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국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철학
- 고대부터 현대까지
2. 영국의 교육 과정 내용
- 학제편성
- 학제의 특성
3. 영국 교육 과정의 특이점과 장단점
- 특이점
- 한국의 교육 과정과의 비교
- 장 ․ 단점
4. 영국 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 고대부터 현대까지
2. 영국의 교육 과정 내용
- 학제편성
- 학제의 특성
3. 영국 교육 과정의 특이점과 장단점
- 특이점
- 한국의 교육 과정과의 비교
- 장 ․ 단점
4. 영국 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본문내용
동당 정부가 새로운 방식으로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지난 19년 동안 보수당이 해오던 전형적인 방식인 '당근과 채찍'을 비슷하게 변형시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국내에서는 지금 학생들의 학력제고에 대한 열띤 논쟁과 개혁방안에 추진중에 있다.
3)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영국의 교원 성과급 제도시행
영국 노동당 정부는 최근 교사들을 '현대화' 시키기 위해 오는 2001년까지 우리 돈으로 약 2조원이 넘는 10억 파운드(£)를 지원하겠다고 밝혀 그 동안 침체되었던 교원 사회에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 데이비드 블런켓 교육고용성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교사, 변화의 도전에 대응하기}라는 이름으로 녹서(綠書: Green Paper)를 발표하면서 교원의 보수 체계 혁신방안 및 우수 교원 유인책을 동시에 제시한 것이다.
먼저 교원 보수 체계 개혁안의 골자부터 살펴보자. 잉글랜드의 교원 보수 체계를 기준으로 할 때 교사로서 대략 7년간 경력을 쌓으면 '포인트 9'에 이르러 연간 2만3천 파운드를 봉급으로 받는데, 이는 평교사가 받을 수 있는 임금의 최고 상한선이었다고 한다 (한국의 외환 위기 이전에 1파운드 당 1천2백원이던 환율은 현재 대략 2천원대를 웃돌고 있다. 그러나 물가가 비싼 영국의 경제 상황를 고려해 볼 때 1파운드로 쓸 수 있는 돈의 값어치를 생각해 본다면 원화로 1천원 정도가 될 듯싶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 햄버거 상품인 빅맥(Big Mac) 1개의 값이 3파운드이므로 우리돈으로 셈하면 6천원이라는 거액(?)이지만 영국인들이 피부로 느끼는 가격은 우리가 3천원을 지불할 때와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또한 영국은 소득세율이 무척 높아서 어떤 사람이든지 연봉 2만3천 파운드를 번다해도 약 35% 안팎의 세금을 뺀 나머지 액수만을 받으므로 달마다 1천3백 파운드 정도만을 집에 가져오는 셈이 된다. 앞으로 이 글에서 나오는 교사들의 봉급 액수는 세금을 공제하기 이전의 연봉 총액임을 미리 밝혀 둔다). 현재 45만 명에 이르는 영국 교사들 가운데 절반이 넘는 숫자가 이 액수에 못 미치는 보수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보수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은 학교 행정이나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길뿐이었다.
그런데 교원 보수 체계 개혁안의 핵심 사안에 따르면 '문턱(threshold)'이라 이름을 붙인 '포인트 9' 단계에 도달한 교사들이 더 높은 월급을 신청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길을 터놓은 것이다. 이들 교사들은 교직 수행 상황을 매년 평가받으며, 그 결과에 따라 해마다 10%씩 월급을 올려 최고 3만~3만5천 파운드까지 받을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교사들의 수행 성과는 교장과 외부에서 용역을 의뢰 받은 평가 전문가들이 교실 수업 참관, 여러 가지 학업 성취 기록, 학생들의 성적 향상 결과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평가할 예정이라고 한다. 블런켓 장관은 "대다수의 교사들이 '문턱'의 기준을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으나 그 대다수가 과연 얼마나 될 지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우수한 인재를 교직으로 끌어들인다는 목적 아래, 교사 양성과정을 마친 졸업생 가운데 해마다 1천명씩을 뽑아 '특진 교사'(fast-tract teacher)로 채용한다는 계획도 동시에 발표되었다. '특진 교사'로 뽑힌 예비 교사들은 학문적 능력과 전공 교과목에 대한 고도의 지식, 그리고 뛰어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자로서, 이들은 지도자 연수과정에 참가하는 한편 산업 현장 체험도 갖기 위해 연간 4주에서 6주 정도를 더 많이 교육받게 된다. '특진 교사'들은 특별 학교에 배치되거나 순회 교사로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봉급 체계상의 '문턱'에 다다르는 시기는 일반 교사들보다 두 배나 빨라서 이르면 27세부터 2만3천 파운드를 받고, 계속해서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30대 중반에 교장이 될 수도 있다.
개혁안은 교장, 교감을 비롯한 주임교사, 그리고 수석교사(advanced skills teachers, 일명 '슈퍼 교사')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새로운 리더십 부문'도 마련해 놓았다. 특히 5천 명에 이르는 수석교사들은 최고 4만 파운드까지 받을 수 있다. 더욱 많은 교장들이 일정한 기간을 정해 자유롭게 학교측과 고용 계약을 맺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최고 7만 파운드까지도 연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교장들 역시 학교의 학업 성적과 봉급 체계를 관리하며, 교사들에 대한 근무 평정과 성과급 체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므로, 업적에 따라 보수를 받게 되는 상황은 만찬가지이다. 대학에서는 안식년을 받은 우수한 교장들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교장들의 재교육을 위해 이미 정부는 앞으로 3년 동안 1천만 파운드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을 마련해 두었다.
여기에 더해 학업 성적을 많이 올리거나 좋은 결과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우수한 학교들에게 연간 2천만 파운드(약 4백억 원)를 나누어주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한편 정부는 연간 수업 일수를 늘리려던 애초의 계획을 거두어 들였지만, '특진 교사'나 '리더십 부문'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고용 계약에 명시된 연간 1천2백65시간이라는 노동 시간보다 더 많이 일을 해도 상관이 없도록 했다. 이번에 발표된 녹서는 오는 3월 31일까지 광범위한 심의를 거쳐 법제화 단계를 밟게 될 예정이다.
◆ 참고문헌
(최신) 영국 유학 안내, 영국문화원 지음, 1997, 서울 :합동국제문화센터 출판부
유럽 연합 국가들의 교육제도, 정종화, 1997, 법문사
영국학교 시민교육, 김현숙, 2002, 땅에 쓰신 글씨
영국인의 학교생활 , peter milward, 1980, 범우사
젠틀맨 만들기 , 권은정, 1997, 문예당
영국교육과 한국의 교육제도 비교연구 황창녀, 1980, 연세대학교
◆ 참고 사이트
http://www.ukedu.co.kr 영국교육진흥원
http://www.bckorea.or.kr 주한영국문화원
http://www.britishembassy.or.kr/korean 주한영국대사관
http://www.educationuk.or.kr
3)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영국의 교원 성과급 제도시행
영국 노동당 정부는 최근 교사들을 '현대화' 시키기 위해 오는 2001년까지 우리 돈으로 약 2조원이 넘는 10억 파운드(£)를 지원하겠다고 밝혀 그 동안 침체되었던 교원 사회에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 데이비드 블런켓 교육고용성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교사, 변화의 도전에 대응하기}라는 이름으로 녹서(綠書: Green Paper)를 발표하면서 교원의 보수 체계 혁신방안 및 우수 교원 유인책을 동시에 제시한 것이다.
먼저 교원 보수 체계 개혁안의 골자부터 살펴보자. 잉글랜드의 교원 보수 체계를 기준으로 할 때 교사로서 대략 7년간 경력을 쌓으면 '포인트 9'에 이르러 연간 2만3천 파운드를 봉급으로 받는데, 이는 평교사가 받을 수 있는 임금의 최고 상한선이었다고 한다 (한국의 외환 위기 이전에 1파운드 당 1천2백원이던 환율은 현재 대략 2천원대를 웃돌고 있다. 그러나 물가가 비싼 영국의 경제 상황를 고려해 볼 때 1파운드로 쓸 수 있는 돈의 값어치를 생각해 본다면 원화로 1천원 정도가 될 듯싶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 햄버거 상품인 빅맥(Big Mac) 1개의 값이 3파운드이므로 우리돈으로 셈하면 6천원이라는 거액(?)이지만 영국인들이 피부로 느끼는 가격은 우리가 3천원을 지불할 때와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또한 영국은 소득세율이 무척 높아서 어떤 사람이든지 연봉 2만3천 파운드를 번다해도 약 35% 안팎의 세금을 뺀 나머지 액수만을 받으므로 달마다 1천3백 파운드 정도만을 집에 가져오는 셈이 된다. 앞으로 이 글에서 나오는 교사들의 봉급 액수는 세금을 공제하기 이전의 연봉 총액임을 미리 밝혀 둔다). 현재 45만 명에 이르는 영국 교사들 가운데 절반이 넘는 숫자가 이 액수에 못 미치는 보수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보수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은 학교 행정이나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길뿐이었다.
그런데 교원 보수 체계 개혁안의 핵심 사안에 따르면 '문턱(threshold)'이라 이름을 붙인 '포인트 9' 단계에 도달한 교사들이 더 높은 월급을 신청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길을 터놓은 것이다. 이들 교사들은 교직 수행 상황을 매년 평가받으며, 그 결과에 따라 해마다 10%씩 월급을 올려 최고 3만~3만5천 파운드까지 받을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교사들의 수행 성과는 교장과 외부에서 용역을 의뢰 받은 평가 전문가들이 교실 수업 참관, 여러 가지 학업 성취 기록, 학생들의 성적 향상 결과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평가할 예정이라고 한다. 블런켓 장관은 "대다수의 교사들이 '문턱'의 기준을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으나 그 대다수가 과연 얼마나 될 지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우수한 인재를 교직으로 끌어들인다는 목적 아래, 교사 양성과정을 마친 졸업생 가운데 해마다 1천명씩을 뽑아 '특진 교사'(fast-tract teacher)로 채용한다는 계획도 동시에 발표되었다. '특진 교사'로 뽑힌 예비 교사들은 학문적 능력과 전공 교과목에 대한 고도의 지식, 그리고 뛰어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자로서, 이들은 지도자 연수과정에 참가하는 한편 산업 현장 체험도 갖기 위해 연간 4주에서 6주 정도를 더 많이 교육받게 된다. '특진 교사'들은 특별 학교에 배치되거나 순회 교사로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봉급 체계상의 '문턱'에 다다르는 시기는 일반 교사들보다 두 배나 빨라서 이르면 27세부터 2만3천 파운드를 받고, 계속해서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30대 중반에 교장이 될 수도 있다.
개혁안은 교장, 교감을 비롯한 주임교사, 그리고 수석교사(advanced skills teachers, 일명 '슈퍼 교사')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새로운 리더십 부문'도 마련해 놓았다. 특히 5천 명에 이르는 수석교사들은 최고 4만 파운드까지 받을 수 있다. 더욱 많은 교장들이 일정한 기간을 정해 자유롭게 학교측과 고용 계약을 맺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최고 7만 파운드까지도 연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교장들 역시 학교의 학업 성적과 봉급 체계를 관리하며, 교사들에 대한 근무 평정과 성과급 체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므로, 업적에 따라 보수를 받게 되는 상황은 만찬가지이다. 대학에서는 안식년을 받은 우수한 교장들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교장들의 재교육을 위해 이미 정부는 앞으로 3년 동안 1천만 파운드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을 마련해 두었다.
여기에 더해 학업 성적을 많이 올리거나 좋은 결과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우수한 학교들에게 연간 2천만 파운드(약 4백억 원)를 나누어주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한편 정부는 연간 수업 일수를 늘리려던 애초의 계획을 거두어 들였지만, '특진 교사'나 '리더십 부문'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고용 계약에 명시된 연간 1천2백65시간이라는 노동 시간보다 더 많이 일을 해도 상관이 없도록 했다. 이번에 발표된 녹서는 오는 3월 31일까지 광범위한 심의를 거쳐 법제화 단계를 밟게 될 예정이다.
◆ 참고문헌
(최신) 영국 유학 안내, 영국문화원 지음, 1997, 서울 :합동국제문화센터 출판부
유럽 연합 국가들의 교육제도, 정종화, 1997, 법문사
영국학교 시민교육, 김현숙, 2002, 땅에 쓰신 글씨
영국인의 학교생활 , peter milward, 1980, 범우사
젠틀맨 만들기 , 권은정, 1997, 문예당
영국교육과 한국의 교육제도 비교연구 황창녀, 1980, 연세대학교
◆ 참고 사이트
http://www.ukedu.co.kr 영국교육진흥원
http://www.bckorea.or.kr 주한영국문화원
http://www.britishembassy.or.kr/korean 주한영국대사관
http://www.educationuk.or.kr
키워드
추천자료
체육교육과정의 개념 및 교육과정 개발의 원칙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7차 교육과정과 신자유주의 교육'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미국의 교육과정과 한국의 교육과정의 비교
교육과정의 개념
[교과교육론] 지식교육에 대한 관점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사례, 해결방안
초등컴퓨터교육_인도의교육과정
표준보육과정이나 누리과정에 대한 학술지 논문을 찾아 읽고 분석해 리포트를 작성해주세요(...
[하이 스코프 프로그램 (HighScope프로그램)] 하이 스코프 프로그램 배경, 교육관, 교육과정...
[보육과정] 개방식 접근에 의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견해 (연세대학교 어...
체육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과정
[교육과정 B형]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다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