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에 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단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이단에 대한 논쟁
 2)병역 사회에서 집총 거부를 선언한 여호와의 증인
  (1)창시자와 연혁
   1).창시자
   2)연혁
   3)한국에서의 역사와 현황
  (2)여호와의 증인이 사회와 교회에 미치는 영향
   1) 여호와의 증인의 병역거부 및 집총거부
   2) 수혈거부 문제
   3) 사회생활의 파괴
  (3) 여호와의 증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반박
   1)일제 강점기 사회주의 혁명가들보다 더 비타협적으로 군대를 거부했던
   2)‘오욕’의 사법부 역사를 떠올리다
   3)여호와의 증인, 1930년대부터 시련
   4)병역기피 악용, 걱정 안해도 된다
   5)100년전엔 ‘아파트’도 금기였다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맥락으로 해석 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점 말이다. 또한 종교라는 것의 기본적 취지를 살펴 보았을 때 현재의 종교가 너무 사회라는 타성에 젖어 본연의 목적을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을 던져 보아야 할 것이다.
기독교계 오른쪽 날개격인 한기총은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사법부의 판결에 관련하여 “무죄 선고가 병역기피 확산으로 이어져 군의 사기 저하와 국민 위화감을 조성할 뿐더러 국가안보를 위태롭게 하지 않을까 크게 우려 된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러한 것은 세계 대전 당시 종교계에서 교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국가를 위해 싸우라고 조장했던 것과 맞물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종교이며, 교회인가라는 의문을 던져 볼 수 있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우리는 지금 현재에 살고 있으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성서적 진리란 말 그대로 현재 정통성을 획득한 진리일 뿐이라는 것이다. 진리에 가깝지만 정통성을 획득하지 못한 종파들의 경우에는 이단으로 몰려 사회적종교적으로 핍박을 받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Ⅲ.결론
한국사회에는 수 많은 종교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 많은 종교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그 평가가 누군가가 만들어낸 표준이나 현재 사회에 발전된 종교전통에 근거해서는 안된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각과 기준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그리고 어떤 교육을 받는가에 따라 혹은 그 당시의 상황 등등에 따라 달라져 왔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기독교전통도 수천년 동안 변해왔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성경에 남아있는 원래의 모습과 다른 모습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여호와의 증인의 종교적 신념과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 어떤 불편도 감수하는 모습은 현 한국사회의 입장에서는 거부감을 불러 일으킬 수 밖에 없고 그것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단으로 여기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앞서 이야기한 여호와 증인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반박과 같은 주장이 어쩌면 특정 종교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작업으로 오인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것은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특정 종교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 존재하는 이단들의 규정에 대한 총체적인 의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시에 현재 사회라는 타성에 젖어 있는 기성 종교에 대한 비판까지 병행해서 고민하는 문제인 것이다. 분명 여호와의 증인은 단순히 사회적인 문제 뿐 만이 아닌 교리의 문제에 있어서도 분명 성서 중심의 기존 교회와는 명백히 다른 이단적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들은 분명 역사적으로 오류를 범한 사례가 존재한다. 때문에 본문의 여호와의 증인에 대한 총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여호와의 증인들에 대한 사회적으로 알려진 통념에 근거하여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글에서 주되게 집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16세기의 종교 개혁과 20세기의 에큐매니칼 운동 이후 이단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탄압이 사라진 이 시점에서 사회적으로 탄압을 받는 종교는 기존 사회에 부적응, 즉 사회라는 총체적 시스템에 종교상의 이유로 편입되기를 거부한 자들에게 이단이라는 잣대로 그들을 구분 지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인 것이다.
종교적 관점만이 아닌 사회적 관점, 그것도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관점에 의거하여 사회적 이단임을 판명하는 이러한 사례들에 대하여 모두가 함께 고민하기를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단에 관한 문제를 단순히 ‘정통이다, 아니다’, ‘진리다, 아니다’가 아닌 그것의 주장에 근거가 정확히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교리가 결국엔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관하여 총체적인 접근법과, 그에 따른 자신의 주관을 설립하는 것이 이단에 관한 잘못된 이해를 바로 잡기 위한 주요한 기제일 것이다.
종교에 있어서 진리이자 정도란 무엇일까, 세상과 타협하고 세상 안에서 세 불리기를 하는 기존의 정통 교회들의 모습인가, 아니면 자신들의 종교적 신념으로 사회의 시스템에 편입되기를 거부하는 현재 사회적 이단 종교들인가. 비약적인 비교이지만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2000년 전에는 분명히 사회적, 그리고 종교적으로 이단이었으며 그 분의 역사 하심은 교리라는 타성에 젖어 있던 바리새인들과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경종이었다는 것을 현재의 기독교인들은 알 것이다.
Ⅳ.참고문헌
1)참고도서
①한국의 신흥 종교/ 노길명 개정판(6판) 서울: 카톨릭신문사, 1990
②천주교 신자와 여호와의 증인과의 대화/ 주순집 지음/ 서울:가톨릭출판사/1995
③여호와 증인의 정체/원세호 저/서울: 요단출판사, 1995
④종교는 없다/권오문/서울:문이당,2005
⑤그리스도교 이단의 교회사적 이해/G.에반스/크리스천 헤럴드, 2004
2)참고사이트
① 여호와의 증인: 워치타워 협회 공식 웹 사이트
http://www.watchtower.org/languages/korean/index.html
②〔한홍구의 역사 이야기〕‘여호와의 증인’ 앞에서 부끄럽다
http://h21.hani.co.kr/section-021075000/2004/05/021075000200405270511062.html
③여호와의 증인, 그들은 누구인가
http://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4/06/021003000200406010512029.html
④“그들은 양심불량 범죄집단!”
http://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4/06/021003000200406010512059.html
⑤교회개혁운동가가 본 여호와의 증인과 병역거부
당신에게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의 권리를 존중한다
http://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4/06/021003000200406010512014.html
⑥이단의 가시관 쓴 대체복무제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반발로 국회 공청회 무기한 연기… 인권이냐 종교갈등이냐
http://h21.hani.co.kr/section-021037000/2001/07/021037000200107110367002.html
⑦GODpia 기독교
http://jesus.godpia.com/edan/yeuhowaj.asp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9.24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