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광기를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광기를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계산 (Calculation)(P3~7)



2. 결과 및 고찰
(Result and Discussion)(P7)



3. 기호 (Nomenclature)(P7)



4. 인용문헌 (References)(P8)

본문내용

51
0.0863
510
0.2213
0.1295
0.2104
665
0.0764
0.0463
0.0741
515
0.2363
0.1192
0.2162
670
0.0671
0.0448
0.0675
520
0.2569
0.1074
0.2253
675
0.0608
0.0462
0.0632
525
0.288
0.0941
0.2405
680
0.0542
0.0447
0.0585
530
0.3125
0.0862
0.254
685
0.051
0.0459
0.057
535
0.3344
0.0803
0.2666
690
0.0467
0.0446
0.0538
540
0.3596
0.0747
0.2812
695
0.0456
0.0447
0.0531
545
0.3917
0.0689
0.3008
700
0.045
0.0452
0.053
550
0.428
0.064
0.3228
해리상수
()
()
=


약산의 전체농도
* :
*
*
티몰블루의 해리상수를 다른 방법으로 구하기
파장 625nm이상에서는 짝염기인 만이 실질적으로 빛을 흡수하므로 이다.


* :
*
*
2. 결과 및 고찰 (Result and Discussion)
실험에서는 3가지 용액 NaOH, HCL, pH 9.00 완충 용액을 사용하였는데, 이때, 사용한 용액들의 경우 1N(노르말농도) = 1M(몰농도) 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각 용액의 반응기와 관련이 있다. 실험에서 사용한 용액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NaOH, HCL 용액인데, 이들 용액은 물속에서 각각 , 로 용해 된다. 이때의 경우 용액의 PH에 작용하는 이온들은, 와 로 각각 하나씩이었기 때문에, 이 경우 1N = 1M 이었다.
실험 데이터로 계산 결과 470㎚파장에서의 는 9.15, 640㎚ 파장에서의 는 8.42이고, 평균 8.785이 나왔다. 결과값은 20℃에서의 의 문헌값 9.00과 4.11%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번 실험의 오차 원인으로 산의 이온화는 평형과 관련된 것으로 평형상수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데 온도의 변화가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이다. 문헌값의 기준 온도인 20℃와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오차가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그리고 시료을 만드는 과정에서 정확한 양을 넣지 못 한 것도 오차의 원인이다. 그리고 UV-VIS 조작 시, 셀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셀을 휴지로 닦았으나 완벽히 닦여지지 않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다.
3. 기호 (Nomenclature)
4. 인용문헌 (References)
①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 \"화공기초실험\" 1ST. ed.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울산. 2010. P58~63
② John W. Moore, Conrad L. Stanitski, Peter C. Jurs : \"Chemistry : The Molecular Science\" 3rd ed. Thomson/Brooks/Cole. 2008. P671, P770
③ naver 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http://100.naver. com/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