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신탁통치 관련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방 후 신탁통치 관련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방 후 신탁통치 관련 문제


1. 주제선정이유

2. 신탁통치?
 1) 신탁통치 문제가 불거지기 전까지의 과정
 (1) 카이로 회담
 (2) 테헤란 회담
 (3) 얄타 회담
 (4) 포츠담 회담
 (5) 모스크바 3상회의
 2) 모스크바 3상회의의 왜곡

3. 신탁통치에 대한 다양한 관점
 (1)3상회의 직후 임정의 관점(초기 민족주의적 반탁론)
 (2)한민당의 관점(친일파 출신)
 (3)이승만의 관점
 (4)좌익의 관점 변화(반탁에서 찬탁으로)
 (5)미국의 관점
 (6)소련의 관점
 (7)공민왕의 관점
 (8)당시 일반 대중
 (9)광해군의 관점
 (10)현대인의 관점

4. 자신의 견해
 1)신탁통치 문제에 대한 나의 견해
 2)보고서 작성 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익은 좌익을 ‘민족반역자’, ‘소련의 앞잡이’라고 주장하고, 좌익은 우익의 반탁운동을 ‘국제 정세의 무지에서 나온 민족 자멸책’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이들의 반목과 갈등은 46년 3월 1일 무력적인 충돌로까지 발전한다.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서 나온 발상이 민족의 분열과 갈등이라는 참혹한 결과를 나아낸 것이다. 이후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미국이 이 문제를 UN으로 이관하면서 신탁통치 문제는 막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이 결과, 미군정기간 3년 만에 남쪽과 북쪽에서 각각의 정권이 들어서게 되고, 남북의 분단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신탁통치를 둘러싼 미국과 소련의 갈등은 해방 후 단독정부를 세우고, 친일파를 청산한 뒤, 민족 독립 국가를 세우려 했던 우리 민족의 열망을 처참히 짓밟았다. 그리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남북의 정치 지도자들은 많은 독립투사들과, 민중의 노력을 좌우 이념간의 대립으로 몰고 가 쓸데없는 명분으로 싸우게 하고, 그 결과 남북 분단이란 참혹한 결과까지 불러일으켰다.
역사에 있어서, 가정이란 있을 수 없지만 우리가 만약 신탁통치를 받아들이고 그 후 통일된 임시정부를 세웠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이렇게 되었다면 정치지도자들의 갈등은 있었을 지언정 민족 분단이란 잊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되었을까? 라고 생각해본다.
2)보고서 작성 후기
- 내가 신탁통치라는 말을 처음 접하게 된 것은 고2때 근현대사 공부를 하면서였다. 그 당시 근현대사 선생님은 수업을 수능공부 위주가 아니라, 역사 속의 다양한 모습과 학생들의 잘못된 상식을 고쳐주는 수업을 하셨다. 제주 4.3사건의 진실, 신탁통치 문제, 근현대사 인물들의 다양한 일면 등... 그 후 나는 수능점수를 받기 위해, 역사에 대한 비판의식과 생각 없는 단순 암기만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 과제는 한 주제에 대해 난생 처음 오랫동안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한 가지 역사를 보는데도 다양한 관점이 있을 수 있다는 E. H. Carr의 견해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어른이 된 만큼 한 문제에 대한 다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성숙된 사고력을 길러야겠다.
※참고문헌
참고서,「숨마쿠라우데-한국근현대사」
정용욱,「[왜?] 왜 연합국은 한반도를 신탁통치하려 했는가」
역사문제연구소(역사비평서), 「바로잡아야할 우리 역사 37장면」
임영태 외, 「거꾸로 읽는 한국사」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0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