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생태관광지 순천만 생태습지 탐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 생태관광지 순천만 생태습지 탐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전남 순천시 순천만 생태습지 탐방

1. 서론
2. 순천만 생태습지의 특성
3. 일반적인 대중 관광지와의 차이에 대한 분석
4. 순천만 생태계 보전계획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1) 순천만 생태계 보전계획
2) 순천만 생태계 보전계획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5.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안타까울 노릇이다.
앞으로 추진할 자연생태 사업으로는 생태계 보전과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 연안습지 생태복원, 순천만 습지보호지역 관리와 고엽갈대 제거, 구조센터 운영 등 야생동물의 적정관리, 환경단체지원 및 자연보호활동 등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한다.
2008년 4월에 구성된 습지보호위원회는 3년동안 위원회 한번 열리지 않다가 지난해 5월과 7월에 2회에 걸쳐 순천만생태복원사업용역 중간보고회와 최종보고회 위해 개최한 것에 불과했다. 올해에는 한번도 열리지 않았다. 칠면초 군락이 줄어들고 짱뚱어가 사라지면서 갯벌이 악화되고 있는데 할 일이 없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는게 환경단체의 반응이다.
그동안 주민들은 외래 관광객, 사진촬영객, 등의 빈번한 출입으로 농로상에서 여러 가지 불편을 겪었고, 겨울철 농경지의 흑두루미를 비롯한 철새의 피해를 묵묵히 감내하면서 시 행정에 협조해왔다. 지금까지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하지 않았어도 주민들은 철새보호에 협조하였다. 그 결과 흑두루미 등의 개체수가 증가하였고 관광객의 왕래도 많아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의 재산인 농지를 주민과의 협의 없이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주민을 무시한 관치행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5. 결론
순천만 연안습지가 유명세를 타 관광객이 갑자기 불어나기 시작한 것은 2007년부터다. 2003년에 국토해양부에서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고, 2006년 람사르협약에서 세계 5대연안습지로 등록되면서 연간 10만여명에 불과했던 순천만의 관광객이 이제는 300만명을 넘어섰다. 너무나 빠른속도로 우리나라 생태관광 1번지로 부각된 것이다. 이에따라 관광객 편의를 위해 갈대밭 사이의 데크나 자연생태관 등 시설에만 집중 투자했다. 반면 습지보호나 갯벌보전에는 뒷전에 밀려 생태보전에는 소홀한 것으로 지적받고 있다.
생태관광지로서 환경을 보존하면서 나아가야 할 생태관광은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자연을 보전해 나가는 전제하에 지역민들의 삶의 문화, 풍습, 농어업, 특산물, 역사 등이 포함된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인프라가 구축 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자연과 지역경제가 상생하는 생태관광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참고자료
1. “생태관광론” / 최태광/ 백산출판사/ 2001년/
2. 세계정원박람회 홈페이지 : www.2013expo.or.kr
3. 순천만 국제습지센터 제공 리플릿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24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