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원불교의 개교(開敎)
◎ 개교의 동기
◎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
◎ 일원상의 진리
◎ 개교의 동기
◎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
◎ 일원상의 진리
본문내용
의 공동생일을 겸하며 우리 회상의 근원이 되는 날로 이를 헌축하는 경절
- 석존성탄절 : 음 4월 8일 원불교의 연원불인 석가모니불의 탄생을 헌축 하례하는 경절
- 법인절 : 8월 21일에 회상의 구인 선진(先進)이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성사(法認聖事)로써 본교 창립 정신의 표준을 보여 주신 것을 기념 경축하는 경절
교회장(敎會葬)
교회장이라 함은 본교에서 주상이 되어 상장에 대한 비용과 의식을 담당 거행하는 것이다 .일새을 오로지 본교에 공헌한 전무출신과 기한 전무출신이라도 집무 도중 열반한 이에 대한 사후 대우 방법의 하나이며, 기한 전무출신으로서 그 기한을 이미 마친이와 거진출진 유공인의 상장에 대하여도 그의식만은 본교에서 주장이 되어 행례한다.
대제(大際)
대제는 , 대종사 이하 본교의 모든 조상을 길이 추모하여 정례로 합동 항례를 올리는 것이다. 이는 곧 추원보본(追遠報本)의 예를 실행하는 바로서 해마다 두 번 거행하되 6월 1일 ‘육일 대제’와 12월 1일 ‘명절 대제’에 대종사를 위시한 역대 선령 열위를 영모전에 공동 향례하여, 모든 교도로 하여금 마음을 이에 합하여, 정성을 이에 바치며 위의를 이에 갖추어서 법계향화(法系香火)가 한 없는 세월에 길이 유전하게 하자는 것이다.
◎ 법회 진행절차 및 의미
1. 개회: 시작 시간이 되면 사회자는 죽비 3타 신호를 한다음 개회 선언
2. 불전헌배 : 사회의 안내에 따라 경건한 마음으로 법신불전에 대례로 4배, 지난 일주일 동안 호렴하여 주신 법신불 사은께 감사올리며 앞으로도 항상 법신불 사은의 뜻대로 생활할 것을 다짐하는 마음으로 임한다.
3. 입정(入定) : 오롯한 마음으로 법회에 임하기 위하여 모든 잡념들을 제거하고 온전한 본래 마음을 찾는 시간
4. 독경 (서원문, 반야심경) : 사회자의 경종과 목탁에 맞춰 일원상 서원문 암송, 교당에 따라 반야심경을 암송하기도 한다.
5. 교가 : 교가는 원불교를 신앙하고 대종사의 가르침을 받아 불보살이 되고 극락생활을 할수 있게 되는 기쁨을 찬탄한 노래
6. 설명기도(심고가) : 설명기도는 공통의 기원사항을 신도들이 함께 기원하는 내용이고 심고가는 개인적인 기원사항을 기원하는 것이다.
7. 법어봉독 : 사회자와 함께 경전을 봉독한다.
8. 일상수행의 요법 암송 : ‘일상수행의 요법’은 원불교의 교리를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조목화 한 것이다. 법회에 참석하여 얻은 소득을 마음 속으로 정리하면서 앞으로의 생활을 다짐하는 마음으로 암송
9. 성가 : 성가는 대종사님의 가르침을 알기 쉽고 간략하게 실천 수행할 수 있도록 또 생활 신조를 삼도록 강령 잡아주신 교서이다
10. 설법 : 대종사의 소중한 법의 말씀을 받드는 시간
11. 묵상심고 : 당일 법회의 소득을 마음속으로 정리하여 법신불전에 그 실천을 다짐하고, 각자의 소망을 따라 일심으로 고백한다.
12. 산회가 : 법회 마무리하며 법열에 찬 마음으로 성가 부른다.
13. 폐회 : 사회자의 폐회선언과 죽비 3타로 법회 종료
◎ 교의
교의라 함은 모든 의례를 시행함에 있어서 교단의 면목과 의식의 위의(威儀)를 표하는데 필요한 교기, 교복, 교구와 기타 도구 등을 통칭한다.
1. 교기 : 교기는 교단을 상징하는 기
2. 교복 : 상주 도량이나 모든 법요 행사에 위의를 갖추는 교단적 예복
3. 교구 : 불단의 위의를 갖추는 불전도구(향로, 촉대, 금연화, 헌공함)과 법요행사에 사용하는 법요도구(경상, 목탁, 좌종과 죽비, 요령 및 청수기)와 특별 법요행사 때에 임시로 사용하는 장엄도구(조화, 생화) 세가지가 있다.
4. 교표 : 교도임을 표시하는 표
5. 교화 : 교단을 상징하는 꽃
6. 법종 : 도량의 일상생활과 법회의 시종을 알리는 도구
7. 염주, 단주, 법고 : 염불이나 송주 때에 대중을 잡고 운속을 맞추는 수행도구
(참고) 불교법회 진행 순서
1. 개회(開會)
2. 헌공(獻花, 獻香) 지금 이 시간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시간입니다.
3. 삼귀의 ( 찬불가를 할 때는 삼귀의를 하고, 예불문을 할 때는 예불문을 한다.)
다음은
지혜와 복덕 구족하신 부처님
중생을 해탈로 이끄는 가르침
화합과 자비의 공동체 승가에
귀의하는 삼귀의(예불)가 있겠습니다.
4. 찬불가
5. 반야심경
지혜를 깨달아 알게 하는 반야심경이 있겠습니다.
※ 반야 심경 ----------------------------------------------------
[팔만대장경] 가운데 六百권이나 되는 [반야경]의 내용을 260자로 간추려 만든 경으로써 부처님 경전 중 제일 짧은 경전이다. 그러나, 이 경전안에는 부처님이 말씀하신 모든 진리가 함축되어 들어 있다.
우리가 함송하는 것은 당나라때 현장스님이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으로부터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6. 발원문(發願文)
부처님께 올리는 서원으로, 나쁜 마음을 모두 버리고, 부처님처럼 크고, 넓고, 밝고, 맑은 마음으로 살아가려고 다짐하는 발원문이 있겠습니다.
7. 입정(入定)
입정은 설법을 듣기 위하여 자기 마음을 비우는 수행이다. 그릇에 물을 담으려면 빈 그릇이어야 하듯, 자기 마음속에 부처님의 무량한 법문을 담으려면 자기 마음속의 잡 된 마음을 모두 버려야 한다. 이것은 곧 교만을 모두 버려야 한다. 이것은 곧 교만을 버린 겸손이기도 하다. 입정은 곧 좌선을 말한다.
8. 청법가
법사님께 부처님의 법을 설해 주시기를 청하는 청법가가 있겠습니다.
9. 설법(說法)
설법이란 삼보 중의 법보(法寶)인 경전에 의지하여 법사가 부처님을 대신하여 불교의 진리를 중생에게 일깨워 주는 경건한 의식이다
10. 정근(靜勤)
거룩하신 부처님을 고요한 마음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부처님의 크신 공덕을 기리며, 부처님이 이름을 부르는
11. 축원 -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12. 공지사항
13. 사홍서원(四弘誓願)
사홍서원은 모든 불,보살들이 일체중생을 구원하기 위하여 세운 총원이다. 따라서 불도를 실현하는 것은 바로 사홍서원을 실현하는 것이다.
찬불가를 부르거나 게송을 읊더라도 진지하고 경건하게, 서원을 실현하겠다는 굳은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
14. 산회가
15. 폐회
- 석존성탄절 : 음 4월 8일 원불교의 연원불인 석가모니불의 탄생을 헌축 하례하는 경절
- 법인절 : 8월 21일에 회상의 구인 선진(先進)이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성사(法認聖事)로써 본교 창립 정신의 표준을 보여 주신 것을 기념 경축하는 경절
교회장(敎會葬)
교회장이라 함은 본교에서 주상이 되어 상장에 대한 비용과 의식을 담당 거행하는 것이다 .일새을 오로지 본교에 공헌한 전무출신과 기한 전무출신이라도 집무 도중 열반한 이에 대한 사후 대우 방법의 하나이며, 기한 전무출신으로서 그 기한을 이미 마친이와 거진출진 유공인의 상장에 대하여도 그의식만은 본교에서 주장이 되어 행례한다.
대제(大際)
대제는 , 대종사 이하 본교의 모든 조상을 길이 추모하여 정례로 합동 항례를 올리는 것이다. 이는 곧 추원보본(追遠報本)의 예를 실행하는 바로서 해마다 두 번 거행하되 6월 1일 ‘육일 대제’와 12월 1일 ‘명절 대제’에 대종사를 위시한 역대 선령 열위를 영모전에 공동 향례하여, 모든 교도로 하여금 마음을 이에 합하여, 정성을 이에 바치며 위의를 이에 갖추어서 법계향화(法系香火)가 한 없는 세월에 길이 유전하게 하자는 것이다.
◎ 법회 진행절차 및 의미
1. 개회: 시작 시간이 되면 사회자는 죽비 3타 신호를 한다음 개회 선언
2. 불전헌배 : 사회의 안내에 따라 경건한 마음으로 법신불전에 대례로 4배, 지난 일주일 동안 호렴하여 주신 법신불 사은께 감사올리며 앞으로도 항상 법신불 사은의 뜻대로 생활할 것을 다짐하는 마음으로 임한다.
3. 입정(入定) : 오롯한 마음으로 법회에 임하기 위하여 모든 잡념들을 제거하고 온전한 본래 마음을 찾는 시간
4. 독경 (서원문, 반야심경) : 사회자의 경종과 목탁에 맞춰 일원상 서원문 암송, 교당에 따라 반야심경을 암송하기도 한다.
5. 교가 : 교가는 원불교를 신앙하고 대종사의 가르침을 받아 불보살이 되고 극락생활을 할수 있게 되는 기쁨을 찬탄한 노래
6. 설명기도(심고가) : 설명기도는 공통의 기원사항을 신도들이 함께 기원하는 내용이고 심고가는 개인적인 기원사항을 기원하는 것이다.
7. 법어봉독 : 사회자와 함께 경전을 봉독한다.
8. 일상수행의 요법 암송 : ‘일상수행의 요법’은 원불교의 교리를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조목화 한 것이다. 법회에 참석하여 얻은 소득을 마음 속으로 정리하면서 앞으로의 생활을 다짐하는 마음으로 암송
9. 성가 : 성가는 대종사님의 가르침을 알기 쉽고 간략하게 실천 수행할 수 있도록 또 생활 신조를 삼도록 강령 잡아주신 교서이다
10. 설법 : 대종사의 소중한 법의 말씀을 받드는 시간
11. 묵상심고 : 당일 법회의 소득을 마음속으로 정리하여 법신불전에 그 실천을 다짐하고, 각자의 소망을 따라 일심으로 고백한다.
12. 산회가 : 법회 마무리하며 법열에 찬 마음으로 성가 부른다.
13. 폐회 : 사회자의 폐회선언과 죽비 3타로 법회 종료
◎ 교의
교의라 함은 모든 의례를 시행함에 있어서 교단의 면목과 의식의 위의(威儀)를 표하는데 필요한 교기, 교복, 교구와 기타 도구 등을 통칭한다.
1. 교기 : 교기는 교단을 상징하는 기
2. 교복 : 상주 도량이나 모든 법요 행사에 위의를 갖추는 교단적 예복
3. 교구 : 불단의 위의를 갖추는 불전도구(향로, 촉대, 금연화, 헌공함)과 법요행사에 사용하는 법요도구(경상, 목탁, 좌종과 죽비, 요령 및 청수기)와 특별 법요행사 때에 임시로 사용하는 장엄도구(조화, 생화) 세가지가 있다.
4. 교표 : 교도임을 표시하는 표
5. 교화 : 교단을 상징하는 꽃
6. 법종 : 도량의 일상생활과 법회의 시종을 알리는 도구
7. 염주, 단주, 법고 : 염불이나 송주 때에 대중을 잡고 운속을 맞추는 수행도구
(참고) 불교법회 진행 순서
1. 개회(開會)
2. 헌공(獻花, 獻香) 지금 이 시간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시간입니다.
3. 삼귀의 ( 찬불가를 할 때는 삼귀의를 하고, 예불문을 할 때는 예불문을 한다.)
다음은
지혜와 복덕 구족하신 부처님
중생을 해탈로 이끄는 가르침
화합과 자비의 공동체 승가에
귀의하는 삼귀의(예불)가 있겠습니다.
4. 찬불가
5. 반야심경
지혜를 깨달아 알게 하는 반야심경이 있겠습니다.
※ 반야 심경 ----------------------------------------------------
[팔만대장경] 가운데 六百권이나 되는 [반야경]의 내용을 260자로 간추려 만든 경으로써 부처님 경전 중 제일 짧은 경전이다. 그러나, 이 경전안에는 부처님이 말씀하신 모든 진리가 함축되어 들어 있다.
우리가 함송하는 것은 당나라때 현장스님이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으로부터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6. 발원문(發願文)
부처님께 올리는 서원으로, 나쁜 마음을 모두 버리고, 부처님처럼 크고, 넓고, 밝고, 맑은 마음으로 살아가려고 다짐하는 발원문이 있겠습니다.
7. 입정(入定)
입정은 설법을 듣기 위하여 자기 마음을 비우는 수행이다. 그릇에 물을 담으려면 빈 그릇이어야 하듯, 자기 마음속에 부처님의 무량한 법문을 담으려면 자기 마음속의 잡 된 마음을 모두 버려야 한다. 이것은 곧 교만을 모두 버려야 한다. 이것은 곧 교만을 버린 겸손이기도 하다. 입정은 곧 좌선을 말한다.
8. 청법가
법사님께 부처님의 법을 설해 주시기를 청하는 청법가가 있겠습니다.
9. 설법(說法)
설법이란 삼보 중의 법보(法寶)인 경전에 의지하여 법사가 부처님을 대신하여 불교의 진리를 중생에게 일깨워 주는 경건한 의식이다
10. 정근(靜勤)
거룩하신 부처님을 고요한 마음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부처님의 크신 공덕을 기리며, 부처님이 이름을 부르는
11. 축원 -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12. 공지사항
13. 사홍서원(四弘誓願)
사홍서원은 모든 불,보살들이 일체중생을 구원하기 위하여 세운 총원이다. 따라서 불도를 실현하는 것은 바로 사홍서원을 실현하는 것이다.
찬불가를 부르거나 게송을 읊더라도 진지하고 경건하게, 서원을 실현하겠다는 굳은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
14. 산회가
15. 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