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적 성장
1) 신장과 체중의 증가
2) 신체비율의 변화
3) 골격의 성장
2. 뇌의 성장
1) 뇌와 신경계 발달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3. 운동기능의 발달
1) 대근육운동
2) 소근육운동
참고문헌
1) 신장과 체중의 증가
2) 신체비율의 변화
3) 골격의 성장
2. 뇌의 성장
1) 뇌와 신경계 발달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3. 운동기능의 발달
1) 대근육운동
2) 소근육운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은 여전히 그대로 있음
ⅲ. 3단계: 4-5세. 발을 앞으로 약간 내밀고, 어개를 돌리고, 팔을 어깨 너머로 돌렸다가 앞으로 쭉 뻗어 공을 던짐. 여전히 몸을 크게 돌리지는 못함
ⅳ. 4단계: 5-6세. 몸을 앞뒤로 흔들고 팔을 뒤로 뺐다가 공을 강속으로 던짐. 몸을 흔들 때 팔이 활처럼 휘게 됨
(6) 공받기-3단계로 발달
① 1단계: 2세경. 공을 받으려고 할 때 팔을 앞으로 쭉 내밀기만 하기 때문에 공을 잘 받지 못함. 공이 몸에 맞고 튕겨져 나감
② 2단계: 3세경. 공을 받을 준비를 하면서 팔꿈치를 구부림. 그리고 가슴으로 공을 받음
③ 3단계: 5-6세. 몸 전체를 사용해서 공을 받을 준비를 하고 손과 손가락을 사용해서 공을 받음
2) 소근육운동
(1) 유아기에는 눈과 손의 협응과 소근육의 통제도 급속도로 발달-손의 사용이 점점 정교해짐
(2) 소근육 활동: 우유 흘리지 않고 잔에 따르기, 수저로 밥먹기, 연필로 글씨쓰기, 가위로 오리기, 단추 채우기 등-유아에게 상당히 어려운 기술
(3) 소근육발달
① 3세의 소근육 발달: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매우 작은 물체를 집을 수 있지만 서툼.
블록으로 탑을 똑바로 쌓지 못하고 삐뚤삐뚤함.
매우 단순한 조각그림 맞추기에서 어디에 어느 조각을 넣어야할지 알면서도 그 자리에 제대로 넣지 못하고 억지로 쑤셔 넣으려 함
② 4세 소근육 발달:
블럭으로 탑을 높이 쌓을 수 있는데, 완벽하게 잘 쌓으려고 몇 번씩 다시 쌓기도 함
구두끈을 맬 수 있음
선을 다라 가위로 오릴 수 있음
③ 5세 소근육 발달:
블럭으로 탑을 쌓는 단순한 놀이에는 더 이상 관심없음
집이나 뾰족탑이 있는 교회를 짓고자, 완성된 건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유아로부터 설명을 들어야 함
종이를 반으로 또는 1/4로 접을 수 있음
글자나 숫자를 베낄 수 있고 크레용으로 색칠할 수 있음
④ 우리나라 아동의 소근육 발달
젓가락질 발달:
ⅰ. 2 1/2-3세경 남아의 20%, 여아의 33%가능
ⅱ. 남아의 경우 3 1/2-4세경이 되어야 약 33%가 가능
-여아가 보다 이른 시기에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가위질: 3-3 1/2세 아동의 80-90%가능
단추채우기: 3-3 1/2세 아동의 60-70%가능
⑤ 그림그리기-뇌와 소근육이 성숙하였음을 반영
2세: 패턴이 있는 끄적거림을 보임-영아기의 의미없는 끄적거림과 다름
3세: 원, 저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십자모양, x자 모양 그림
4세: 사람을 그릴 때 눈은 큰 점으로, 다리는 막대기 모양으로 그림
5세: 제법 잘 그리게 됨
참고문헌
정옥분 저,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권민균, 문혁준 외 저, 아동발달, 창지사 2012
이대식, 여태철 외 저,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아경희 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교문사 2010
손혜숙, 오애순 외 저, 아동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ⅲ. 3단계: 4-5세. 발을 앞으로 약간 내밀고, 어개를 돌리고, 팔을 어깨 너머로 돌렸다가 앞으로 쭉 뻗어 공을 던짐. 여전히 몸을 크게 돌리지는 못함
ⅳ. 4단계: 5-6세. 몸을 앞뒤로 흔들고 팔을 뒤로 뺐다가 공을 강속으로 던짐. 몸을 흔들 때 팔이 활처럼 휘게 됨
(6) 공받기-3단계로 발달
① 1단계: 2세경. 공을 받으려고 할 때 팔을 앞으로 쭉 내밀기만 하기 때문에 공을 잘 받지 못함. 공이 몸에 맞고 튕겨져 나감
② 2단계: 3세경. 공을 받을 준비를 하면서 팔꿈치를 구부림. 그리고 가슴으로 공을 받음
③ 3단계: 5-6세. 몸 전체를 사용해서 공을 받을 준비를 하고 손과 손가락을 사용해서 공을 받음
2) 소근육운동
(1) 유아기에는 눈과 손의 협응과 소근육의 통제도 급속도로 발달-손의 사용이 점점 정교해짐
(2) 소근육 활동: 우유 흘리지 않고 잔에 따르기, 수저로 밥먹기, 연필로 글씨쓰기, 가위로 오리기, 단추 채우기 등-유아에게 상당히 어려운 기술
(3) 소근육발달
① 3세의 소근육 발달: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매우 작은 물체를 집을 수 있지만 서툼.
블록으로 탑을 똑바로 쌓지 못하고 삐뚤삐뚤함.
매우 단순한 조각그림 맞추기에서 어디에 어느 조각을 넣어야할지 알면서도 그 자리에 제대로 넣지 못하고 억지로 쑤셔 넣으려 함
② 4세 소근육 발달:
블럭으로 탑을 높이 쌓을 수 있는데, 완벽하게 잘 쌓으려고 몇 번씩 다시 쌓기도 함
구두끈을 맬 수 있음
선을 다라 가위로 오릴 수 있음
③ 5세 소근육 발달:
블럭으로 탑을 쌓는 단순한 놀이에는 더 이상 관심없음
집이나 뾰족탑이 있는 교회를 짓고자, 완성된 건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유아로부터 설명을 들어야 함
종이를 반으로 또는 1/4로 접을 수 있음
글자나 숫자를 베낄 수 있고 크레용으로 색칠할 수 있음
④ 우리나라 아동의 소근육 발달
젓가락질 발달:
ⅰ. 2 1/2-3세경 남아의 20%, 여아의 33%가능
ⅱ. 남아의 경우 3 1/2-4세경이 되어야 약 33%가 가능
-여아가 보다 이른 시기에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가위질: 3-3 1/2세 아동의 80-90%가능
단추채우기: 3-3 1/2세 아동의 60-70%가능
⑤ 그림그리기-뇌와 소근육이 성숙하였음을 반영
2세: 패턴이 있는 끄적거림을 보임-영아기의 의미없는 끄적거림과 다름
3세: 원, 저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십자모양, x자 모양 그림
4세: 사람을 그릴 때 눈은 큰 점으로, 다리는 막대기 모양으로 그림
5세: 제법 잘 그리게 됨
참고문헌
정옥분 저,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권민균, 문혁준 외 저, 아동발달, 창지사 2012
이대식, 여태철 외 저,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아경희 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교문사 2010
손혜숙, 오애순 외 저, 아동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추천자료
아동의 발달과정 중 신체발달
아동의 신체발달
아동의 신체발달
학동기 아동의 신체발달과 영양
아동의 발달과정 중 신체발달
[아동발달] 유아기 발달장애에 관해서
아동문학작품 중 한가지 선택하여 아동의 발달 영역별로 (언어, 정서, 인지, 사회 도덕성 발...
아동발달과 신체의 발육과 소화기 및 배설기관의발달
유아기발달 (유아기, 신체·운동적 발달, 유아기지적인지발달, 유아기언어발달, 사회성발달, ...
아동발달 이론 중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언어발달이론을 정리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
[부모교육] 아동발달 단계별 적절한 부모의 역할(태내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및 청소년기)
[아동기 신체발달문제와 상담] 지체부자유아(뇌성마비,이분척추,근위축증,골형성부전증), 주...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 앞둔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 아동발달단계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