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 등전위선 측정
2. 실험 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 방법
5 실험 도구
결과 레포트
1. 실험 결과
2. 실험 결과 및 결론
3. 오차의 원인
4. 느낀점
5. 응용분야
2. 실험 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 방법
5 실험 도구
결과 레포트
1. 실험 결과
2. 실험 결과 및 결론
3. 오차의 원인
4. 느낀점
5. 응용분야
본문내용
오차의 원인
① 전극에 연결한 전선의 영향
⇒ 도전판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된 전선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가 흐르면 전기장이 형성되어 등전위선 형성에 영향을 준다.
② 전극의 모양
⇒ 인터넷과 책을 통하여 조사하였을 때, +,- 전극의 모양은 같은 것이었다.
즉, +전극이 원형이면 - 전극도 원형
+전극이 막대형이면 - 전극도 막대형이었다.
하지만 실험을 진행할 때는 - 전극의 모양만 변화시키고 +전극의 모양은 변화 없이 진행하였다. 이는 전기력선이 들어가는 방향과 나오는 방향이 전극의 모양에 따라 달 라지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③ 실험 태도/ 자세
⇒ 검침봉을 움직이면서 손이 도전판에 닿거나 도전판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땀이 묻는다 면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④ 검류계
⇒ 검류계의 눈금이 완전히 0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없었다. 전류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검류계는 관측자가 보기에 0에 위치하더라도 등전위인지 확신할 수 없다. 전류의 크기가 더 작아지면 검류계의 눈금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⑤ 고정전극
⇒ 고정전극의 위치가 달라지면 실험을 처음부터 시작해야한다. 측정하는 과정에서 검침 봉이 고정전극을 건드리거나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실험했다면 등전위선의 모양이 달라질 것이다.
4. 느낀점
⇒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력선 중에서도 같은 전위를 갖는 등전위를 검류계를 통하여 측정하면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처음에 실험하였던 오실로스코프도 눈에는 보이지 않는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Data만 입력하면 나타났기 때문에 새롭다는 것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등전위선 측정’ 실험은 우리 눈으로 직접 확인해볼 수 있었기 때문에 새로웠다.
5. 응용분야
① 심전계
⇒ 심장의 전기 흐름도를 나타내는 심전계에 나타나는 선은 인위적인 전류와 심장내의 전류가 만나 등전위를 나타낸다.
② 공통접지
⇒ 여러 설비를 하나의 접지 전극으로 구성하여 공통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접지방식. 여러 설비나 공통의 접지 전극에 연결되므로 등전위가 구성되어 장비간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③ 의료용 기기, 설비에 응용
⇒ 심장 등의 중요 장기에 직접 혹은 가까운 부분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 용. 의료용 기기의 외형은 물론 환자가 직, 간접으로 접촉할 우려가 있는 범위의 모든 도전성 부분을 1점에서 접지하여 접촉부분의 전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감전을 방지한다.
① 전극에 연결한 전선의 영향
⇒ 도전판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된 전선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가 흐르면 전기장이 형성되어 등전위선 형성에 영향을 준다.
② 전극의 모양
⇒ 인터넷과 책을 통하여 조사하였을 때, +,- 전극의 모양은 같은 것이었다.
즉, +전극이 원형이면 - 전극도 원형
+전극이 막대형이면 - 전극도 막대형이었다.
하지만 실험을 진행할 때는 - 전극의 모양만 변화시키고 +전극의 모양은 변화 없이 진행하였다. 이는 전기력선이 들어가는 방향과 나오는 방향이 전극의 모양에 따라 달 라지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③ 실험 태도/ 자세
⇒ 검침봉을 움직이면서 손이 도전판에 닿거나 도전판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땀이 묻는다 면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④ 검류계
⇒ 검류계의 눈금이 완전히 0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없었다. 전류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검류계는 관측자가 보기에 0에 위치하더라도 등전위인지 확신할 수 없다. 전류의 크기가 더 작아지면 검류계의 눈금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⑤ 고정전극
⇒ 고정전극의 위치가 달라지면 실험을 처음부터 시작해야한다. 측정하는 과정에서 검침 봉이 고정전극을 건드리거나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실험했다면 등전위선의 모양이 달라질 것이다.
4. 느낀점
⇒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력선 중에서도 같은 전위를 갖는 등전위를 검류계를 통하여 측정하면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처음에 실험하였던 오실로스코프도 눈에는 보이지 않는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Data만 입력하면 나타났기 때문에 새롭다는 것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등전위선 측정’ 실험은 우리 눈으로 직접 확인해볼 수 있었기 때문에 새로웠다.
5. 응용분야
① 심전계
⇒ 심장의 전기 흐름도를 나타내는 심전계에 나타나는 선은 인위적인 전류와 심장내의 전류가 만나 등전위를 나타낸다.
② 공통접지
⇒ 여러 설비를 하나의 접지 전극으로 구성하여 공통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접지방식. 여러 설비나 공통의 접지 전극에 연결되므로 등전위가 구성되어 장비간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③ 의료용 기기, 설비에 응용
⇒ 심장 등의 중요 장기에 직접 혹은 가까운 부분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 용. 의료용 기기의 외형은 물론 환자가 직, 간접으로 접촉할 우려가 있는 범위의 모든 도전성 부분을 1점에서 접지하여 접촉부분의 전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감전을 방지한다.
추천자료
ohm의 법칙 실험 예비보고서
커패시터와 인덕터 예비실험
[물리학실험]직류회로예비,결과보고서
등전위선 측정
축전기실험 (결과)
측정기 실험 - 축전기의 연결
[전기화학] 전기 화학 전지의 기전력 측정
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
물리 및 실험 - 등전위선
[기계공학 실험] 직류회로 - 전원공급기, 멀티미터와 저항을 이용하여 실험값과 이론값이 어...
결과실험 Faraday의 얼음통 실험
등전위선 실험 보고서
[식품분석실험보고서] PH미터(PH측정)
[기초회로실험 A+ 받은 예비+ 결과 실험] 20. 회로망 정리의 검증 : 회로망 해석시 자주 쓰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