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교육과정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범위의 내용을 포함한다.
교육과정은 아이들이 이미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에 토대하여 구성한다.
교육과정은 간단히 주제들을 통합한다.
교육과정은 지식, 이해, 과정 그리고 기술의 발달을 촉진한다.
교육과정 내용은 지적인 통합성을 가진다.
교육과정은 아이들의 가정 문화와 언어를 지지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과정 목표는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것이다.
기술은 사용될 때, 물리적으로 철학적으로 통합되어진다.
발도로프에서 적절한 교육과정 구성하기
전인을 양육해라- 머리, 가슴, 손
1. 사회적
2. 정서적
3. 정신적
4. 운동적
5. 신체적
6. 지적
다양한 훈련을 통합시켜라.
지적인 본래모습을 유지해라.
다양성을 받아들여라.
Criticisms of Waldorf Education (발도로프 교육의 비평)
발도로프 교육의 장점과 이점은 지금까지 강조해 왔지만 모든 교육 모델들에는 비평이 있다. 발도로프 교육에 대해서는 어떤 비평이 있는가? 분명히 일부는 발도로프 ECE의 기술에 대한 간과를 비평할 수 있다.
PLANS (people for Legal and Non-Sectarian School) 이라고 불리는 기관에서 발도로프 교육에 대한 비판과 반대 의견들에 대한 공개 토론을 위한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이 사이트에 있는 정보에 따르면 이 그룹은 발도로프 접근에 대해 매우 강력한 의견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은 그들의 견해에 대해서 거리낌 없이 이야기 하고 있다. PLANS 의 웹사이트에 계속해서 올라오는 3개의 주된 비평들이 있다. (1) 발도로프 학교는 종교 학교이다. (2) 발도로프 교과과정은 스타이너의 인지학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3) 발도로프 학교는 부모들에게 그들의 철학이나 그들이 인지학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알리지 않는다.
첫 번째, 최근 발도로프 학교들의 국립학교의 지역으로의 이동에 관련되어 있어서 학교의 지지여론과 미국 내에서의 학교의 설립허가에 관련한 비평가들은 종교와 주법의 분리법을 어긴다. 예를 들면 종교적인 성격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로 공공에서 발도로프에 의해서 개최되는 행사들은 단지 겉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정서적 의식은 다른 이름으로 행해진다고 지적한다.
두 번째, 유아들이 역사와 과학의 이론을 배울 때 인지학이 유아들에게 끼치는 영향이다. 발도로프 지지자들은 교사들이 인지학을 공부하지, 그것을 유아들에게 가르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 몇몇 부모들은 보통 이 발도로프를 둘러싸고 있는 철학적인 믿음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심지어는 그들의 질문들에게 명백한 답을 제공하지 않으려는 교사들이 의도적으로 그 믿음을 숨기고 있다는 것이다.
Can Waldorf Education Be Replicated in Public School?
(발도로프 교육이 공립학교에서 시행될 수 있는가?)
이 문제는 지금 떠오르고 있는 매우 중요한 주제 중에 하나이다. 미국에서 발도로프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발도로프에 영감을 받은 초등학교 프로그램이 많이 생기기 시작했다. 덴버대학교의 Bruce Uhrmacher 교수는 대체 교육에 대한 정보를 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교육에 대해서 다른 모델이나 접근방법에서 비롯된 아이디어를 이용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대해서 아이디어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인식하고 아이디어가 무엇을 반영하는지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교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Uhrmacher 1993, 1997).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발도로프 교육이 제공할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다른 이들은 이러한 생각이 발도로프 학교 밖으로 나가게 되면 원래 의미와 교육의 본질을 잊어버리게 된다고 생각한다.
발도로프의 강력한 정신적인 측면이 공립학교로 전이는 종교와 정치의 분리로 인해 거의 불가능하다. 정신적인 측면 없이 스타이너의 교육이 가능한가? 발도로프 교육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자세를 취하고 있다.
미국에서 발도로프의 영감을 받은 공립학교 프로그램의 많은 성공이야기들이 존재한다. 1991년에 발도로프의 교수법을 유효한 모델로 채택한 첫 번째 공립학교인 밀워키의 Urban Waldorf school이 한 예이다. 연구자들은 참여한 도심의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따뜻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는데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아이들과 함께하는 선생님들은 아이들과 의미 있는 관계들을 발전시키며, 잘못 행동한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바로잡아 주고, 아이들의 훌륭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성격과 인지능력이 발달되도록 도울 수 있었다. (Easton, 1997). 비록 이러한 증거들은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질문들은 남아있다. 어떻게 발도로프 교육법을 잘 적용할 것인가? 아이들의 성공을 책임질 수 있는 발도로프의 영향이 있는가? 다른 요소들이 있는가? 이는 우리가 계속해서 생각해 보아야할 문제이다.
◎ CONCLUSION (결론)
전쟁으로 황폐화된 독일 안에서의 발도로프는 변변찮은 시작에도 불과하고 발도로프는 그것의 철학 안에 영원히 남아 있다. 발도로프는 1919년에도 그랬듯이 어디까지나 역동적이고 진보적이다. 발도로프는 이론 유아교육과 DAP안내서에 요약된 ECE의 실행은 서로 가깝게 같은 태도를 취한다. 양쪽 이론 모두 유아의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기에 적절한 교육방법을 찾고 있으며 유아 각 개인에 가치를 두고 존중한다. 더 나아가 발도로프가 기본적인 개념을 적용과 태도를 통하여 한층 높여 NAEYC에 기준한 표준을 뛰어 넘었다고 보고 있다.
Ⅳ. 참고문헌
김정임(1998).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울산대 연구논문학집.
이정순(2001). 슈타이너 교육사상에 따른 발도르프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칼빈대학교.
루이즈 보이드(1999). 레지오와의 만남, 귀향 그리고 적용. 양서원.
캐롤린 에드워즈 외(2006). 어린이들의 수 많은 언어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정민사.
Roopnarine, J. L. & Johnson, j, e. (2005).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Ch 14, 15 Prentice Hall.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3.09.25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