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기, 「반공호국문학의 구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진기, 「반공호국문학의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속에서 반공주의와 국가주의를 내면화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후 한국문학의 문학장 재건에도 이들이 적극 개입함으로써 그들이 익힌 반공호국문학의 내용구조가 변형된 채 그대로 작품을 형성하는 일차원리가 되었다고 결론짓는다.
그런데 이 글은 전선문학에 나타난 반공호국문학적 실천들만을 다루고 있을 뿐, 이것이 실제로 전후 문학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것인지 밝히고 있지 않다. 전선문학에서 출발한 반공호국문학이 전후 문학장의 재건에 미친 영향이 선명하게 드러날 때, 전후 한국문학의 성격은 물론 그 형성원리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선문학의 반공호국문학이 전후 문학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해방기 우익 문단주체세력들이 지속적으로 문학장의 핵심세력이었다는 언급밖에 없다. 물론 문단주체세력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들이 전선문학 활동을 통해 익힌 문학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실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작가나 작품의 비교 없이 전선문학 경험이 전후 문학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속단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한다.
2.
이 글은 전선문학에 실린 문학작품들을 호국반공문학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반공주의 이데올로기, 가족주의 구조, 윤리적 성격에서 찾는다. 한 마디로 말해서, 전선문학의 작품은 가족주의 구조를 통해 반공주의 이데올로기를 형상화하고, 가족주의 윤리 담론을 자연스럽게 국가 공동체 윤리 담론으로 연결시키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4장에 오면 이러한 가족주의가 남성성을 강조하고 여성에 대해서는 희생이라는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보인다고 서술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0.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