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단과 결말 만들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단과 결말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때이다. “이 친구야, 누군가가 너를 궁지에 몰아넣고 있어. 살인 사건이 있던 날 새벽 3시 30분에서 5시 사이에 누군가가 네 호텔 방으로 계속 전화했었어…… 전화가 끊이지 않고 울렸지만 넌 받질 않았어…… 지금 누군가가 우리에게 에드먼드의 안경을 건네주려 해.”
③<록키>에서 록키는 게으름과 무력감을 극복하고, 항상 이길 수 만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면서 체력을 단련한다. 박물관 계단을 뛰어오르는 록키의 모습과 록키가 승리의 주제가에 맞춰 춤을 추는 부분이다.
<독신녀 에리카>는 ActⅡ의 끝의 88페이지에 나타나는 구성점Ⅱ는 파티장을 함께 떠나자는 그들의 결정이다. 그것은 ‘행동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키다’. ActⅢ는 앨런 베이츠와의 새로운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보디 히트>는 네드 라신은 매티가 남편의 유언장을 위조했으며, 라신이 죄를 뒤집어쓰도록 꾸몄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구성점Ⅱ는 이야기를 ActⅢ로 전환시킨다.
시나리오 안에는 15개에서 20개의 다른 구성점이 있을 수 있다. ActⅠ에 2개, ActⅡ에 10개, ActⅢ에 1개. 구성점의 숫자는 이야기의 성격에 달려 있으며 구성점들은 이야기를 결말로 이끌어간다.
그리고 여기서 최소한 아이디어를 구성하기 위해 네 가지를 알아야 한다. 결말, 시작, 구성점Ⅰ,구성점Ⅱ. 이 네 가지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알고 있어야만 이야기를 만들고 확장할 수 있다.
구성점에 관한 지식과 기법은 시나리오 쓰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각 부분 끝에 위치하는 구성점들은 극적인 상황들을 고정시켜 결합한다. 구성점은 극적 상황들을 연결해서 각 상황을 목적지로 이끄는 표지판과 같다.
<중간점>
ActⅡ를 쓸 때에는 항상 이야기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아야 하고, 마지막 지점, 목표, 도착점이 있어야 한다. 등장인물의 행동 경로를 계획해야 한다.
중간점을 아는 것은 큰 무기이다. 그것으로 이야기의 줄거리를 명확한 행동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시나리오를 쓸 때 방향, 이야기 전개의 흐름을 알고 알고 있어야 한다.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게 되는 것이다.
중간점은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동안 안내하고 방향을 제시해주는 정류장이고, 목적지이고, 등대이다.
<차이나타운>에서 중간점을 찾아본다면, 기티스가 수력발전국의 새 국장인 엘버턴을 만나러 간 신이다. 국장실에서 기티스는 부재중인 엘버턴을 기다리는 도중, 벽에 걸려져 있는 여러사진들 중에 홀리스 멀웨이와 노아 크로스가 같이 찍은 사진을 발견하는 장면이다.
이것을 계기로 기티스는 노아 크로스가 수력발전국을 멀웨이와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이블린 멀웨이는 노아 크로스의 딸이라는 것을 알았고, 결국 노아 크로스가 살인과 워터 스캔들에 책임이 있고, 그가 근친상간의 죄도 범했다는 것을 밝혀내게 된다.
여기서 중간점은 기티스가 상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결정적인 실마리인 것이다.
에서 중간점을 찾아본다면, 지구에서 혼자 남겨진 E.T를 어린 소년 엘리엇이 발견해 돌봐준다. 전반부에서 이 둘은 친구가 되고 엘리엇은 E.T를 그의 형과 여동생에게 소개한다. 엘리엇은 E.T가 느끼는 것을 느낀다. 그런데 E.T는 고향을 그리워하고, 집에 돌아가고 싶어한다. 그리고 “E.T는 집에 전화해”하고 엘리엇에게 말하며, 창문을 가리킨다.
“그럼 모두 오는 거니?” 아이들이 묻는다. E.T가 끄덕인다.
이 부분이 이 영화의 중간점(61페이지)이다.
아이들은 차고에서 톱날, 다리미, 장난감등 이것저것 모아서 E.T에게 가져다 준다. 엘리엇의 형은 “E.T는 병이 날거야”라고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감한다. 이것으로 ActⅡ 후반부 전체가 설정된다.
E.T가 집에 전화하는 것이 극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그가 향수병을 앓게 되어 몸이 아프다가 결국 죽고 말지만 기적적으로 다시 살아나는 것이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간점이 이것을 모두 이어준다.
중간점은 극적 행동의 연결 고리이다. 그것은 ActⅡ의 전반부를 후반부와 연결한다. 이것은 ActⅡ에서 확실한 방향 감각을 갖게 하고, 당신이 이야기를 세부적인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 에서는 엘리엇과 E.T사이의 단순한 신이다. <차이나타운>에서는 사물실에서의 조용한 신으로 벽에 걸린 사진들이 이야기의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극적인 반전>
◎ 대니 보일의 <트레인스포팅>
주인공 렌턴이 마음잡고 부동산을 소개업 하는데, 예전의 망나니 동료들이 찾아와 고민하는 시퀀스가 일종의 위기이다. 렌턴은 그들을 배반함으로써 그 위기를 극복한다.
◎<다이하드>
맥클레인 형사와 테러범들이 대립해 싸우던 중 인질 중에 신분을 숨기고 있던 맥클레인의 아내가 테러범들에 의해 들켰을 때 위기가 발생된다. 테러범들은 즉각 아내를 인질로 맥클레인 형사를 잡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안의 <결혼 피로연>
부모 때문에 동성 연애자인 위동이 중국 유학생 위위와 위장 결혼 하였는데, 그녀가 임신을 했을 때 일어난다. 아버지는 아들이 위장 결혼한 줄도 모르고 대를 이을 자식을 가졌다고 좋아하고, 위동안 아이를 때려하고……. 결국 그런 위기는 위위가 아이를 낳고 위동은 사이먼과 동성 연애 관계를 유지하는 절묘한 타협으로 해결된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그동안 정신병원에서 일정기간만 있으면 퇴원할 것으로 알고 있었던 맥머피가 간호부에 의해 사진은 특별 관리 대상이고 연장 구금되어 있는데다 어쩌면 영원히 그 병원에서 빠져 나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온다. 또한 맥머피는 그때서야 비로소 강제 구금되었을 거라고 예상했던 대부분의 환자들이 자진해서 들어왔다는 걸 알게 되면서 충격을 받고 자신처럼 강제 구금 대상인 인디언 치프에세 탈출을 제안한다. 그동안 말이 없어 벙어리로만 여겼던 치프가 알고보니 말을 할 줄 안다는 반전도 이 지점에 있다.
<참고 도서>
시나리오 워크북(시드 필드, 경당)
시나리오란 무엇인가(시드 필드, 민음사)
시나리오창작기법 (이정국, 지인)
시나리오 가이드 (데이비드 하워드, 한겨레신문사)
시나리오론과 작법 (하유상, 태학사)
21일 만에 시나리오 쓰기 (비키 킹, 친구미디어)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0.1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