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부장적 구조의 재생산, 남녀 차별 논리 확대.
(1) 대중매체 속에 반영된 여성의 이미지
1) 텔레비전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2) 한국 텔레비전의 여성이미지 연구
2. 성 상품화.
3. 외모지상주의.
○외모지상주의가 사회에 끼치는 악영향
○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4. 여성을 소비동물로 전락.
(1) 대중매체 속에 반영된 여성의 이미지
1) 텔레비전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2) 한국 텔레비전의 여성이미지 연구
2. 성 상품화.
3. 외모지상주의.
○외모지상주의가 사회에 끼치는 악영향
○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
4. 여성을 소비동물로 전락.
본문내용
방안
- 개인적 차원에서의 대책방안
먼저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방안으로는 대중매체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을 기르는 것이다. 기업은 자신들의 이윤추구를 위해 허위광고, 자극적인 장면 등 왜곡된 정보를 만들어 대중들에게 유포하기 때문에 이런 정보를 우리는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드라마나 광고 속에 나오는 액세서리, 유명한 상품 등의 물건들이 인간의 모방심리와 소비심리를 자극시키는 기업의 한 전략임을 깨닫고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이어트나 성형수술이 자신의 삶을 한순간에 바꿀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한다. 외적인 화려함보다는 몸 자체의 건강을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며, 자신만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추구해야 한다.
-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방안
이윤확대를 목적으로 선정적 광고, 허위광고 등을 제작한 광고사에 대해 경고 조치를 내리고 엄격한 광고 규제의 절차를 요구한다. 두 번째로 공익광고협회에서 외모지상주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담은 내용의 광고를 제작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외모지상주의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환기시켜야 한다. 세 번째로 외모가 띄어난 모델들이 나오는 광고를 좀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럽게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광고는 젊고 빼어난 미모를 과시하는 모델들만 나오는 반면 미국광고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말을 실감나게 할 정도로 평상시에 볼 수 있는 뚱뚱하거나 앞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사람들이 광고에 출현한다. 미국 사람들이라고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으랴만, 날씬 한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이 자주 눈에 띈다. 잘생긴 사람들만 나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독특하고 개성 있게 생긴 모델을 출연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만들고 보다 친숙한 모습들을 광고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4. 여성을 소비동물로 전락.
"여성은 대중 매체에 의해 훈련 되고 있다" 이 말은 미국의 광고학자 월슨 브라이언 키의 말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 대중 매체에 의해 훈련을 받지만 특히 여성이 가장 강도 높은 훈련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대중 매체를 후원하는 광고주들이 파는 상품을 거의 여성들이 구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 매체는 여성에게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여성들은 자신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위해 여러 가지 장신구를 사고, 성형을 하는 등의 과소비를 하고 있다. 그러한 과소비는 대중매체에서, 특히 광고에서 "너희도 이것을 사야지만, 이 광고의 여성모델처럼 멋있고 예쁠 수 있다"고 여성들을 억압하며 여성들에게 과소비를 부추기는 것이다.
드라마에서는 대체적으로 가정을 지키고 남자에게 순종하는 여성의 행복을 강조하고 독립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한 여성을 성격 파탄으로 모는 일을 밥 먹듯이 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의 종속적 위치를 미화시키기에 바쁘다. 그런 구도 속에서 여성은 소비 행위를 통해 자존심과 삶의 의미를 찾는 소비 동물이 되게끔 유혹을 받고 있다. 여성의 아름다움마저도 개성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획일화된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를 것을 부추긴다. 여성은 진정한 자존과 독립을 위해 우선 대중 매체에서부터 여권을 회복하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이러한 대중매체의 악영향에서 여성이 자유로워지고 왜곡당하지 않으려면, 우리가 대중매체를 이용함에 있어서 비판적이고 합리적으로 따져보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전달하는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것이 아니라 그것의 숨은 의도와 진실을 보는 눈을 길러서 자신에게 진실로 필요한 정보를 수용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이러한 대중매체의 악영향에서 좀더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단행본
강준만. {대중문화의 겉과 속 (1-3)}. 서울:인물과사상사, 2006.
논문
곽삼근. [한국의 대중매체에 나타난 성 편견 문제], {한국문명학회 문명연지}, 2002.
임인숙.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여대생의 외모차별 경험과 의 몸 이미지 수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2004.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jo3134/70010366416(성 상품화 관련)
http://blog.naver.com/eqqus/140050371521 (외모지상주의 관련)
- 개인적 차원에서의 대책방안
먼저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방안으로는 대중매체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을 기르는 것이다. 기업은 자신들의 이윤추구를 위해 허위광고, 자극적인 장면 등 왜곡된 정보를 만들어 대중들에게 유포하기 때문에 이런 정보를 우리는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드라마나 광고 속에 나오는 액세서리, 유명한 상품 등의 물건들이 인간의 모방심리와 소비심리를 자극시키는 기업의 한 전략임을 깨닫고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이어트나 성형수술이 자신의 삶을 한순간에 바꿀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한다. 외적인 화려함보다는 몸 자체의 건강을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며, 자신만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추구해야 한다.
-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방안
이윤확대를 목적으로 선정적 광고, 허위광고 등을 제작한 광고사에 대해 경고 조치를 내리고 엄격한 광고 규제의 절차를 요구한다. 두 번째로 공익광고협회에서 외모지상주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담은 내용의 광고를 제작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외모지상주의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환기시켜야 한다. 세 번째로 외모가 띄어난 모델들이 나오는 광고를 좀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럽게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광고는 젊고 빼어난 미모를 과시하는 모델들만 나오는 반면 미국광고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말을 실감나게 할 정도로 평상시에 볼 수 있는 뚱뚱하거나 앞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사람들이 광고에 출현한다. 미국 사람들이라고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으랴만, 날씬 한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이 자주 눈에 띈다. 잘생긴 사람들만 나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독특하고 개성 있게 생긴 모델을 출연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만들고 보다 친숙한 모습들을 광고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4. 여성을 소비동물로 전락.
"여성은 대중 매체에 의해 훈련 되고 있다" 이 말은 미국의 광고학자 월슨 브라이언 키의 말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 대중 매체에 의해 훈련을 받지만 특히 여성이 가장 강도 높은 훈련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대중 매체를 후원하는 광고주들이 파는 상품을 거의 여성들이 구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 매체는 여성에게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여성들은 자신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위해 여러 가지 장신구를 사고, 성형을 하는 등의 과소비를 하고 있다. 그러한 과소비는 대중매체에서, 특히 광고에서 "너희도 이것을 사야지만, 이 광고의 여성모델처럼 멋있고 예쁠 수 있다"고 여성들을 억압하며 여성들에게 과소비를 부추기는 것이다.
드라마에서는 대체적으로 가정을 지키고 남자에게 순종하는 여성의 행복을 강조하고 독립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한 여성을 성격 파탄으로 모는 일을 밥 먹듯이 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의 종속적 위치를 미화시키기에 바쁘다. 그런 구도 속에서 여성은 소비 행위를 통해 자존심과 삶의 의미를 찾는 소비 동물이 되게끔 유혹을 받고 있다. 여성의 아름다움마저도 개성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획일화된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를 것을 부추긴다. 여성은 진정한 자존과 독립을 위해 우선 대중 매체에서부터 여권을 회복하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이러한 대중매체의 악영향에서 여성이 자유로워지고 왜곡당하지 않으려면, 우리가 대중매체를 이용함에 있어서 비판적이고 합리적으로 따져보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전달하는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것이 아니라 그것의 숨은 의도와 진실을 보는 눈을 길러서 자신에게 진실로 필요한 정보를 수용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이러한 대중매체의 악영향에서 좀더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단행본
강준만. {대중문화의 겉과 속 (1-3)}. 서울:인물과사상사, 2006.
논문
곽삼근. [한국의 대중매체에 나타난 성 편견 문제], {한국문명학회 문명연지}, 2002.
임인숙.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여대생의 외모차별 경험과 의 몸 이미지 수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2004.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jo3134/70010366416(성 상품화 관련)
http://blog.naver.com/eqqus/140050371521 (외모지상주의 관련)
추천자료
대중 매체와 여성학
여성의 7가지 콤플렉스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여성운동
디즈니 에니메이션에 대한 고찰
청소년문제와 학교폭력문제(A+레포트)
외모지상주의에 따른 성형열풍
야오이 텍스트의 특징 및 야오이 문화
외모지상주의(루키즘) 개념, 외모지상주의(루키즘) 형성배경과 미스코리아(미인선발대회) 실...
국제결혼과 가족복지
외모지상주의와 사회트렌드
반편견 교육의 의의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정
[경상대] ‘여성과 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한국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어떤 문제점을 야기 시키는지 기술하고 극복방법은 무엇인지 토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