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천도교의 인건존엄성의 중시 태도와 차별의식의 타파는 매우 바람직하며, 긍정적인 사회개혁과 실현에 대한 교리로 인하여 인간에게 사회참여의식의 한 근거를 마련해줌으로써 주체적이며 적극적인 생활을 독려해 주었다. 또한 극심한 압박 속에 있던 당시 여성에게 강정이 인간사만사의 중심이 되며, 이러한 가정은 대등한 관계로 성립된 부부에 기초를 두는 것이 바로 이치라고 하여 여성해방과 여성교육사상을 주장하였다. 즉, 천도교의 여성관은 시천주를 염원으로 한 평등 사상에 기인하며, 전통적인 차별사상을 타파하여 자생적인 여성운동을 유도하였고 여성의 지위향상에 주체적인 역할을 하였다.
Ⅵ.참고문헌
송준석(2001)『동학의 교육사상』(도서출판 학지사)
김용덕(1987)『여성운동의 근대화 과정』(한국사상총서Ⅲ)
박용옥(1975)『동학의 남녀평등사상』
홍창화(1991)『천도교 교리와 사상』(서울: 천도교 중앙 총부)
이현희 (1986)『동학혁명과 민중』(서울:청아 출판사)
천도교 중앙총부(1992) 『천도교의 유래와 사상』(천도교 중앙 총부 출판사)
강재언 (1984) 『근대 한국사 연구』 (도서출판 한울)
유현숙(1993) 『신흥 종교의 여성관 소고』(이화여자대학교)
Ⅵ.참고문헌
송준석(2001)『동학의 교육사상』(도서출판 학지사)
김용덕(1987)『여성운동의 근대화 과정』(한국사상총서Ⅲ)
박용옥(1975)『동학의 남녀평등사상』
홍창화(1991)『천도교 교리와 사상』(서울: 천도교 중앙 총부)
이현희 (1986)『동학혁명과 민중』(서울:청아 출판사)
천도교 중앙총부(1992) 『천도교의 유래와 사상』(천도교 중앙 총부 출판사)
강재언 (1984) 『근대 한국사 연구』 (도서출판 한울)
유현숙(1993) 『신흥 종교의 여성관 소고』(이화여자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