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전’의 성립
(2) ‘흥보가’의 구조
(3) ‘흥보전’에서의 인물분석을 통한 주제 찾기
3. 문학사적 의의
4. 교육적 활용 방안
(1)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찾아 본다.
(2) ‘부(富)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3) 시대에 따라 평가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4) ‘놀부’의 수용과 변용
5. 결론
◎ 참고 자료 ◎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전’의 성립
(2) ‘흥보가’의 구조
(3) ‘흥보전’에서의 인물분석을 통한 주제 찾기
3. 문학사적 의의
4. 교육적 활용 방안
(1)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찾아 본다.
(2) ‘부(富)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3) 시대에 따라 평가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4) ‘놀부’의 수용과 변용
5. 결론
◎ 참고 자료 ◎
본문내용
교는 놀부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만식의 ‘태평천하’속 인물인 ‘윤직원’의 모습속에 ‘놀부’가 어떤 식으로 수용, 변용되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5. 결론
흥부전은 설화소설이며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점에서 집단적 창작물이며 대중적 전통성이 강한 작품이다. 따라서 흥부전은 오늘날까지도 창극, 마당놀이, 영화, 연극, 아동극 등으로 꾸준히 재창조되고 있다.
우리가 고전을 연구하는 것은 그 나름의 모습에서 당시의 모습과 가치관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겠으나 지금 우리 현실에 어떻게 적용하고 수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도 중요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흥부전’의 성립과 구성 및 문학사적의의와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선조들이 자신들의 바램과 희망을 ‘흥부전’에 담았듯이 이 시대에 진정한 ‘흥부’와 ‘놀부’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우리는 어떤 모습의 인간이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 자료 ◎
임형택, 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출판부. 1974.
임형택, 흥부전에 반영된 ‘賃勞’의 형상. 동화문화사. 1981.
조동일, 흥부전의 양면성. 새문사. 1983.
서종문, 흥보가에 있어서 ‘박사설’의 생성과 그 기능. 형설출판. 1984.
유영대, 판소리의 소설적 전개. 고소설의 제 문제.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김태준 역주,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5. 결론
흥부전은 설화소설이며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점에서 집단적 창작물이며 대중적 전통성이 강한 작품이다. 따라서 흥부전은 오늘날까지도 창극, 마당놀이, 영화, 연극, 아동극 등으로 꾸준히 재창조되고 있다.
우리가 고전을 연구하는 것은 그 나름의 모습에서 당시의 모습과 가치관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겠으나 지금 우리 현실에 어떻게 적용하고 수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도 중요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흥부전’의 성립과 구성 및 문학사적의의와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선조들이 자신들의 바램과 희망을 ‘흥부전’에 담았듯이 이 시대에 진정한 ‘흥부’와 ‘놀부’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우리는 어떤 모습의 인간이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 자료 ◎
임형택, 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출판부. 1974.
임형택, 흥부전에 반영된 ‘賃勞’의 형상. 동화문화사. 1981.
조동일, 흥부전의 양면성. 새문사. 1983.
서종문, 흥보가에 있어서 ‘박사설’의 생성과 그 기능. 형설출판. 1984.
유영대, 판소리의 소설적 전개. 고소설의 제 문제.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김태준 역주,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추천자료
[고전소설]'홍계월전'을 읽고
2008년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 홍석중의 황진이비교-춘향전과의관계)
201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한국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교술 몽유록 서사 몽유록]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