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고찰
1)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역사적 배경
2)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목적 및 특성
Ⅱ.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실제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내용
2) 프로젝트 접근법의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역사적 배경
2)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목적 및 특성
Ⅱ.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실제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내용
2) 프로젝트 접근법의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생활 과정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음악 현상을 연구해 보면 영혼의 내적인 과정을 알 수 있는 인식의 힘이 커지며, 언어를 연습해 보면 개인의 근본 핵심인 ‘자아’인식이 활발해진다. 또한 예술 훈련은 심리적이거나 개인적인 특성이 직접적으로 비판되지 않기 때문에 교사 교육을 가장 빠른 시간에 가능케 하는 매개체이다.
발도르프 교사 양성과정은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발도르프 학교연합에서의 교생실습과정과 자유학년과정(초급 세미나 형태의 교사 교육과정)이다. ▶Das Padagogische Seminar des Bundes der Waldorfschulen in 7000 Stuttgart 1, Haussmannstr. 44. 그리고 한국의 슈타이너 교육예술 협회에서도 자유학년과정인 교사 양성과정이 진행중이고, 이 결과 1999년부터 현직 교사 70여명이 참석했으며 2003년 1월에 이 과정을 수료한 교사들은 발도르프 교사로서 자격을 갖게 된다. 둘째로는 발도르프 교육학 기관이다. 4년 교육과정으로 일반 대학 입학 요건과 같다.▶Das Institut fur Waldorfpadagogik Annener Berg Witten/Ruhr. 끝으로, 지금까지 해마다 슈트트가르트에서 공개 여름 집회가 열리는데, 이 집회에서 공립 사범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은 일주일 동안 학교 활동의 모든 면을 경험하고 그들의 연구나 직업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얻는다.
이러한 양성과정을 통해 발도르프 교사는 예술적실용적창의적 능력을 겸비한 교사가 된다. 발도르프 교사양성 과정은 교사의 행동이 어떤 방식으로든 아이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슈타이너의 이론적 기초아래, 교사의 지식이 머리에서 만 그치는 지식이 아닌, 행동으로 드러나는 산지식실천하는 지식을 가진 교사를 양성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하겠다.
<표 1> 현장 견학 질문지와 전문가의 면담 내용
유아들의 질문
정비소 아저씨의 답변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자동차는 공장에서 기계와 사람의 손에 의해서 부품들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거야.
자동차가 없을 땐 어땠나요?
자동차가 없을 땐 걸어서 먼 거리를 걸어가야 해서 시간이 아주 많이 걸렸어.
저희는 운전을 왜 할 수 없나요?
운전은 일정한 나이가 되어야 정확한 판단능력이 생기기 때문에 그 나이 이후에 면허시험을 볼 수 있어.
자동차도 목욕을 하나요?
당연하지. 너희들이 목욕을 하는 것처럼 자동차도 목욕을 해야 외형도 보기 좋아지지.
자동차는 왜 고장이 나나요?
기계는 뭐든지 고장이 나기 마련이야. 그 이유는 운전자의 실수도 있고, 부품 상 오류도 있어. 다양한 이유가 있지.
자동차에는 왜 번호판이 있나요?
너희에게 이름이 있듯이, 자동차에도 이름이 있어야 같은 종류의 자동차도 자신이 차를 구분할 수 있거든.
〔그림 1〕 현장 견학 장면
<참고문헌 및 사이트>
곽노의 (1997). 독일의 열린 학교 :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 열린교육연구, 2(1), 92-104
정윤경 (2004)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김정임 (2006)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 학지사
마리엘레 자이츠. 이명환 역 (2001) 몬테소리 교육학 발도르프 교육학(교육자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밝은누리
요헨 부스만. 최경은 역 (2001) 우리 아이는 발도르프 학교에 다녀요!. 밝은누리
윤선영 (2002).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첫걸음. 문음사
http://cafe.naver.com/sejinpi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79
http://blog.naver.com/sujin_217
http://www.waldorf.or.kr/
발도르프 교사 양성과정은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발도르프 학교연합에서의 교생실습과정과 자유학년과정(초급 세미나 형태의 교사 교육과정)이다. ▶Das Padagogische Seminar des Bundes der Waldorfschulen in 7000 Stuttgart 1, Haussmannstr. 44. 그리고 한국의 슈타이너 교육예술 협회에서도 자유학년과정인 교사 양성과정이 진행중이고, 이 결과 1999년부터 현직 교사 70여명이 참석했으며 2003년 1월에 이 과정을 수료한 교사들은 발도르프 교사로서 자격을 갖게 된다. 둘째로는 발도르프 교육학 기관이다. 4년 교육과정으로 일반 대학 입학 요건과 같다.▶Das Institut fur Waldorfpadagogik Annener Berg Witten/Ruhr. 끝으로, 지금까지 해마다 슈트트가르트에서 공개 여름 집회가 열리는데, 이 집회에서 공립 사범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은 일주일 동안 학교 활동의 모든 면을 경험하고 그들의 연구나 직업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얻는다.
이러한 양성과정을 통해 발도르프 교사는 예술적실용적창의적 능력을 겸비한 교사가 된다. 발도르프 교사양성 과정은 교사의 행동이 어떤 방식으로든 아이들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슈타이너의 이론적 기초아래, 교사의 지식이 머리에서 만 그치는 지식이 아닌, 행동으로 드러나는 산지식실천하는 지식을 가진 교사를 양성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하겠다.
<표 1> 현장 견학 질문지와 전문가의 면담 내용
유아들의 질문
정비소 아저씨의 답변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자동차는 공장에서 기계와 사람의 손에 의해서 부품들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거야.
자동차가 없을 땐 어땠나요?
자동차가 없을 땐 걸어서 먼 거리를 걸어가야 해서 시간이 아주 많이 걸렸어.
저희는 운전을 왜 할 수 없나요?
운전은 일정한 나이가 되어야 정확한 판단능력이 생기기 때문에 그 나이 이후에 면허시험을 볼 수 있어.
자동차도 목욕을 하나요?
당연하지. 너희들이 목욕을 하는 것처럼 자동차도 목욕을 해야 외형도 보기 좋아지지.
자동차는 왜 고장이 나나요?
기계는 뭐든지 고장이 나기 마련이야. 그 이유는 운전자의 실수도 있고, 부품 상 오류도 있어. 다양한 이유가 있지.
자동차에는 왜 번호판이 있나요?
너희에게 이름이 있듯이, 자동차에도 이름이 있어야 같은 종류의 자동차도 자신이 차를 구분할 수 있거든.
〔그림 1〕 현장 견학 장면
<참고문헌 및 사이트>
곽노의 (1997). 독일의 열린 학교 :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 열린교육연구, 2(1), 92-104
정윤경 (2004)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김정임 (2006)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 학지사
마리엘레 자이츠. 이명환 역 (2001) 몬테소리 교육학 발도르프 교육학(교육자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밝은누리
요헨 부스만. 최경은 역 (2001) 우리 아이는 발도르프 학교에 다녀요!. 밝은누리
윤선영 (2002).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첫걸음. 문음사
http://cafe.naver.com/sejinpi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79
http://blog.naver.com/sujin_217
http://www.waldorf.or.kr/
키워드
추천자료
제 3장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 및 접근법 방법
영유아교수법-수학교육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한 접근(A+레포트)★★★★★
영유아교수법-수학교육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한 접근(A+레포트)★★★★★
[음악교육]달크로즈 유리드믹스음악교육의 개념과 접근법, 달크로즈 유리드믹스음악교육의 의...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에 대해 정리,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 - 배경, 교육목표, 내용 및 활동, ...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영역과 내용, 이론, 접근법, 전문성과 과제
프로젝트 접근법의 주요내용과 실제적용
몬테소리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접근법 요약정리와 프로그램에 대한 느낀점
[보육과정] 보육 프로그램 -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배경과 기초, 발도르프 프로그램에서의 보...
[교육심리학]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에 대해 조사하고 이 프로그램이 보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Reggio-Emilia approach) (역사적 배...
2015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젝트 접근법)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접근법의 내용과 교수방법을 설명
2017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 C형(프로젝트 접근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