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수, 「한국전쟁기 문학담론 연구-반공텍스트의 기원과 고백의 정치학-」 요약․정리 및 비판적 읽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동수, 「한국전쟁기 문학담론 연구-반공텍스트의 기원과 고백의 정치학-」 요약․정리 및 비판적 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 이러한 논의에서는 조용히 사장되어 버리지는 않는가 하는 것이다.
2. 저자는 당대 반공텍스트가 북한과 공사주의를 하나의 질병, 병균이라는 은유적 표현으로 그에 대한 혐오감과 신경증을 극도화 시켰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이에 감염되지 않게 반공이데올로기를 사수하는 것이 자신의 순결을 지키는 유일한 행위로 해석하고 있다. 북한에 대한 적개심을 가장 효과적으로 발현하기 위해서는 감정의 영역에서 문학담론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로써 반공텍스트가 작동되었다는 논의는 충분히 납득이 된다. 그러나 이것이 반공텍스트의 전부는 아닌 것이 이 논의의 문제점이다. 같은 감정의 영역에서 반공이데올로기를 호소하고 있지만, 황순원의 학(1953)과 같은 작품에서는 결국 같은 민족과 동포라는 의식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분법적인 이데올로기로 인한 비인간적인 적개심을 동족의식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다시 반공텍스트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를 당대 문인들의 정치적 위치를 사수하고 ‘남한에서 살아남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만 볼 수 있는지, 스스로 반공주의자임을 천명하는 고백의 장으로밖에 반공텍스트를 정의내려야 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0.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