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의 녹조현상 발생원인과 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대강의 녹조현상 발생원인과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4대강 사업

2. 녹조현상

가. 녹조현상의 원인

나. 녹조현상의 피해

다. 녹조현상의 대책

본문내용

a)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오스민(geosmin)은 심각한 악취를 유발하고 낙동강에서는 간질환을 일으키는 독소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녹조 현상이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수도권, 영남권, 충청권 식수원의 수질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녹조현상에 대한 대책 녹조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살조제 살포 방법 외에 상류유역의 수질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여 영양염류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호소의 물을 순환하게 하여 상·하층간의 물을 교환함으로써 조류성장을 억제하는 수중 폭 기시설과 조류 제거선을 운영하고 오일팬스 같은 번식차단장치나 차광막을 설치하여 수돗물을 만드는 정수처리과정에서는 침전시키기 어려운 조류를 물에 띄워 제거하는 부 상 처리법 및 가는 망으로 만들어진 스크린을 회전드럼에 부착시킨 마이크로스트레나라는 거름 장치를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섣부른 화학물질의사용은 수질오염 및 생태계 교란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 외에도 초대형 보의 수문을 열어 강물을 흘러가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듯 거대한 8개의 보로 막힌 강물은 유속이 매우 느려 폭염에 조류의 대량증식 사태를 불러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직 녹조 현상으로 오염되지 않은 댐이나, 또는 8개의 초대형 보의 수문을 열어 강물을 흘러가게 해야 한다. 추가적인 조류의 증식을 막기 위해서라도 수문의 개방은 반드시 필요하며, 더 나아가서는 안동댐 방류 등을 통한 특단의 조처로 조류의 이상증식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하지만 어떤 문제에서나 그렇듯이 최선의 해결책은 사전에 미리 방지하는 것이다. 조류는 일단 발생하면 여러 가지 장해와 위험이 따른다. 한번 물에 유입된 영양염류는 제거하지 않으면 수중 생태계에 계속 남아 있으므로 녹조가 되풀이된다. 녹조를 막기 위하여 생활하수를 충분히 정화하고 영양염류가 바다나 호수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또 강이나 호숫가에 식물을 심어 이미 유입된 영양염류를 흡수·제거해야 한다. 또, 조류가 발생하기 알맞은 물의 온도인 15∼25℃가 되는 봄과 가을철에는 적어도 하루에 한차례씩 조류의 종류와 양을 계측하여 조류양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살조제를 살포하여 조류의 급속한 증식을 미리 방지해야 한다.
참고자료
두산백과
시사상식사전
-SBS뉴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315495-뷰스앤뉴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9614-아시아경제뉴스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80808373437932&nvr=Y-KBS뉴스 http://news.kbs.co.kr/society/2012/08/11/2517934.html-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11/2012081100245.html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4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