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철학] 외모 지상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루키즘의 정의

외모지상주의란

외모지상주의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외모지상주의가 사회 문제로 부각된 원인.

사회학적 이론으로 보는 외모지상주의

외모지상주의 이대로 좋은가?

외모지상주의(얼짱문화)가 사회의 문제로 부각된 원인은 무엇일까?

우리가 외모지상주의를 버릴 수 없는 이유는?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참고-

본문내용

되었고, 이로 인해 전기가스 모두 끊어진 집에서 강아지 한 마리와 혼자 생활하고 있었다. 이것은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내린 ‘외모지상주의’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속담에서 찾아본 외모지상주의
우리나라 속담 가운데,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 있다. ‘떡’이라는 것은 음식의 일종으로서 맛이라는 미각적 요소를 최우선적으로 평가해야할 사물이다.
하지만, 속담은 떡의 맛을 느끼기도 이전에, 이미 ‘보기 좋다’는 시각적인 요소의 평가를 받길 원하고 있다. 맛으로서 승부를 보기도 전에 보기에 좋다면 이미 선택을 받을 수 있게끔 점수를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요소가 평가받기도 전에 좋은 인상을 주고 있다면, 본질적인 부분이 드러날 때에도, 비슷한 효과라면 외형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다른 말을 찾아보자. ‘빛 좋은 개살구’라는 속담을 기억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괜찮았던 것이 정작 실속이 없다는 뜻이라는 건 알고 있을 것이다. 당연히 눈에 보이는 외관만으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고 뚜껑을 열어 내면까지 들여다 보아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속담의 뜻처럼, 여기까지의 해석에 그치지 않고 한번 더 들여다 본다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겉모습이 말쑥하고 멋졌던 것에 이끌려 이미 ‘이 사람은 외모가 괜찮으니 이 정도의 능력을 지니고 있을거야’라는 정도의 선입견이 생긴 상태에서 그 사람의 능력이 자신의 기대치에 못 미쳐 실망했다는 표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그 사람을 평가하기 이전에, 멋진 외모로 이미 좋은 감정을 지니게 되었다는 뜻이다.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외모지상주의란 우리가 누군가를 판단할 때 외모로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루키즘의 폐단을 없애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 모두가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의식으로의 변화가 가장 중요 합니다.
그리고 큰 맥락에서 볼 때 시대의 흐름 속에 외모의 가치도 변함으로, 디지털 사회의 시대가 가고 새로운 사회가 도래 한다면 루키즘이란 이데올로기도 다른 모습으로 변형 되거나 그의 중요성도 변화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에게 하고 싶은 말은 당연한 내용이겠지만 외적인 아름다움은 시간이 흐르면 변할 수 있지만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바로 그것은 내적인 아름다움입니다.
-참고-
http://blog.naver.com/stromh?Redirect=Log&logNo=50037639673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