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초기 기독교의 전파
2. 기독교의 공인
3. 로마문화와 기독교
4. 기독교와 미술
결론
본론
1. 초기 기독교의 전파
2. 기독교의 공인
3. 로마문화와 기독교
4. 기독교와 미술
결론
본문내용
예술가들은 개인으로서의 창작을 존중하고, 종교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해석과 개성에 입각한 표현을 추구하였다. 중세양식으로부터 이탈하려는 발판을 고전 고대의 예술양식의 부활에서 구하고, 또 사물의 객관적 관찰에 입각한 자연주의적 묘사를 중시하였다. 교육용장식용 도상은 대규모의 벽화천장화로써 성당 안을 장식하였는데, 이 때는 프레스코화(畵)가 보편적이었으나, 말기에는 유화(油畵)가 많아졌다.
사전화(史傳畵)설화화(說話畵) 등에서는 투시도법과 자연주의적인 인물사물 묘사에 의하여 장면묘사는 매우 현실적이 되었다. 르네상스시대의 그리스도교 미술은 그 속에 고대 이교적(異敎的) 또는 세속적 감각이 들어가, 예술가는 내면적 종교감정의 표현보다도 외적인 여러 문제, 즉 인체 표현의 해부학적 정확성, 공간표현의 3차원성 등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종교미술은 차차 종교에서 독립하여 미술을 위한 미술이 되었다.
【바로크시대 이후】 르네상스 말기 종교개혁으로 일어난 프로테스탄트는 카톨릭 교회를 이탈하였다. 그들은 도상숭배를 부정함으로써 그리스도교 미술과는 다소 소원(疎遠)한 사이가 되었다. 카톨릭교회는 프로테스탄트 측의 공격과 르네상스 미술의 이교화(異敎化)에 대항해서, 반 종교개혁(反宗敎改革) 운동을 일으켜 그리스도교 미술을 다시 성화(聖化)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특히 도상학적인 면에서 두드러졌으나, 이 시대의 미술은 명암의 기법에 의한 신비적 효과를 이용하여 극적 표현에 의한 새로운 종교감정의 고양(高揚)을 노린 것이었다.
결론
지금까지 기독교의 전파와 공인, 고전 문화와 기독교, 그리고 기독교 미술에 관해 살펴보았다. 어떤 학자들은 기독교로 인해 나타난 서양 문명의 시대, 즉 중세 시대를 문화의 암흑기로 부르며 매우 혹평하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표출한다. 하지만 내 개인적인 관점으로는 그런 중세 시대가 조금 부러운 감이 없지 않다. 어렸을 때부터 교회를 다니고 지금도 신앙을 간직한 채 살고 있는데, 대학 내에서도 기독교에 대한 관점이 결코 좋지 않다. 물론 일부 광신도들의 맹목적인 복음위주의 신앙이나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며 악을쓰는게 전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면 나도 짜증이 날 때가 있다. 하지만 중세 시대를 살펴보면 카타콤이라 불리우는 초대 교회 시절의 엄청난 고난을 통해 기독교가 인정을 받고, 중세의 지배 이념으로써 자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1000여 년 간 독보적인 위치에서 중세 시대를 장악한다. 물론 이 시대에는 계급 시대였기 때문에 같은 예수를 믿더라도 자신의 계급에 따라 자신이 신에게 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각자 자기 위치에서 신을 위해 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살 수 있는 아주 평온한 때가 아닌가 싶다. 현재 기독교는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한국 기독교는 목사 세습문제, 교회 부의 편중문제 등 여러 가지 난제가 있다. 이러한 때에 초기 교회시절 카타콤에서 벽화를 그리면서 기독교의 전파에 힘썼던 것을 생각해 하루 빨리 초대 교회 시절의 순수한 모습을 회복했으면 좋겠다.
사전화(史傳畵)설화화(說話畵) 등에서는 투시도법과 자연주의적인 인물사물 묘사에 의하여 장면묘사는 매우 현실적이 되었다. 르네상스시대의 그리스도교 미술은 그 속에 고대 이교적(異敎的) 또는 세속적 감각이 들어가, 예술가는 내면적 종교감정의 표현보다도 외적인 여러 문제, 즉 인체 표현의 해부학적 정확성, 공간표현의 3차원성 등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종교미술은 차차 종교에서 독립하여 미술을 위한 미술이 되었다.
【바로크시대 이후】 르네상스 말기 종교개혁으로 일어난 프로테스탄트는 카톨릭 교회를 이탈하였다. 그들은 도상숭배를 부정함으로써 그리스도교 미술과는 다소 소원(疎遠)한 사이가 되었다. 카톨릭교회는 프로테스탄트 측의 공격과 르네상스 미술의 이교화(異敎化)에 대항해서, 반 종교개혁(反宗敎改革) 운동을 일으켜 그리스도교 미술을 다시 성화(聖化)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특히 도상학적인 면에서 두드러졌으나, 이 시대의 미술은 명암의 기법에 의한 신비적 효과를 이용하여 극적 표현에 의한 새로운 종교감정의 고양(高揚)을 노린 것이었다.
결론
지금까지 기독교의 전파와 공인, 고전 문화와 기독교, 그리고 기독교 미술에 관해 살펴보았다. 어떤 학자들은 기독교로 인해 나타난 서양 문명의 시대, 즉 중세 시대를 문화의 암흑기로 부르며 매우 혹평하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표출한다. 하지만 내 개인적인 관점으로는 그런 중세 시대가 조금 부러운 감이 없지 않다. 어렸을 때부터 교회를 다니고 지금도 신앙을 간직한 채 살고 있는데, 대학 내에서도 기독교에 대한 관점이 결코 좋지 않다. 물론 일부 광신도들의 맹목적인 복음위주의 신앙이나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며 악을쓰는게 전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면 나도 짜증이 날 때가 있다. 하지만 중세 시대를 살펴보면 카타콤이라 불리우는 초대 교회 시절의 엄청난 고난을 통해 기독교가 인정을 받고, 중세의 지배 이념으로써 자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1000여 년 간 독보적인 위치에서 중세 시대를 장악한다. 물론 이 시대에는 계급 시대였기 때문에 같은 예수를 믿더라도 자신의 계급에 따라 자신이 신에게 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각자 자기 위치에서 신을 위해 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살 수 있는 아주 평온한 때가 아닌가 싶다. 현재 기독교는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한국 기독교는 목사 세습문제, 교회 부의 편중문제 등 여러 가지 난제가 있다. 이러한 때에 초기 교회시절 카타콤에서 벽화를 그리면서 기독교의 전파에 힘썼던 것을 생각해 하루 빨리 초대 교회 시절의 순수한 모습을 회복했으면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