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감독소개
\\\"로베르토 베니니\\\" 그는 누구인가?
2.작품소개
'인생은 아름다워'<1998년>
3.인물<who>
4.언제<when>
5.어디서<where>
6.무엇을 <what>
7.어떻게 표현했는가? <how>
①영화 속의 채플린 코드
②붉음의 미학
③음악
④그 외의 상징들
8.피아니스트와 쉰들러리스트와의 비교
\\\"로베르토 베니니\\\" 그는 누구인가?
2.작품소개
'인생은 아름다워'<1998년>
3.인물<who>
4.언제<when>
5.어디서<where>
6.무엇을 <what>
7.어떻게 표현했는가? <how>
①영화 속의 채플린 코드
②붉음의 미학
③음악
④그 외의 상징들
8.피아니스트와 쉰들러리스트와의 비교
본문내용
을 부르면 당신은 이미 그곳에 없습니다.- 답: 침묵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큰 저항을 하지 않습니다. 숙부의 말처럼
영화는 홀로코스트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보여주기만 합니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 - 독일인. 의지의 형이상학을 발전시킴,‘의지가 바로 자신, 죽음은
살려는 의지에 가해지는 강력한 비난’. 프로이드심리학에 영향을 미침.
◎극장에서 도라가 자신을 쳐다보게 함(옆 사람도 보게 됨..)
◎마리아 열쇠 (직접X,활용)
◎아이스크림 -의사가 와서 7분 말함 (직접X,활용)
◎모자 바꾸기- 도라가 빔 (직접X,활용)
◎스텐드 속 조수아 (직접X,활용)
◎수용소에서 개가 서랍장에서 떨어지게 함
※의지적으로 할 수 있음을 보여줌.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이론에서, 사람이 살려는 의지에 반하는 강력한 것은 죽음임을 말하고 있다. 이에 쇼펜하우어의 이론을 계속 사용하는 귀도는 전반부에서는 도라의 사랑을 얻기 위해, 후반부에서는 의지적으로 죽음을 거부, 또는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계적인 것, 문명사회 -차, 브레이크 없는 기차, 자전거, 탱크 등
◎붉은 옷을 입은 도라가 수용소로 떠나는 기차에 오름- 희생, 사랑,
홀러코스트 속에서도 가족애는 살아있음.
◎조수아는 기차를 싫어함- 그 상황에서 기차라는 수단은 단지 노동력을 실어
나르기 위한 도구였을 뿐이다.
※대체로 기차는 부정적인 이미지이다.
히틀러의 독재나 홀러코스트의 강압적인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8.피아니스트와 쉰들러리스트와의 비교
<쉰들러 리스트>는 몸서리 쳐지는 홀로코스트의 참상을 문자 그대로 실제 일어났던 일을 바탕으로 그려낸다. 그래서 그만큼 잔인하고 비극적이다. <인생은 아름다워>에서 보이는 실낱같은 구원과 희망의 징조조차 보이지 않고 독일인인 쉰들러를 초점으로 하여 영화를 이끌어간다. <피아니스트>도 실제 일어났었던 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인생은 아름다워>보다는 한걸음 더 전쟁의 실상에 가까이 있는 삶에 대한 욕구를 그렸다고 할수 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곳에서 맑은 예술혼을 던져놓음으로써 잔인함과 암담함을 더욱 느끼게 하며 현실적 괴리감을 나타내는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영화와는 다르게 <인생은 아름다워>는 가족을 사랑하는 긍정적인 인간인 '귀도'라는 인물은 내세워 홀로코스트, 인종차별을 희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비극적인 내용을 희극적으로 감추므로써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불러낸다.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큰 저항을 하지 않습니다. 숙부의 말처럼
영화는 홀로코스트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보여주기만 합니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 - 독일인. 의지의 형이상학을 발전시킴,‘의지가 바로 자신, 죽음은
살려는 의지에 가해지는 강력한 비난’. 프로이드심리학에 영향을 미침.
◎극장에서 도라가 자신을 쳐다보게 함(옆 사람도 보게 됨..)
◎마리아 열쇠 (직접X,활용)
◎아이스크림 -의사가 와서 7분 말함 (직접X,활용)
◎모자 바꾸기- 도라가 빔 (직접X,활용)
◎스텐드 속 조수아 (직접X,활용)
◎수용소에서 개가 서랍장에서 떨어지게 함
※의지적으로 할 수 있음을 보여줌.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이론에서, 사람이 살려는 의지에 반하는 강력한 것은 죽음임을 말하고 있다. 이에 쇼펜하우어의 이론을 계속 사용하는 귀도는 전반부에서는 도라의 사랑을 얻기 위해, 후반부에서는 의지적으로 죽음을 거부, 또는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계적인 것, 문명사회 -차, 브레이크 없는 기차, 자전거, 탱크 등
◎붉은 옷을 입은 도라가 수용소로 떠나는 기차에 오름- 희생, 사랑,
홀러코스트 속에서도 가족애는 살아있음.
◎조수아는 기차를 싫어함- 그 상황에서 기차라는 수단은 단지 노동력을 실어
나르기 위한 도구였을 뿐이다.
※대체로 기차는 부정적인 이미지이다.
히틀러의 독재나 홀러코스트의 강압적인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8.피아니스트와 쉰들러리스트와의 비교
<쉰들러 리스트>는 몸서리 쳐지는 홀로코스트의 참상을 문자 그대로 실제 일어났던 일을 바탕으로 그려낸다. 그래서 그만큼 잔인하고 비극적이다. <인생은 아름다워>에서 보이는 실낱같은 구원과 희망의 징조조차 보이지 않고 독일인인 쉰들러를 초점으로 하여 영화를 이끌어간다. <피아니스트>도 실제 일어났었던 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인생은 아름다워>보다는 한걸음 더 전쟁의 실상에 가까이 있는 삶에 대한 욕구를 그렸다고 할수 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곳에서 맑은 예술혼을 던져놓음으로써 잔인함과 암담함을 더욱 느끼게 하며 현실적 괴리감을 나타내는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영화와는 다르게 <인생은 아름다워>는 가족을 사랑하는 긍정적인 인간인 '귀도'라는 인물은 내세워 홀로코스트, 인종차별을 희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비극적인 내용을 희극적으로 감추므로써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불러낸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단상
외국인 노동자의 차별과 미(美)를 위해 성형하는 사람들의 문제들의 연관성
외모지상주의
외모지상주의에 관하여
코미디 프로, 누구를 위한 방송?
가부장제 사회와 미디어 세계에서의 여성 차별 및 지성인들의 비판과 반론
가장 이상적인 결혼관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29가지를 읽고
[성과 철학] 외모 지상주의
칭찬해주는 말 100가지
『쏘가리』- 성석제
잘 활용되는 씨티은행 및 기업은행 자기소개서 사례
철학과제-아름다움과예술 - 시대별 아름다움 : 플라톤의 미학, 칸트의 미학
방통대 중간과제 성, 사랑, 사회 C형 성형, 외모지상주의 - 성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