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북한의 대중교통
2. 북한의 결혼문화
3. 북한여성들의 패션
4. 북한의 방송매체
2. 북한의 결혼문화
3. 북한여성들의 패션
4. 북한의 방송매체
본문내용
소년들 사이에 나팔바지,청바지,미니스커트 등이 유행하자 이를 「자본주의 생활양식」으로 간주,집중 단속활동을 전개하고 있어 패션발전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4. 북한의 방송매체
북한은 방송을 정의하길 '(라지오, 텔레비죤으로 받아서 듣고 볼 수 있게) 말과 음악, 소리와 영상을 전파에 실어서 내보내는 보도수단'으로 규정하고 있다.
라디오 방송은 조선중앙방송(대내용으로 하루 22시간 방송)과 평양방송(대외·대남용 방송으로 23시간 30분 방송), 평양 FM방송(평일은 9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8시간이며, 공휴일은 24시간이다.) 구국의 소리방송(13시간 방송)이 있다. 조선중앙방송은 북한의 대표적인 라디오 방송으로 내용을 크게 분류해 보면 보도·해설 및 논설·교양·연예·스포츠·어린이 시간 등이 있다. 대체로 교양에 할애하는 정도가 50%나 된다.
반면에 평양방송은 뉴스프로그램을 50% 이상 제작 편성하고 있고 대남 및 대외 방송을 주로 하고 있으며 대남 공산주의 사상교육을 목적으로 '김일성 방송통신대학강좌', '마르크스-레닌주의 방송대학강좌'가 있고 재일 동포 소식을 전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일본, 동남아시아, 구라파, 남미주, 중동,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선전을 행하고 있다.
평양 FM방송은 1989년 1월 1일부터 방송을 송출하게 됐다. 주파수가 92.5MHz나 105.2MHz로서 방송을 하고 가청권이 서울까지 도달하고 있다. 내용은 국내가곡 52.2%, 외국 고전음악이 36.6%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방송되는 고전명곡은 베토벤, 브람스, 비발디, 모차르트, 멘델스존의 작품이다. 한국 청소년을 의식화시키기 위해 송출되고 있는데, 이것은 북한에서 귀순한 사람들이 한결같이 [북쪽에 있을 때에는 FM방송을 들어본 적이 없고, 수신기도 본 적이 없으며, 남쪽에 와서야 이러한 방송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는 증언으로 알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국은 조선중앙텔레비전, 만수대 텔레비전과 개성 텔레비전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은 당의 정책을 위해 기능 및 역할 분담 이루어지고 있는데 조선중앙방송은 상대적으로 뉴스·교양·해설에 비중을 두고, 만수대 텔레비전은 예술공연단 및 국내외 영화전용 상용 채널이다. 개성 방송은 대남 용으로, 기술상 북한은 PAL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남한은 NTSC방식을 각각 다르게 사용함으로 이 방송국만 NTSC 방식으로 방송하고 있다. 지방에는 원산, 개성, 사리원, 함흥 등 10여 개 소의 지방방송국이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주민계도용의 TV 드라마 방영이 붐을 이루고 있는데, 이 드라마들은 '공산주의적 미풍'을 부추기기 위하여 대량으로 제작, 방영되고 있으며, 이는 북한중앙방송위원회 방송문예총국에서 관할하고 있다. [조선중앙텔레비죤]의 프로그램 편성을 살펴보면 5시보도, 8시보도, 오늘의 보도 중에서가 있으며, 5시보도 사이에 어린이 방송시간 '지덕체'가 방송되는데, 어린이 공연과 만화영화가 매일 방송된다. 각종 음악, 미술 편성물과 과학영화(감자농사와 관련된 것, 게사니, 닭, 오리 기르기, 각종 농사방법, 꽃 키우기, 새로운 과학발명품등을 소개)와 조선예술영화 혹은 과학영화가 방송된다. 8시 이후에는 련속극과 각종 음악·미술·영화에 관련한 편성물, 김일성·김정일에 대한 선전물, 각 유적지 및 각 도시 등을 기행물, 주체사상에 관련된 것, 시사해설 등이 방송된다. 특이한 것은 한 프로그램이 끝날 때마다 왕재산경음악단이나 보천보전자악단 혹은 조선인민군공훈합창단의 가수들의 노래와 연주가 나오는 것이다. 이때에는 각종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습, 김일성·김정일의 스틸사진,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한 일종의 뮤직비디오가 나온다.
4. 북한의 방송매체
북한은 방송을 정의하길 '(라지오, 텔레비죤으로 받아서 듣고 볼 수 있게) 말과 음악, 소리와 영상을 전파에 실어서 내보내는 보도수단'으로 규정하고 있다.
라디오 방송은 조선중앙방송(대내용으로 하루 22시간 방송)과 평양방송(대외·대남용 방송으로 23시간 30분 방송), 평양 FM방송(평일은 9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8시간이며, 공휴일은 24시간이다.) 구국의 소리방송(13시간 방송)이 있다. 조선중앙방송은 북한의 대표적인 라디오 방송으로 내용을 크게 분류해 보면 보도·해설 및 논설·교양·연예·스포츠·어린이 시간 등이 있다. 대체로 교양에 할애하는 정도가 50%나 된다.
반면에 평양방송은 뉴스프로그램을 50% 이상 제작 편성하고 있고 대남 및 대외 방송을 주로 하고 있으며 대남 공산주의 사상교육을 목적으로 '김일성 방송통신대학강좌', '마르크스-레닌주의 방송대학강좌'가 있고 재일 동포 소식을 전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일본, 동남아시아, 구라파, 남미주, 중동,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선전을 행하고 있다.
평양 FM방송은 1989년 1월 1일부터 방송을 송출하게 됐다. 주파수가 92.5MHz나 105.2MHz로서 방송을 하고 가청권이 서울까지 도달하고 있다. 내용은 국내가곡 52.2%, 외국 고전음악이 36.6%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방송되는 고전명곡은 베토벤, 브람스, 비발디, 모차르트, 멘델스존의 작품이다. 한국 청소년을 의식화시키기 위해 송출되고 있는데, 이것은 북한에서 귀순한 사람들이 한결같이 [북쪽에 있을 때에는 FM방송을 들어본 적이 없고, 수신기도 본 적이 없으며, 남쪽에 와서야 이러한 방송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는 증언으로 알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국은 조선중앙텔레비전, 만수대 텔레비전과 개성 텔레비전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은 당의 정책을 위해 기능 및 역할 분담 이루어지고 있는데 조선중앙방송은 상대적으로 뉴스·교양·해설에 비중을 두고, 만수대 텔레비전은 예술공연단 및 국내외 영화전용 상용 채널이다. 개성 방송은 대남 용으로, 기술상 북한은 PAL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남한은 NTSC방식을 각각 다르게 사용함으로 이 방송국만 NTSC 방식으로 방송하고 있다. 지방에는 원산, 개성, 사리원, 함흥 등 10여 개 소의 지방방송국이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주민계도용의 TV 드라마 방영이 붐을 이루고 있는데, 이 드라마들은 '공산주의적 미풍'을 부추기기 위하여 대량으로 제작, 방영되고 있으며, 이는 북한중앙방송위원회 방송문예총국에서 관할하고 있다. [조선중앙텔레비죤]의 프로그램 편성을 살펴보면 5시보도, 8시보도, 오늘의 보도 중에서가 있으며, 5시보도 사이에 어린이 방송시간 '지덕체'가 방송되는데, 어린이 공연과 만화영화가 매일 방송된다. 각종 음악, 미술 편성물과 과학영화(감자농사와 관련된 것, 게사니, 닭, 오리 기르기, 각종 농사방법, 꽃 키우기, 새로운 과학발명품등을 소개)와 조선예술영화 혹은 과학영화가 방송된다. 8시 이후에는 련속극과 각종 음악·미술·영화에 관련한 편성물, 김일성·김정일에 대한 선전물, 각 유적지 및 각 도시 등을 기행물, 주체사상에 관련된 것, 시사해설 등이 방송된다. 특이한 것은 한 프로그램이 끝날 때마다 왕재산경음악단이나 보천보전자악단 혹은 조선인민군공훈합창단의 가수들의 노래와 연주가 나오는 것이다. 이때에는 각종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습, 김일성·김정일의 스틸사진,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한 일종의 뮤직비디오가 나온다.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와 <춘향전>에 대해 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북한 예술의 특징과 사례분석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한국의사회와문화] 『새터민의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북한의 언어관][북한의 언어맞춤법][북한의 언어교육][북한의 언어정책][남한의 언어정책][...
1990년대 북한 연극과 성황당 연구
문화적 상대주의 담론이 국제인권규범에서 유효한가
남북교류협력과 문화 및 학술교류협력, 사회문화교류협력, 남북교류협력과 체육교류협력, 경...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 인민들의 대남 인식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