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지식사회의 해답, 청년 이건희에게서 찾다
chapter 2 소년 이건희, 장난감에서 사물의 구조를 연구하다
chapter 3 영화에서 사람, 스포츠에서 삶을 배우다
chapter 4 청년 이건희, 세계로 향하다
chapter 5 경청과 목계의 비밀
chapter 6 신경영 선언
chapter 7 청년 이건희, 창의적 인재를 찾다
chapter 2 소년 이건희, 장난감에서 사물의 구조를 연구하다
chapter 3 영화에서 사람, 스포츠에서 삶을 배우다
chapter 4 청년 이건희, 세계로 향하다
chapter 5 경청과 목계의 비밀
chapter 6 신경영 선언
chapter 7 청년 이건희, 창의적 인재를 찾다
본문내용
도심에서 뚝 떨어진 산기슭에 자리한 이곳은 잘 정돈된 현대 미술관을 연상케 한다. 이곳은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품으로 기획되었다. 내부에 있는 모든 그림과 동상, 설치 미술들은 진품으로 놓였다.
인력개발원의 핵심은 창조관이다. 창조관으로 들어서면 벽면을 가득 메운 백남준의 작품이 눈에 띈다. 바닥에는 세계 지도가 있다. 도시 이름 옆에 파란 불빛과 빨간 불빛이 반짝거린다. 파란 불빛은 삼성이 진출한 도시, 빨간 불빛은 앞으로 진출해야 할 도시를 뜻한다. 프랑크프루트 선언을 했던 베를린 캠핀스키 호텔의 방은 창조관의 캠핀스키 룸에 그대로 옮겨 놓았다. 소품 하나까지 당시와 동일하다. 삼성에게는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인 것이다. 창조관 곳곳은 미술관을 방불케 한다. 브루델과 로뎅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교육생들의 숙소도 유명 예술가들을 테마로 만들어졌다. 2층은 백남준, 3층은 앤디 워홀, 4층은 르네 마그리트, 5층은 피카소, 6층은 칸딘스키를 테마로 만들었다. 이처럼 삼성인력개발원은 생각을 하고 영감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이다. 예술가들의 감성을 생활 속에서 받아들이면서 혁신을 위한 영감을 얻기 위해서다. 삼성에게 이 회장의 신경영은 경영 혁신이 아닌 문화 혁신에 가깝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인력들은 대부분 인사 전문가들이다. 그들은 이 회장의 경영 철학을 분석하고 체계화해 임직원들에게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건희 회장의 ‘메기론’, ‘1등과 2등의 차이’ 등을 가르친다. 그들은 삼성 고유의 경영 체계를 만들고 있다.
이건희 회장은 인재에 대한 욕심이 대단하다. 중앙일보 이사 시절부터 손수 발견한 우수한 인재가 있다면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삼성으로 데려왔다. 1960년대 말 이건희 회장은 일본 전자 업계의 핵심 인재였던 마쓰우라 히데오 고문을 초빙한다. 그는 산업 디자이너로, 전자 제품을 전문으로 디자인하는 사람이다. 그는 처음 삼성전자 영입을 거절했다. 이 회장은 수차례 일본에 들르고 집에 초대해 함께 저녁을 먹으며 설득했다. 결국 그는 삼성전자에 합류했다. 이 회장은 그를 파격적으로 대우했다. 경영진에 준하는 월급과 통역, 집, 가정부, 그가 원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별도의 팀까지 마련해 줬다. 이 회장이 초빙한 고문들에게 원한 것은 임직원 교육이었다. 일을 하기보다 내부의 문제점을 찾아 임직원들에게 가르쳐 주기를 원한 것이다. 일본인 고문은 이 회장의 기대보다 더 큰 역할을 해 주었다. 양에서 질의 경영으로 변화를 촉구한 신경영 역시 이 회장이 영입한 일본인 고문 후쿠다 다미오의 보고서에서 촉발되었다.
이병철 선대 회장은 <명심보감>에 있는 ‘의인막용 용인물의’라는 글을 즐겨 썼다. 사람이 의심스럽거든 쓰지 말고,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말라는 말이다. 이 회장은 신경영 당시 ‘양의 경영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직언한 이수빈 비서실장을 경질시켰다. 이후 이수빈은 비서실을 떠나 삼성생명을 맡았다. 자신의 뜻에 반해 비서실장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지만, 경영인으로서의 신뢰는 여전히 보여 준 조치이다.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않고 맡기는 것이다. 이건희 회장에게도 싫어하는 인물들이 있다. 거짓말 하는 사람, 변명하는 사람,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 남의 뒷다리를 잡는 사람이 그들이다. 거짓, 변명, 억지, 뒷다리 잡기 등을 경계한 이건희 회장이지만 실패한 사람에게는 관대했다. 그는 한 번 실패를 겪은 사람이라 해도 변명을 하지 않고 남에게 잘못을 미루지 않는 이상 다시 기회를 준다. 오히려 실패를 겪었던 사람이라면 자신이 부족했던 점을 연구해 다음번에는 실패할 확률을 줄일 것이라 본다. 이러한 자세는 수많은 인간 군상을 연구하며 얻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력개발원의 핵심은 창조관이다. 창조관으로 들어서면 벽면을 가득 메운 백남준의 작품이 눈에 띈다. 바닥에는 세계 지도가 있다. 도시 이름 옆에 파란 불빛과 빨간 불빛이 반짝거린다. 파란 불빛은 삼성이 진출한 도시, 빨간 불빛은 앞으로 진출해야 할 도시를 뜻한다. 프랑크프루트 선언을 했던 베를린 캠핀스키 호텔의 방은 창조관의 캠핀스키 룸에 그대로 옮겨 놓았다. 소품 하나까지 당시와 동일하다. 삼성에게는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인 것이다. 창조관 곳곳은 미술관을 방불케 한다. 브루델과 로뎅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교육생들의 숙소도 유명 예술가들을 테마로 만들어졌다. 2층은 백남준, 3층은 앤디 워홀, 4층은 르네 마그리트, 5층은 피카소, 6층은 칸딘스키를 테마로 만들었다. 이처럼 삼성인력개발원은 생각을 하고 영감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이다. 예술가들의 감성을 생활 속에서 받아들이면서 혁신을 위한 영감을 얻기 위해서다. 삼성에게 이 회장의 신경영은 경영 혁신이 아닌 문화 혁신에 가깝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인력들은 대부분 인사 전문가들이다. 그들은 이 회장의 경영 철학을 분석하고 체계화해 임직원들에게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건희 회장의 ‘메기론’, ‘1등과 2등의 차이’ 등을 가르친다. 그들은 삼성 고유의 경영 체계를 만들고 있다.
이건희 회장은 인재에 대한 욕심이 대단하다. 중앙일보 이사 시절부터 손수 발견한 우수한 인재가 있다면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삼성으로 데려왔다. 1960년대 말 이건희 회장은 일본 전자 업계의 핵심 인재였던 마쓰우라 히데오 고문을 초빙한다. 그는 산업 디자이너로, 전자 제품을 전문으로 디자인하는 사람이다. 그는 처음 삼성전자 영입을 거절했다. 이 회장은 수차례 일본에 들르고 집에 초대해 함께 저녁을 먹으며 설득했다. 결국 그는 삼성전자에 합류했다. 이 회장은 그를 파격적으로 대우했다. 경영진에 준하는 월급과 통역, 집, 가정부, 그가 원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별도의 팀까지 마련해 줬다. 이 회장이 초빙한 고문들에게 원한 것은 임직원 교육이었다. 일을 하기보다 내부의 문제점을 찾아 임직원들에게 가르쳐 주기를 원한 것이다. 일본인 고문은 이 회장의 기대보다 더 큰 역할을 해 주었다. 양에서 질의 경영으로 변화를 촉구한 신경영 역시 이 회장이 영입한 일본인 고문 후쿠다 다미오의 보고서에서 촉발되었다.
이병철 선대 회장은 <명심보감>에 있는 ‘의인막용 용인물의’라는 글을 즐겨 썼다. 사람이 의심스럽거든 쓰지 말고,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말라는 말이다. 이 회장은 신경영 당시 ‘양의 경영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직언한 이수빈 비서실장을 경질시켰다. 이후 이수빈은 비서실을 떠나 삼성생명을 맡았다. 자신의 뜻에 반해 비서실장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지만, 경영인으로서의 신뢰는 여전히 보여 준 조치이다.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않고 맡기는 것이다. 이건희 회장에게도 싫어하는 인물들이 있다. 거짓말 하는 사람, 변명하는 사람,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 남의 뒷다리를 잡는 사람이 그들이다. 거짓, 변명, 억지, 뒷다리 잡기 등을 경계한 이건희 회장이지만 실패한 사람에게는 관대했다. 그는 한 번 실패를 겪은 사람이라 해도 변명을 하지 않고 남에게 잘못을 미루지 않는 이상 다시 기회를 준다. 오히려 실패를 겪었던 사람이라면 자신이 부족했던 점을 연구해 다음번에는 실패할 확률을 줄일 것이라 본다. 이러한 자세는 수많은 인간 군상을 연구하며 얻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르노삼성 분석(각 종 이론적용, 마케팅, 경영전략, 전략경영)
성공한 경영자 이건희 회장 -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과 삼성의 변화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경영전략과 향후 전망 보고서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경영전략과 향후 전망.PPT자료
경쟁사비교 -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경영전략,현대카드마케팅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
[삼성기업분석]삼성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삼성기업분석]삼성의 경영전략-브랜드 강화전략 보고서
[삼성기업분석]삼성의 경영전략-브랜드 강화전략 PPT자료
[삼성 기업분석] 삼성의 경영전략분석-업체들과의 협력강화 보고서
[삼성 기업분석] 삼성의 경영전략분석-업체들과의 협력강화 PPT자료
[삼성전자 기업분석]삼성전자 경영전략분석-인수합병전략 보고서
[삼성전자 기업분석]삼성전자 경영전략분석-인수합병전략 PPT자료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스마트폰,TV부문)전략분석과 삼성전자 기업경영분석및 설문조사통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