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수업 지도안 (3) 진달래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과 수업 지도안 (3) 진달래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 원 명
1) 단 원
2) 소단원


2. 단원 선정 이유 및 수업방향
- 시 교육에서 고려할 점


3.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구성 체계 및 수업계획
1) 학습 내용
2) 학습 자료


5. 지도상 유의점.


6. 본시 수업계획안
1) 학습목표
2) 학습방법
3) 수업 지도안
4) 형성 평가.
5) 첨부 자료

본문내용

정감을 표출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되고 있다. 생에 대한 깨달음은 〈산유화〉, 〈첫치마〉, 〈금잔디〉, 〈달맞이〉 등에서 피고 지는 꽃의 생명원리, 태어나고 죽는 인생원리, 생성하고 소멸하는 존재원리에 관한 통찰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 〈진달래꽃〉,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먼후일〉, 〈꽃촉불 켜는 밤〉, 〈못잊어〉 등에서는 만나고 떠나는 사랑의 원리를 통한 삶의 인식을 보여줌으로써 단순한 민요시인의 차원을 넘어서는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생에 대한 인식은 시론 〈시혼〉에서 역설적 상황을 지닌 ‘음영의 시학’이라는, 상징시학으로 전개되고 있다.
시집 《진달래꽃》 이후의 후기시에서는 현실인식과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강하게 부각된다. 민족혼에 대한 신뢰와 현실긍정적인 경향을 보인 시로는 〈들도리〉(1925), 〈건강(健康)한 잠〉(1934), 〈상쾌(爽快)한 아침〉(1934)을 들 수 있고, 삶의 고뇌를 노래한 시로는 〈돈과 밥과 맘과 들〉(1926), 〈팔벼개 노래〉(1927), 〈돈타령〉(1934), 〈삼수갑산 (三水甲山) ―차안서선생삼수갑산운(次岸曙先生三水甲山韻)〉(1934) 등을 들 수 있다.
시의 율격은 3음보격을 지닌 7/5조의 정형시로서 자수율보다는 호흡률을 통해 자유롭게 성공시켰으며, 민요
적 전통을 계승, 발전시킨 독창적인 율격으로 평가된다. 또한,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화자(女性話者)의 목소
리를 통하여 향토적 소재와 설화적 내용을 민요적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민족적 정감을 눈뜨게 하였다.
1981년 예술분야에서 대한민국 최고인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 생전에 출간한 《진달래꽃》
외에 사후에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 素月詩抄》(1939), 하동호(河東鎬)·백순재(白淳在) 공편의 《못잊을
그사람》(1966)이 있다.
김소월은 전통적인 민족 정감인 한(恨)의 가락을 서정시로 형상화한 시인으로 가장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그의 시의 근저에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별, 그리움에서 우러나오는 슬픔·눈물·애환
등을 읊은 것으로 동양적인 인륜주의(人倫主義)가 흐르고 있다. 특히 그의 율격은 3음보격을 지닌 7·5조의
정형시로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에 맞는 시형(詩形)을 구축하고 있다.
▼ 핵심정리
* 구성 : 수미상관(首尾相關)의 4연시
기(1연) : 이별의 정한(情恨)
'말없이 고이 ~' : 유교적 휴머니즘인 인종(忍從)과 체념(諦念)
승(2연) :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산화공덕(散花功德) - 부처님 가시는 길에 꽃을 뿌려 영화롭게 하는 일
표면 - 축복, 내면 - 만류
전(3연) : 원망을 넘어선 희생적 사랑
결(4연) : 슬픔의 의지적 승화
애이불비(哀而不悲) - 슬프지만 그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음.
* 감상 : (1) 음악성과 향토적 서정이 어우러진 시.
(2) 이별의 슬픔을 축복(사랑)으로 승화시킨 감동적인 시
* 어조 : 여성적 (인종(忍從)의 여인상)
* 운율 : (1) 3음보 (민요적)
(2) 각운의 요소 : 종결어미 '오리다' (1, 2, 4연)
* 주제 : 이별의 정한과 승화
* 의의 : 민요조의 전통시
< 차 례 >
1. 단 원 명
1) 단 원
2) 소단원
2. 단원 선정 이유 및 수업방향
- 시 교육에서 고려할 점
3.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구성 체계 및 수업계획
1) 학습 내용
2) 학습 자료
5. 지도상 유의점.
6. 본시 수업계획안
1) 학습목표
2) 학습방법
3) 수업 지도안
4) 형성 평가.
5) 첨부 자료
▼ God - 거짓말
♬♪<나레이션> 미안해..
<1절> 난 니가(×, 네가) 싫어 졌어 우리 이만 헤어져 다른 여자가 생겼어 너보다 훨씬 좋은.
실망하지는 마. 난 원래 이런 놈이니까 제발 더 이상 귀찮게 하지마
그래 이래야 했어 이래야만 했어 거짓말을 했어 내가, 내가 결국 너를 울리고 말았어.
하지만 내가 이래야만 나를 향한 너의 마음을 모두 정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내 맘을 내 결정을
어쩔 수 없음을 이렇게 하지 않으면 니가(×, 네가) 날 떠나지 않을 것임을 알기에 너무나도 잘 알기에
어쩔 수 없어 널 속일게 미안해 널 울릴게
<노래> 잘 가(가지마) 행복해 (떠나지마) 나를 잊어줘 잊고 살아가줘(나를 잊지마)
나는 (그래 나는) 괜찮아 (아프잖아) 내 걱정은 하지말고 떠나가(제발 가지마)
<2절> 왜 자꾸 날 따라와 싫다고 했잖아 다른 여자가 생겼다고 몇 번 말했잖아
너 자꾸 이러면 나 이제 정말 화낼거야 제발 너도 다른 사람 찾아
왜 자꾸 이러니 왜 자꾸 날 힘들게 하니 니가(×, 네가) 자꾸 이러면 내가 널 떠나 보내기가 힘들잖니. 내가 어디가 좋니 이렇게 매일 고생만 시키잖니 그리고 너 정도면 훨씬 좋은 남자 얼마든지 사귈 수 있잖니 (싫어! 싫어!) 정신차려 바보야 정신차려 제발 다시 한번 말하지만 나는 이제 니가(×, 네가) 정말 싫어 그러니 제발 돌아가 제발 저리가 난 니가(×, 네가) 싫어 니가(×, 네가) 정말 싫어 <노래반복>
▼ 가시리. 아리랑과의 공통점, 차이점.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다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위 증즐가 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힝고
빛리고 가시리 잇고 나다
위 증즐가 大平盛代
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 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던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진달래꽃'이나 '가시리', '아리랑'은 모두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유사한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차이점이 있다면 '진달래꽃'의 화자는 이별의 슬픔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만 가시리의 화자는 직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거기다가 아리랑에서는 임더러 발병 나라고 저주를 보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도 역시 가지 말라는 애원이 담겨 있는 것이다. '진달래꽃'도 겉으로는 가시는 임 발길에 진달래꽃을 뿌리며 축복하고 있지만 마음 속에는 이렇게 정성과 희생을 다하는 나를 차마 밟고 가랴는 기대가 깃들여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기에 이 작품들은 모두 임의 떠남을 막고자 하는 애틋한 심정이 있다는 면에서는 같다고 할 수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9.1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