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운동과 “고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마을 운동과 “고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로 다른 귀향
2. 야만인들이 사는 곳, 문명화의 사명
3. 새로운 농촌, 새로운 가치관
4. 당신들의 고향

본문내용

몽하지 않으면 영원히 근면하지 못하고, 자조적이지 못하고, 협동적이지 못한 야만적 상태로서 존재한다는, 정체성을 부여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3장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이전의 성씨 중심적 가족공간의 집합이던 농촌을 해체시킴과 동시에 마을 중심의 단위로 농촌을 재편성한 후, 마을운영의 정치적 헤게모니를 새로운 세대에게 넘겨줌으로서, 과거의 기억을 지우고, 전 국민에게 “반공”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내 마을”이라는 새로운 농촌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서로 이 강토 위에서 영원토록 사랑을 가꾸어 나가야 할 한 핏줄의 아들딸입니다. 서로의 힘을 합쳐서 비능률과 부조리, 퇴폐와 낭비가 스스로 자취를 감추고, 합리화와 능률, 성실과 행복의 통일 조국, 위대한 한국(내 마을)을 건설합시다.”『새마을운동연설문선집』, 대통령비서실, 1978, 98면
(1972년12월27일 제8대 대통령 취임사)
위의 연설문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박정희 정권의 담론 속에 현제는 없습니다. 비능률과 부조리, 퇴폐와 낭비가 만연하는 과거의 강토와 합리화와 능률, 성실과 행복의 통일 조국, 위대한 미래의 내 마을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이러한 논리를 통하여 내 마을은 동질적 집단이 대대손손 살아야 할 “고향”으로 승화되어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래에 기반 한 대중동원은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서 잘 나타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비록 여러분은 오늘 여러분이 이룩해놓은 것의 혜택을 누릴 수 없다고 하더라도 뒷날 여러분의 후손이 그것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이청준<당신들의 천국,172면>
세계 제일의 나환자 요양소로 꾸며서 버림받고 쫓겨온 사람들의 새로운 고향, 자랑스런 낙토로 만들어놓고 말겠다고 장담했다. 이청준<당신들의 천국,101면>
그리고 이청준은 위와 같은 논리에 기반 하여 대중을 동원하여 건설할 미래지향적 고향은 영원한 구속일 뿐임을 아래의 글을 통해 폭로합니다.
“후손의 이름을 빌린 그 미래를 구실로 하여 현재가 다스려지고 있다는 생각, 그러나 섬의 현실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 현실이 미래로 인해 속고 있다는 생각, 그러나 사실 이 섬에선 현실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 그런 생각들 때문에 그런 반발이 생기고 있는 것 같아요.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374>
“이 섬은 지금까지 문둥이들의 후손을 팔아 다스려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과연 그것은 미래라는 것과는 거의 상관을 지을 수 없는 섬의 모습이었다. 미래보다는 당장의 현실이 그들의 삶에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가 더욱더 절실한 섬의 참모습이었다. 이청준<당신들의 천국,377>
위의 이청준의 글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미래 지향이라는 단어는 스스로 폭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단어의 사용자는 과거를 재구성하며 현실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피살됨으로서 새마을운동 또한 시들해 졌지만, 앞서 살펴보았던 내 마을, 고향이라는, 정적인 동시에 근대성이 부재하는, 따라서 계몽 혹은 더 전통적으로 꾸며져야 할 공간으로 규정된 시골농촌고향의 표상은 아직도 우리들의 생활 곳곳 대표적인 예로 광고를 들 수 있겠다. 제일재당은 1987년 어머니의 손맛과 고향의 맛―다시다 광고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의 변함없는 다시다의 맛을 강조하였고, 1988년 우리의 맛, 고향의 맛―광고에서 혼례 잔치 편, 시골 장터 편으로 서울 올림픽을 맞이하여 우리의 전통풍습과 생활, 인심 그리고 맛의 자부심을 자연스럽게 표연하였으며, 1989년과 1990년 고향의 소리, 고향의 맛―다시다 광고에서는 고향의 계절을 소리와의 접목을 통하여 고향의 맛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광고를 통하여, 경쟁사인 미원을 제압하고 국내 조미료 시장을 독점하게 된다. 위에서 제시한 제일재당의 대단한 광고를 통해서 고향, 고향의 맛의 정체를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지 스크린 속에서 스쳐지나가는 짧고 선명한 장면들을 통해서 고향, 혹은 고향의 맛은 각인될 뿐이다. 그것은 아직도 전통 혼례가 성행하는,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잔치를 벌이는, 웃음 가득한 흥정이 이루어지는 장터가 존재하는 곳으로서의 고향, 그리고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어머니가 정성스레 음식을 준비하는 장소로 상상된다.
에서 나타납니다. 그리고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위의 담론에 참여함으로서 당신들이 만든 고향을 무한히 재생산 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각주로 대신함)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