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종파와 계층
2. 자본주의 정신
3. 루터의 직업 개념
2장.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
1. 세속적 금욕주의의 종교적 토대
2. 금욕주의(칼뱅주의)와 자본주의 정신
2. 자본주의 정신
3. 루터의 직업 개념
2장.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
1. 세속적 금욕주의의 종교적 토대
2. 금욕주의(칼뱅주의)와 자본주의 정신
본문내용
18세기 프랭클린이 쓴 글에 자본주의 정신이 잘 담겨있다. 시간이 돈이며, 신용이 돈이며, 또한 그 돈은 번식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기회비용의 낭비에 대한 것과, 신용을 바탕으로 한 물질의 수입/지출, 그리고 기회에 대한 내용들이 언급된다. 이런 플랭클린의 글에는 단순히 물질을 목적으로 삼는 것이 아닌,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 자체를 삶의 목적으로 삼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고 이에는 그 이상으로 윤리적 특징이 담겨 있다. 그의 이러한 정신의 바탕에는 기독교 정신이 바탕이 된다. “그의 직업에 충실한 사람을 보았느냐?
직업을 소명으로 여긴 것은 종교개혁자 루터로부터 시작되었다. 소명으로서의 직업관념은 모든 프로테스탄트 교파의 중심교리인데, 이는 카톨릭의 이중도덕을 바판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루터는 인간은 불완전하며 선한 행동이 인간을 구원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오로지 하나님이 우리 죄를 용서해 준다는 사실을 믿음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세상의 직업노동을 이웃에 대한 사랑이 밖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분업이라는 개념이 바로 여기에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루터는 이익추구에 대해 부정적이었기에 자본주의에 직접적 관련은 없다. 루터는 자신의 신분이나 직업을 숙명으로 받아들이라고 했는데, 이는 누구나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논리와 섭리사상으로 뒷받침되었다. 이런 섭리사상은 사람들의 활동에 제약을 둘 수 밖에 없었기에 루터의 사상은 더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
직업을 소명으로 여긴 것은 종교개혁자 루터로부터 시작되었다. 소명으로서의 직업관념은 모든 프로테스탄트 교파의 중심교리인데, 이는 카톨릭의 이중도덕을 바판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루터는 인간은 불완전하며 선한 행동이 인간을 구원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오로지 하나님이 우리 죄를 용서해 준다는 사실을 믿음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세상의 직업노동을 이웃에 대한 사랑이 밖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분업이라는 개념이 바로 여기에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루터는 이익추구에 대해 부정적이었기에 자본주의에 직접적 관련은 없다. 루터는 자신의 신분이나 직업을 숙명으로 받아들이라고 했는데, 이는 누구나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논리와 섭리사상으로 뒷받침되었다. 이런 섭리사상은 사람들의 활동에 제약을 둘 수 밖에 없었기에 루터의 사상은 더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