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확인함으로서 확인할수 있다.
3) 출력이 최대, 최소되는 지점을 확인하여 기록하고 편광축을 확인한다.
- 측정결과 편광판 0도 , 검광판 41도에서 빛의 출력이 가장 컸다.
즉 0도와 41도에 편광판과 검광판이 편광축이다(수직).
2) 편광자를 사용하여 헬륨-네온 레이저의 편광 방향을 결정하시오.
- 0도에서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과 41도에서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을 레이저의 위에 놓고
빛의 세기를 측정해본 결과 각각 0도와 41도에서 빛의 세기가 가장강하고 90도와 -45도에서 빛의 세기가 가장 약하였으므로 레이저의 편광방향은 수직이다.
3) 편광자와 검광자를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여 설치하시오.
a)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의 주축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레이저 위에 1/4파장판과 1/2파장판을 각각 놓아 편광측정기로 측정한 후 컴퓨터 모니터에 나오는 측정결과를 확인하여 각각의 파장판을 지났을때 편광이 어떻게 변할지 관찰한다.
b) y축으로 편광된 레이저를 사용하여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을 각각 회전각도에 따른 편광 모양을 편광 관측기를 사용하여 관측하고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이 선형 편광을 어떻게 편광을 변화 시키는 가를 설명하시오.
- 1/4 파장판을 통과했을 경우엔 그림과 같이 선평광이 원편광으로 변화되었다는 사실을 알수있는데 이는 1/4파장판이 1/4파장만큼 위상지연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 1/2 파장판을 통과했을 경우엔 수직편광이 수평편광이 된것을 확인할수 있는데 이는 1/2 파장판이 1/2파장만큼의 위상지연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편광자에 의해 빛이 통과하지 않게 될 경우 자연광이 들어 가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여러 성분을 한꺼번에 인식하게 된다.
앞에서의 실험들과 달리 이번 실험에서는 파장판과 편광판을 모두 회전시키기 때문에 앞서 얻디 못했던 타원편광 역시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x와 y의 두 편광 성분의 크기가 달라져 타원편광이 나오게 된다.
다음과 같이 45도나 그 이외의 각도에서 선편광되어있는 편광도 얻을수 있다.
4) 레이저 PBS 사이에 1/2 파장판을 놓으시오.
a) PBS를 지나는 두 빔들의 편광 방향을 확인하시오. 두 빔들의 상대강도를 관측하시오.
- 레이저 빛이 편광되지 않았다면 수평, 수직 성분이 모두 나오게 되지만 편광되어 있다면 수직편광 , 수평편광 둘중 하나만 나오게 된다.
수직편광 ≫ 수평 , 수평편광 ≫ 수직
1/2 파장판을 회전시킬 경우 수직성분이 약해지면 수평성분이 강해지고, 수직성분이 강해지면 수평성분이 약해진다.
1번 선편광의 실험은 고정된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검광자 회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한 실험이다. 실험에서 검광자의 회전각도를( 0°~ 90°) 증가함에 따라, 빛의 세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는 비편광된 빛이 편광판에 입사하면서, 수직 편광된 출사광을 만들었으며, 수직 편광된 빛이 검광자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내는 것은, 검광자가 선편광기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3) 출력이 최대, 최소되는 지점을 확인하여 기록하고 편광축을 확인한다.
- 측정결과 편광판 0도 , 검광판 41도에서 빛의 출력이 가장 컸다.
즉 0도와 41도에 편광판과 검광판이 편광축이다(수직).
2) 편광자를 사용하여 헬륨-네온 레이저의 편광 방향을 결정하시오.
- 0도에서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과 41도에서 편광축을 갖는 편광판을 레이저의 위에 놓고
빛의 세기를 측정해본 결과 각각 0도와 41도에서 빛의 세기가 가장강하고 90도와 -45도에서 빛의 세기가 가장 약하였으므로 레이저의 편광방향은 수직이다.
3) 편광자와 검광자를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여 설치하시오.
a)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의 주축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레이저 위에 1/4파장판과 1/2파장판을 각각 놓아 편광측정기로 측정한 후 컴퓨터 모니터에 나오는 측정결과를 확인하여 각각의 파장판을 지났을때 편광이 어떻게 변할지 관찰한다.
b) y축으로 편광된 레이저를 사용하여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을 각각 회전각도에 따른 편광 모양을 편광 관측기를 사용하여 관측하고 1/4 편광판과 1/2 편광판이 선형 편광을 어떻게 편광을 변화 시키는 가를 설명하시오.
- 1/4 파장판을 통과했을 경우엔 그림과 같이 선평광이 원편광으로 변화되었다는 사실을 알수있는데 이는 1/4파장판이 1/4파장만큼 위상지연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 1/2 파장판을 통과했을 경우엔 수직편광이 수평편광이 된것을 확인할수 있는데 이는 1/2 파장판이 1/2파장만큼의 위상지연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편광자에 의해 빛이 통과하지 않게 될 경우 자연광이 들어 가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여러 성분을 한꺼번에 인식하게 된다.
앞에서의 실험들과 달리 이번 실험에서는 파장판과 편광판을 모두 회전시키기 때문에 앞서 얻디 못했던 타원편광 역시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x와 y의 두 편광 성분의 크기가 달라져 타원편광이 나오게 된다.
다음과 같이 45도나 그 이외의 각도에서 선편광되어있는 편광도 얻을수 있다.
4) 레이저 PBS 사이에 1/2 파장판을 놓으시오.
a) PBS를 지나는 두 빔들의 편광 방향을 확인하시오. 두 빔들의 상대강도를 관측하시오.
- 레이저 빛이 편광되지 않았다면 수평, 수직 성분이 모두 나오게 되지만 편광되어 있다면 수직편광 , 수평편광 둘중 하나만 나오게 된다.
수직편광 ≫ 수평 , 수평편광 ≫ 수직
1/2 파장판을 회전시킬 경우 수직성분이 약해지면 수평성분이 강해지고, 수직성분이 강해지면 수평성분이 약해진다.
1번 선편광의 실험은 고정된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검광자 회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한 실험이다. 실험에서 검광자의 회전각도를( 0°~ 90°) 증가함에 따라, 빛의 세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는 비편광된 빛이 편광판에 입사하면서, 수직 편광된 출사광을 만들었으며, 수직 편광된 빛이 검광자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내는 것은, 검광자가 선편광기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