 변하였다 남자:18.2% 여자:13%
③ 변하지 않았다 남자:35.5% 여자:19.5%
6. '우리 결혼 했어요'를 보고 출연한 스타의 모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실제라는 생각이 든다. 남자:13.6% 여자:14.6%
② 실제 모습과 흡사하지만 설정으로 인한 과장이 어느 정도 있는 것 같다. 남자:58.2% 여자:65.9%
③ 실제 모습과 아주 다른 방송에서의 설정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남자:25.5% 여자:17.9%
④ 기타 남자:2.7% 여자:1.6%
7. '우리 결혼 했어요' 를 보고 맘에 드는 옷, 신발, 물건, 책, 음악CD를 사보았거나 혹은 사고 싶은 욕구가 있는가?
①사본 적이 있다. ②사본 적이 없다. ③사고 싶은 욕구가 있다. ④사고 싶지 않다.
남자:8.2% 여자:7.3% /남자:40% 여자:29.3% /남자:19.1% 여자:39.8% /남자:32.7% 여자:23.6%
8.'우리 결혼했어요' 에서 가장 문제가 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① 출연진들의 비속어 등의 언어 사용 남자:5.5% 여자:13%
② 출연진들의 행동 패턴을 따라할까봐 혹은 요구할까봐 남자:47.3% 여자:36.6%
(게으른 면, 자상한 면, 사치가 심한 행동 모두 가능)
③ 여성 출연자들의 과도한 노출 남자:6.4% 여자:2.4%
④ 현실과의 관련성 남자:40.9% 여자:48%
‘우리 결혼했어요’ , ‘나는 펫’ 의 동거에 관하여
대상:충북 인터넷 고등학교 3학년 남자:45명,여자52명
중앙여중 3학년 35명
1.동거를 해본적이 있거나 동거를 해 본 친구가 주위에 있다.
(O, X) O :남자:17.8%, 여자:35.6% X : 남자:82.2%, 여자:64.4%
2. 우리 결혼했어요, 나는 펫 등의 동거 프로그램을 보면서 동거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O, X) O : 남자:53.3%, 여자:90.8% X : 남자:46.7%, 여자:9.2%
3. 바뀌었다면 어떻게 바뀌었는지 ?
(1) 결혼 전에 배우자와 함께 하는 것이 라면 괜찮다 남자:26.7%, 여자:26.4%
(2) 상황에 동거를 따라 할 수도 있다. 남자:46.7%, 여자:31%
(3) 동거는 허락되지 않아야 한다. 남자:11.1%, 여자:25.3%
4. 동거가 필요하다고 생각 하는가?
(1) 동거는 결혼하기 전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남자:33.3%, 여자:13.8%
(2) 좋아하는 사이라면 결혼까지 생각하지 않았어도 동거할 수 있다
남자:51.1%, 여자:41.4%
(3) 동거는 하면 안 된다. 남자:13.3%, 여자:44.8%
5. 이성친구와 동거를 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그 이유는?
(1) 재미있을 것 같아서 남자:24.4%, 여자:32.1%
(2) 결혼 생활을 미리 경험하고 싶어서 남자:35.6%, 여자:20.7%
(3) ‘우리 결혼했어요’에 나오는 연예인의 생활을 따라 해보고 싶어서
남자:35.6%, 여자:39.1%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TV방송의 선정성
대중매체와 방송언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 - 자막언어를 중심으로
북한의문화 교통 패션 결혼 방송매체
우리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서평
[지상파디지털방송]지상파디지털방송의 영향, 지상파디지털방송의 위상, 지상파디지털방송의 ...
[신문방송/매스컴론] 포털사이트 뉴스서비스 특성과 저널리즘 기능분석 및 영향에 따른사회적...
[가족상담및치료,가족관계]최근_우리사회에서_알려지고_있는_다양한_가족문제에_대하여_대중...
[성사랑사회A형] 참고도서가다루고있는사람들삶과나의삶을함께참고하여 우리사회에서 성적 차...
[성, 사랑, 사회 A형] 참고도서가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나의 삶을 함께 참고하여, 우리...
기초간호과학-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종양의 병기TNM 분류방법 혈액응고과정 3단계 범발...
세계의정치와경제)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나의 삶은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서술-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